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벼 품종간 엽 생장속도 차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Leaf emergence rate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Korean rice cultiv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203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앙시기 변동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엽특성을 비교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벼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육성되어 재배되는 벼 품종들을 대상으로 출수기까지...

      본 연구는 이앙시기 변동에 따른 벼 품종들의 출엽특성을 비교하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벼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국내에서 육성되어 재배되는 벼 품종들을 대상으로 출수기까지 벼 출엽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출수기가 늦어질수록 출엽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같은 이앙시기에서 동일한 출수를 보여도 벼 품종간 출엽속도의 차이를 보였다. 조생종에서 출수기가 비슷했던 진부벼에 비해 운봉벼는 동일 시기에 1.2엽이 더 전개되었고 중생종에서 광안벼나 화영벼는 간척벼에 비해 각각 1.6엽, 1.4엽이 더 전개되어 품종간 출엽속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주간에서 전개되는 엽수는 줄어드는 경향이었으나 품종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도 있어 일정한 비율로 출엽수가 감소한다고 추정하기는 어려웠다. 다른 품종에 비해 출엽수가 증가하는 경우 출수기 건물중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것은 출엽이 빠른 품종이 생육량을 증대시킨 것에 비해 생육기간 연장에 의해 더 많은 기간 식물체가 영양생장을 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5월 16일 이앙하여 7월 20일 전후에 출수한 조생종은 출수후 40일간 평균기온이 약 26℃에서 등숙하였고 6월 15일 이앙에서는 24℃보다 다소 높은 온도에서 등숙하였다. 따라서 출수가 빨랐던 5월 16일 이앙에서는 운봉, 남원, 진부는 수량이 크게 감소한 반면 운광벼는 고온등숙 조건에서도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중만생종 벼 품종의 경우 6월 15일 이앙에서 8월 하순에 출수하여 등숙하였는데, 6월 1일과 6월 15일 이앙시 수량을 비교하면 대청벼는 크게 감소했으나 일미벼나 남평벼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량을 보여 늦은 출수에 의한 저온 등숙조건에서도 수량성이 양호한 특성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emergence rate on main culm leaf among cultivars having similar heading date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af emergence rate on growth and yield of rice. During 2009~2011, five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emergence rate on main culm leaf among cultivars having similar heading date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eaf emergence rate on growth and yield of rice. During 2009~2011, five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Unbong, Namweon, Jinbu, Unkwang and Sangju), four middle maturing rice cultivars(Seojin, Ganckeok, Hwayeong and Kwangan) and four middle-late maturing rice cultivars(Daecheong, Ilpum, Ilmi and Nampyeong) were transplanted at three different dates from May 16 to June 15 in Iksan region. Number of leaf emerged on main culm increased as heading date delayed, but some rice cultivars having similar heading date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in emerged leaf number. In transplanting on May 16, the early maturing cultivar, Jinbu, had 1.2 leaf more than Unbong which had similar heading date. Similarly middle maturing cultivar, Kwangan, had 1.6 and 1.4 more emerged leaf than Hwayoung and Gancheok, respectively. As transplanting date delayed, leaf number emerged on main culm decreased in general dates, but some cultivars get increased leaf number in late transplanting dates. Consequently, it was difficult to get a constant rate in leaf number corrected with transplanting date. Cultivars having more emerged leaf number generally had increased dry weight at heading stage, and it is postulated that the increase in dry weight was more contributed by prolonged growth duration than by leaf emergence rate. In transplanting on May 16, early maturing cultivars, Unbong, Namweon and Jinbu showed significant yield decrease compared to yield in transplanting on June 15 because of high temperature during ripening stage, but Unkwang showed least reduction in yield. In transplanting on June 15, middle-late maturing cultivars, yield of Daecheong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in transplanting on June 1 because of low temperature during ripening stage, but Ilmi and Nampyeong showed slight reduction in yie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