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후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서둘러 청산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일본어교육은 제도권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1945년부터 1973년까지는 공식적인 일본어교육이 시행되지 않았기 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9224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3-58(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서둘러 청산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일본어교육은 제도권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1945년부터 1973년까지는 공식적인 일본어교육이 시행되지 않았기 때...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의 잔재를 서둘러 청산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일본어교육은 제도권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었다. 1945년부터 1973년까지는 공식적인 일본어교육이 시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어교육사 연구에서도 이 기간 동안은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일본어교육사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는 이 시기의 일본어교육과 관련된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고찰하고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서의 일본어교육이 도입되기까지의 시대를 재구성해 보았다.
왜색일소의 사회분위기 속에서도 일본과의 경제교류가 확대되면 일본어가 쓸모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학습자가 증가하였다. 전면적으로 도구적 동기부여에 따른 언어학습이었다. 이런 일본어교육에 대한 수요를 감당한 곳은 일어강습소였다. 그러나 일어강습소는 ‘독소’, ‘독버섯’에 비유될 정도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일본어가 사회적으로 배제되었던 시대에 유일한 교육 장소였다.
한일간의 경제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일본기업의 한국진출, 일본인 관광객의 증가, 무역교류가 증대됨에 따라 일본어 수요가 늘어나 공교육에서의 일본어교육의 필요성이 대두었다. 1972년 일어강습소가 허가되고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일본어가 고등학교 교과과정에 제2외국어 교과목으로 도입되었다. 국민들은 일본어교육의 필요성을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일제강점기의 과거를 다 청산하지 못한 채 다시 일본어교육을 도입해야 하는 상황을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이런 사회여론을 극복하기 위해 유신정부는 일본어가 나라발전을 위해 필요한 언어임을 강조하여 일본어교육을 정당화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as n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from 1945 to 1973. Therefore, no research exists on the history of Japanese education for this period.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period by review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
There was n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from 1945 to 1973. Therefore, no research exists on the history of Japanese education for this period.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period by review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the language and culture of Japan were considered not permissible within the country. However, there were also expectations that the Japanese language might be useful o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mproves and, especially economic exchange expands.
Japanese education was mostly provided by private Japanese language institutes. Although the image of the Japanese language institutes had was so negative images as to be compared to “toxin” or “poisoned mushroom,” Japanese education in Korea retained life through these institutes.
In the 1970s, as Korea’s trade dependence on Japan was growing, demand for Japanese speakers has increased even further, which accelerated the growth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1972, Japanese language institute was officially permitted, and in 1973, Japanese was introduced as the second foreign language in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directed by President Park Chung Hee.
People in Korea did not deny the need for Japanese language education. Yet they could not accept the situation in which they had to endors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despite the still visibl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rule.
For this reason, the Park Chung Hee regime tried to overcome the unfavorable social atmosphere by justify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s a key to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렬, "해방이후 일본어교육에 대한 정치·사회적 영향세 연구 :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류상영, "한국의 경제개발과 1960년대 한일 경제관계 : 민간 경제외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291-318, 2003
3 권영성, "한국에서 행하여진 일본어교육의 역사" 청주대 39 : 1-14, 2009
4 홍민표, "한국에 있어서 일본어 교육과 연구의 개관" 동아시아일본학회 (22) : 245-268, 2007
5 이봉희, "한국대학에 있어서의 일본어교육" 한국일본학회 33 : 5-18, 1994
6 김광식, "일본어채택의 역사적 배경" 한국교육신문사 14-19, 1972
7 전해종, "일본어에 대한 우리의 자세" 한국교육신문사 8-13, 1972
8 이봉희, "일본어교육에 대한 일고찰" 한국일본학회 13 : 21-47, 1984
9 장명준, "일본어교육사2" 대한일어일문학회 11 : 287-304, 1999
10 전기종, "일본어교사의 양성문제" 한국교육신문사 36-41, 1972
1 이원렬, "해방이후 일본어교육에 대한 정치·사회적 영향세 연구 :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류상영, "한국의 경제개발과 1960년대 한일 경제관계 : 민간 경제외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4 (24): 291-318, 2003
3 권영성, "한국에서 행하여진 일본어교육의 역사" 청주대 39 : 1-14, 2009
4 홍민표, "한국에 있어서 일본어 교육과 연구의 개관" 동아시아일본학회 (22) : 245-268, 2007
5 이봉희, "한국대학에 있어서의 일본어교육" 한국일본학회 33 : 5-18, 1994
6 김광식, "일본어채택의 역사적 배경" 한국교육신문사 14-19, 1972
7 전해종, "일본어에 대한 우리의 자세" 한국교육신문사 8-13, 1972
8 이봉희, "일본어교육에 대한 일고찰" 한국일본학회 13 : 21-47, 1984
9 장명준, "일본어교육사2" 대한일어일문학회 11 : 287-304, 1999
10 전기종, "일본어교사의 양성문제" 한국교육신문사 36-41, 1972
11 박지홍, "일본어 학교문법의 비판-일본어교육의 재등장에 즈음하여-" 9 (9): 1-13, 1973
12 이덕봉, "일본어 교과과정의 변천과정과 구성" 한국일본학회 33 : 45-70, 1994
13 이덕봉, "사회인을 위한 일본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14 : 1-9, 1999
14 전태종,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흐름" 한국일본학회 33 : 37-44, 1994
15 韓幸子, "韓國에 있어서의 日本語敎育 現況 調査硏究"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75
16 한중선, "韓國 日本語 辭典에 관한 考察"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31-148, 2011
17 中山亜紀子, "韓国人日本語教師の現状理解と日本語教育の課題" 4 : 71-83, 2016
18 김종학, "韓国の高校における日本語教育" 한국일본학회 4 : 151-159, 1976
19 河先俊子,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必要論の史的展開" ひつじ書房 21-25, 2013
20 稲葉継雄,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史" 日本語教育學會 60 : 136-148, 1986
21 천수성,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位相" 3 : 35-66, 1989
22 森田芳夫,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 日本語教育學會 48 : 1-13, 1982
23 磐村文乃,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 三元社 11-50, 2007
24 河先俊子, "植民地解放後の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再開-日本語教育をめぐる言説の分析-" お茶の水女子大学日本言語文化学研究会 (39) : 94-103, 2010
25 南基正, "戦後の日韓関係の展開" 東北大学 (7) : 62-73, 2012
26 한중선, "『고등학교 日本語讀本』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어학회 (38) : 263-279, 2013
27 김은희, "『高等學校 日本語讀本』의 정치적 내용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95-511, 2017
敎室と社會をつなげる交流學習實踐コミュニティは何を目指すのか ─外國語敎育における<擴張型交流學習>の可能性─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일본어 음성수업 설계 및 효과 분석 연구
일본어 학습교재 집필의 이론과 실제 -중급 독해 교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2 | 0.62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5 | 0.84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