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집합주거단지의 치유조경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the Resident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5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합주거를 대상으로 그 외부공간에 치유환경을 제공하고자 함이 궁극적 목표이며, 본 연구는 그 이전에 치유환경설계에 앞서 치유정원의 환경적 특성과 치유정원의 계획요소를 ...

      본 연구는 집합주거를 대상으로 그 외부공간에 치유환경을 제공하고자 함이 궁극적 목표이며, 본 연구는 그 이전에 치유환경설계에 앞서 치유정원의 환경적 특성과 치유정원의 계획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유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문헌을 참조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고 치유정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치유정원의 계획원칙 및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취합하여 공동 집합 주거단지에 적용 가능한 조경계획요소를 설정하였다.
      치유환경의 환경특성의 계획요소는 총 6가지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다. 계획원칙으로는, 안전감, 이용자 그룹과 요구에 대한 인식, 다양한 활동패턴의 제공,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치유공간, 휴식과 활동공간에 대한 특성부여, 사적공간과 사회적 교류, 주변환경과 전망, 유니버셜 디자인, 셉테드 디자인으로 구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lanning guidelin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ealing garden for providing healing surroundings on outdoor spaces of multiple housing complex.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pa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lanning guidelin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ealing garden for providing healing surroundings on outdoor spaces of multiple housing complex.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papers and scholastic writings, related to healing environment and garden, and analyzed case studies.
      As a result, composition elements of planning for healing garden were classified 6 types; safe, therapeutic, assistance, orientation strengthen, comfort and social environment. Planning principles of healing landscape are set for 9 types; sense of safe, recognition of the user group and demand, offers a variety of activity patterns, healing space for various ways to experience, characteristics for relaxation and activities, private space and social interaction, surroundings and views, universal design and cpted design.
      From the precedent review and literature view planning guidelines for creating healing gardens will be created. These guidelines will then be applied to an existing healing site to create an informed design 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사
      • Ⅲ. 연구 방법
      • Ⅳ. 결과 및 고찰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연구사
      • Ⅲ. 연구 방법
      • Ⅳ. 결과 및 고찰
      • Ⅴ. 결론
      • Ⅵ.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