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두진 기독교 시 연구 ― 시어를 통한 성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 = A Study of Doo-jin Park`s Christian Poems ― focusing on the holy trinity with the poetic wo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박두진의 시세계를 초기, 중기, 후기로 삼분하여 살펴보면 초기에는 자연에 대한 시적 지향, 고향과 민족의 회복으로서의 자연, 기독교적 이상세계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기에는 한국전쟁의 비극과 4ㆍ19 희생에 대한 가치와 사회악에 대한 준열한 비판의식을 제기했다. 후기에는 신의 섭리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랑의 재발견에 집중했다. 그러나 초기, 중기, 후기를 구분할 것 없이 그의 시에는 기독교 사상 혹은 기독교적 감수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시어가 함의하고 있는 성서적 모티브와 기독교적 상징에 의거하여 신성지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하고자 한다. 기독교 사상의 핵심인 성 삼위일체가 박두진 기독교 시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 다룬 이미지는 `하늘`, `돌`, `비둘기`였으며 그것은 각각 절대자,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으로 표상되었다. 박두진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은 고소상징으로서 절대자 혹은 초월적 존재를 표상한다. 박두진에게 절대자는 기독교 사상에 입각하여 하나님이다. 그의 절대자에 대한 외경은 단순한 찬미의 수준을 넘어서 절대자와 합일의 경지 혹은 성화의 단계를 갈망한다. 또한 박두진은 자신의 기독교 시에서 하늘과 하나님을 동일체로 인식하여 병렬적으로 문면에 직접 제시하기도 한다. 박두진은 수석시를 연작할 만큼 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았다. 그의 기독교 시에서 `돌`은 성서적 이미지와 동일하게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한다. 그의 시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구원을 위해 수난당하는 희생양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하고 인간과는 구별된 성자 혹은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지도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성서적 모티브에서 새는 신령한 존재로 형상화된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에는 `비둘기`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 역시 기독교적 상징에 의해 성령(holy spirit)을 상징한다. 그의 시에는 비둘기와 더불어 `꽃`과 `별`도 등장한다. 꽃과 별은 순수하고 순결한 영혼을 표상한다. 따라서 꽃과 별과 새는 신성지향으로서 동일성을 획득한다. 박두진 기독교 시의 의의는 자신의 신앙적 체험을 예언자적인 목소리로 관념화시켰다는 데 있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신은 그의 반세기 이상의 시세계에 있어서 커다란 화두이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는 이 세 가지 화두의 조화를 통해 절대자에 대한 경외와 사랑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가 박두진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했으면 한다.
      번역하기

      박두진의 시세계를 초기, 중기, 후기로 삼분하여 살펴보면 초기에는 자연에 대한 시적 지향, 고향과 민족의 회복으로서의 자연, 기독교적 이상세계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기에는 한국전...

      박두진의 시세계를 초기, 중기, 후기로 삼분하여 살펴보면 초기에는 자연에 대한 시적 지향, 고향과 민족의 회복으로서의 자연, 기독교적 이상세계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기에는 한국전쟁의 비극과 4ㆍ19 희생에 대한 가치와 사회악에 대한 준열한 비판의식을 제기했다. 후기에는 신의 섭리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랑의 재발견에 집중했다. 그러나 초기, 중기, 후기를 구분할 것 없이 그의 시에는 기독교 사상 혹은 기독교적 감수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시어가 함의하고 있는 성서적 모티브와 기독교적 상징에 의거하여 신성지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하고자 한다. 기독교 사상의 핵심인 성 삼위일체가 박두진 기독교 시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 다룬 이미지는 `하늘`, `돌`, `비둘기`였으며 그것은 각각 절대자,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으로 표상되었다. 박두진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은 고소상징으로서 절대자 혹은 초월적 존재를 표상한다. 박두진에게 절대자는 기독교 사상에 입각하여 하나님이다. 그의 절대자에 대한 외경은 단순한 찬미의 수준을 넘어서 절대자와 합일의 경지 혹은 성화의 단계를 갈망한다. 또한 박두진은 자신의 기독교 시에서 하늘과 하나님을 동일체로 인식하여 병렬적으로 문면에 직접 제시하기도 한다. 박두진은 수석시를 연작할 만큼 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았다. 그의 기독교 시에서 `돌`은 성서적 이미지와 동일하게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한다. 그의 시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구원을 위해 수난당하는 희생양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하고 인간과는 구별된 성자 혹은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지도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성서적 모티브에서 새는 신령한 존재로 형상화된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에는 `비둘기`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 역시 기독교적 상징에 의해 성령(holy spirit)을 상징한다. 그의 시에는 비둘기와 더불어 `꽃`과 `별`도 등장한다. 꽃과 별은 순수하고 순결한 영혼을 표상한다. 따라서 꽃과 별과 새는 신성지향으로서 동일성을 획득한다. 박두진 기독교 시의 의의는 자신의 신앙적 체험을 예언자적인 목소리로 관념화시켰다는 데 있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신은 그의 반세기 이상의 시세계에 있어서 커다란 화두이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는 이 세 가지 화두의 조화를 통해 절대자에 대한 경외와 사랑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가 박두진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했으면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Doo-jin Park`s Christian poems with the poetic words focused on Christian symbols. The poetic words are heaven, stone, and dove for this. And they symbolize God,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Heaven symbolizes holy place, transcendental power, Supreme Being, and incarnation of God according to high place orientation. Park`s heaven is God according to christianity in his poems. In fact, heaven and God are written in a line in his poems. His owe for God longs for not only love and praise for God but also mystic union with God. Park loved stone as the poetic materials. So he wrote many stone poems. Stone reveals various images. But stone represents Jesus Christ in his christian poems. Jesus Christ is described as the scapegoat who redeems men from vice and the saint or the leader who differs from men or stands against injustice. Therefore Jesus Christ becomes ideological and meaningful in his poems. A bird symbolizes mystical creature in the Bible. Especially a dove stands for the Holy Spirit in Park`s christian poems. And there are flowers and stars with doves in his poems. Flowers and stars represent pure and innocent spirit. Doves are also a symbol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flowers, stars and doves are identical meaning as the symbol of sacredness. I think that Park`s christian poems are neither inflammatory and propaganda poems nor the poems which focus on spreading the gospel. Just Park ideated his religious experience with vatic tone in his poems. Nature, Human, and God are the important themes in Park`s poetic world for 60 years. The significance of Park`s christian poems is that the poems reveal owe and praise for God with three themes. I hope that this paper plays a role in the study of Park`s christian poem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Doo-jin Park`s Christian poems with the poetic words focused on Christian symbols. The poetic words are heaven, stone, and dove for this. And they symbolize God,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Heaven symbolizes h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Doo-jin Park`s Christian poems with the poetic words focused on Christian symbols. The poetic words are heaven, stone, and dove for this. And they symbolize God,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Heaven symbolizes holy place, transcendental power, Supreme Being, and incarnation of God according to high place orientation. Park`s heaven is God according to christianity in his poems. In fact, heaven and God are written in a line in his poems. His owe for God longs for not only love and praise for God but also mystic union with God. Park loved stone as the poetic materials. So he wrote many stone poems. Stone reveals various images. But stone represents Jesus Christ in his christian poems. Jesus Christ is described as the scapegoat who redeems men from vice and the saint or the leader who differs from men or stands against injustice. Therefore Jesus Christ becomes ideological and meaningful in his poems. A bird symbolizes mystical creature in the Bible. Especially a dove stands for the Holy Spirit in Park`s christian poems. And there are flowers and stars with doves in his poems. Flowers and stars represent pure and innocent spirit. Doves are also a symbol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flowers, stars and doves are identical meaning as the symbol of sacredness. I think that Park`s christian poems are neither inflammatory and propaganda poems nor the poems which focus on spreading the gospel. Just Park ideated his religious experience with vatic tone in his poems. Nature, Human, and God are the important themes in Park`s poetic world for 60 years. The significance of Park`s christian poems is that the poems reveal owe and praise for God with three themes. I hope that this paper plays a role in the study of Park`s christian po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두진, "현대시의 이해와 체험" 일조각 47-, 1976

      2 박두진, "현대시론" 일조각 86-, 1973

      3 김열규, "한국의 신화" 일조각 34-39, 1980

      4 백승란, "생태주의 시학과 상상력" 푸른사상 106-, 2011

      5 유시욱, "빙벽(氷壁)을 갠다" 신원문화사 193-195, 1990

      6 예장출판사, "빅슬림 주석성경" 2010

      7 N. Frye,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8 임영주, "박두진의 생애와 문학" 국학자료원 10-11, 2003

      9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163-168, 2004

      10 박두진, "박두진 전집(전10권)" 범조사 1983

      1 박두진, "현대시의 이해와 체험" 일조각 47-, 1976

      2 박두진, "현대시론" 일조각 86-, 1973

      3 김열규, "한국의 신화" 일조각 34-39, 1980

      4 백승란, "생태주의 시학과 상상력" 푸른사상 106-, 2011

      5 유시욱, "빙벽(氷壁)을 갠다" 신원문화사 193-195, 1990

      6 예장출판사, "빅슬림 주석성경" 2010

      7 N. Frye,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8 임영주, "박두진의 생애와 문학" 국학자료원 10-11, 2003

      9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163-168, 2004

      10 박두진, "박두진 전집(전10권)" 범조사 1983

      11 정경은, "박두진 박목월 김현승 기독교 시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4-25, 2008

      12 박두진, "문학적 자화상" 한글 68-, 1994

      13 신익호, "기독교와 한국 현대시" 한남대출판부 100-, 1988

      14 유시욱, "가을 절벽" 미래사 159-, 2003

      15 M. Eliade, "聖과 俗 종교의 본질" 학민사 90-91, 1983

      16 김명옥, "T.S. 엘리엇 연구" 한신문화사 277-,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