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리스 비극의 모순 구조와 그 의의 - 셸링의 예술철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 Widerspruchsstruktur der griechischen Tragdie und ihre Bedeutung in der Philosophie der Kunst Schell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9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i Schelling stellt die Kunst eine selbständige und organische Welt dar. Daher sollte das Gebilde der Kunst weder nur das Produkt menschlicher Absicht noch die bloße Nachahmerin der Natur sein. In seiner Philosophie der Kunst versucht Schelling darzulegen, dass die Kunst sowohl das organische Produkt der 'inneren Zweckmäßigkeit' als auch ein Existenz einer bewußtlosen Unendlichkeit sein soll. Kurz gesagt, ist der Grundcharakter des Kunstwerks eine Synthesis von Natur und Freiheit.
      Um diese Synthesis beider zu erläutern, zeigt er wie ein Gestalt solche gegensätzliche Einheit bilden kann. In der Tat ist der Held der griechischen Tragödie eben das Vorbild dieser Widerspruchsstruktur. Zwar mußte z.B. der Wille von Oedipus der Notwendigkeit des Schicksals unterliegen, aber "um die Notwendigkeit nicht überwinden zu lassen, (…) mußte der Held auch für diese―durch das Schicksal verhängte―Schuld freiwillig büßen"(341). So ist dieser Widerspruch zugleich der Grund der Versöhnung und der Harmonie. Ferner kann man sagen, dass diese künstlerische Gestaltung der Grundcharakter substantieller organischen Seiende verkörpert. Denn das Besondere bildet nicht nur das einzelne Dasein aus, sondern durch die Negation seiner selbst kehrt in das Unendliche (oder Wesen) wieder. Das ist der Grund dafür, dass wir trotz einer Reihe von tragödischen Konsequenz sowohl das Gefühl der Schönheit als auch das Erhabene der Ideen gewinnen.
      번역하기

      Bei Schelling stellt die Kunst eine selbständige und organische Welt dar. Daher sollte das Gebilde der Kunst weder nur das Produkt menschlicher Absicht noch die bloße Nachahmerin der Natur sein. In seiner Philosophie der Kunst versucht Schelling...

      Bei Schelling stellt die Kunst eine selbständige und organische Welt dar. Daher sollte das Gebilde der Kunst weder nur das Produkt menschlicher Absicht noch die bloße Nachahmerin der Natur sein. In seiner Philosophie der Kunst versucht Schelling darzulegen, dass die Kunst sowohl das organische Produkt der 'inneren Zweckmäßigkeit' als auch ein Existenz einer bewußtlosen Unendlichkeit sein soll. Kurz gesagt, ist der Grundcharakter des Kunstwerks eine Synthesis von Natur und Freiheit.
      Um diese Synthesis beider zu erläutern, zeigt er wie ein Gestalt solche gegensätzliche Einheit bilden kann. In der Tat ist der Held der griechischen Tragödie eben das Vorbild dieser Widerspruchsstruktur. Zwar mußte z.B. der Wille von Oedipus der Notwendigkeit des Schicksals unterliegen, aber "um die Notwendigkeit nicht überwinden zu lassen, (…) mußte der Held auch für diese―durch das Schicksal verhängte―Schuld freiwillig büßen"(341). So ist dieser Widerspruch zugleich der Grund der Versöhnung und der Harmonie. Ferner kann man sagen, dass diese künstlerische Gestaltung der Grundcharakter substantieller organischen Seiende verkörpert. Denn das Besondere bildet nicht nur das einzelne Dasein aus, sondern durch die Negation seiner selbst kehrt in das Unendliche (oder Wesen) wieder. Das ist der Grund dafür, dass wir trotz einer Reihe von tragödischen Konsequenz sowohl das Gefühl der Schönheit als auch das Erhabene der Ideen gewinn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셸링에 따르면, 예술의 참된 형성체는―자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결코 단순한 인간 구성물로도 혹은 자연필연적 산물로도 간주될 수 없다. 만일 전자의 경우라면 예술작품은 한갓 제작품 내지 인공물로 전락하며 또 후자의 경우라 한다면 그것은 예술의 내적 합목적성을 도외시하는 셈이다. 예술의 본질에 근접하기 위해선 이 두 가지 계기가 내적으로 통합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셸링 예술철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바로 자유와 자연필연성 간의 통일, 다시 말해 자연과 예술에 공히 깃들어있는 이 대립적 계기들을 어떻게 혼융, 해소시켜낼 것인가의 문제였다. 이것이 그에게는 스피노자 사상의 내용변환으로, 나아가 자유와 필연성 간의 대립적 통일 문제로 나타났다.그리스비극의 모순구조에 대한 셸링의 이해방식은 바로 이런 견지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스 비극에서 필연성과 자유의 대립적 통일이 형상화되고 있는 것은 유기적 생명체가 갖는 무한자­유한자 간의 내적 모순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작품이 고도의 생명성을 체현하고 있는 한에서, 그것은 우리에게 미와 더불어 숭고의 계기를 형성함은 물론, 실체화된 유기체적 존재자의 근원성격을 예시한다. 즉 비극의 주인공은 운명으로서의 무한자적 필연성에 굴복하는 듯하지만 동시에 유한자로서의 자유의 극한을 밀고 나감으로써 다시금 이념으로서의 무한자로 복귀하고 있는 것이다. 그 비극적인 산화(散華)에서 우리는 미의 정서적 감동만이 아니라 이념의 숭고를 보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예술의 본령에 의해 인간 본성의 내적 생명력 전체가 약동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셸링에 따르면, 예술의 참된 형성체는―자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결코 단순한 인간 구성물로도 혹은 자연필연적 산물로도 간주될 수 없다. 만일 전자의 경우라면 예술작품은 한갓 제작...

      셸링에 따르면, 예술의 참된 형성체는―자연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결코 단순한 인간 구성물로도 혹은 자연필연적 산물로도 간주될 수 없다. 만일 전자의 경우라면 예술작품은 한갓 제작품 내지 인공물로 전락하며 또 후자의 경우라 한다면 그것은 예술의 내적 합목적성을 도외시하는 셈이다. 예술의 본질에 근접하기 위해선 이 두 가지 계기가 내적으로 통합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하여 셸링 예술철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바로 자유와 자연필연성 간의 통일, 다시 말해 자연과 예술에 공히 깃들어있는 이 대립적 계기들을 어떻게 혼융, 해소시켜낼 것인가의 문제였다. 이것이 그에게는 스피노자 사상의 내용변환으로, 나아가 자유와 필연성 간의 대립적 통일 문제로 나타났다.그리스비극의 모순구조에 대한 셸링의 이해방식은 바로 이런 견지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스 비극에서 필연성과 자유의 대립적 통일이 형상화되고 있는 것은 유기적 생명체가 갖는 무한자­유한자 간의 내적 모순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작품이 고도의 생명성을 체현하고 있는 한에서, 그것은 우리에게 미와 더불어 숭고의 계기를 형성함은 물론, 실체화된 유기체적 존재자의 근원성격을 예시한다. 즉 비극의 주인공은 운명으로서의 무한자적 필연성에 굴복하는 듯하지만 동시에 유한자로서의 자유의 극한을 밀고 나감으로써 다시금 이념으로서의 무한자로 복귀하고 있는 것이다. 그 비극적인 산화(散華)에서 우리는 미의 정서적 감동만이 아니라 이념의 숭고를 보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예술의 본령에 의해 인간 본성의 내적 생명력 전체가 약동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형미술과 자연의 관계" 책세상, 서울 2002

      2 "자연철학의 이념" 서광사, 서울 1999

      3 "선험론적 관념론의 체계 5,6장, 헤겔과 포스트구조주의" 동과서, 서울 305-340, 2004

      4 "erschienen in 2 Abteilungen I 1-10 und II" 1-4, 1861

      5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1989

      6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1989

      7 "Theorie­Werkausgabe in zwanzig Bänden Redaktion von E" 1969

      8 "Philosophie und Religion , 철학과 종교, 인간적 자유의 본질 외" 한길사, 서울 2000

      9 "Philosophie der Kunst, Ausgewählte Werke, Darmstadt" 1990

      10 "Kritik der Urteilskraft" 1790-1793, 1990

      1 "조형미술과 자연의 관계" 책세상, 서울 2002

      2 "자연철학의 이념" 서광사, 서울 1999

      3 "선험론적 관념론의 체계 5,6장, 헤겔과 포스트구조주의" 동과서, 서울 305-340, 2004

      4 "erschienen in 2 Abteilungen I 1-10 und II" 1-4, 1861

      5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1989

      6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1989

      7 "Theorie­Werkausgabe in zwanzig Bänden Redaktion von E" 1969

      8 "Philosophie und Religion , 철학과 종교, 인간적 자유의 본질 외" 한길사, 서울 2000

      9 "Philosophie der Kunst, Ausgewählte Werke, Darmstadt" 1990

      10 "Kritik der Urteilskraft" 1790-1793, 1990

      11 "Griechische und deutsch" 문예출판사 1984

      12 "Früher Idealismus und Frühromantik Der Streit um die Grundlagen der Ästhetik" 1795-1805, 1995

      13 "Ancient Art and Ritual, 고대 예술과 제의" 예전사, 서울 1996

      14 "333-510 Fernere Darstellungen aus dem System der Philosophie" 1802

      15 "289-329 Über das Verhältnis der bildenden Künste zu der Natur" 1807

      16 "281-341 Philosophische Briefe über Dogmatismus und Kritizismus" 17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736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