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후주거지 진단항목 설정 및 중요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03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mer days, development of residence in pre-existing urban district is diagnosed region with physical environmental basis and promoted regeneration project without considering dweller’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Physical and socio-economical diagnose levels are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the calculating weight of diagnosis items and the setting the socio-economical criteria that can be understood selection standard of deteriorated residences. That could be suggest about supplementation and phased maintenance about specifying criterion of scheduled maintenance district and submit documents for district designating. The Diagnosis items for deteriorated residence is established through the study about relative law and books. Based on relative idea, principal words are selected. And preliminary diagnosis items are selec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guide for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and housing environments, relative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case study in project.
      And final diagnosis items is selected from preliminary items with considering urban-locational,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s. Main and sub categories of diagnosis items are analyzed with mutual comparison. Detailed category of diagnosis items is analyzed with Likert scales(scale of one to five) weight analysis and averaged value. and the weights are drawn from the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38 diagnosis items of deteriorated residence, important sequence is physical environment(37.4%), socio-economical environment and urban-locational environment(35.3%). Land use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urban locational environment, population and household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socio-economical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physical environment.
      번역하기

      Former days, development of residence in pre-existing urban district is diagnosed region with physical environmental basis and promoted regeneration project without considering dweller’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Physical and socio-economical d...

      Former days, development of residence in pre-existing urban district is diagnosed region with physical environmental basis and promoted regeneration project without considering dweller’s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Physical and socio-economical diagnose levels are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the calculating weight of diagnosis items and the setting the socio-economical criteria that can be understood selection standard of deteriorated residences. That could be suggest about supplementation and phased maintenance about specifying criterion of scheduled maintenance district and submit documents for district designating. The Diagnosis items for deteriorated residence is established through the study about relative law and books. Based on relative idea, principal words are selected. And preliminary diagnosis items are selec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guide for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and housing environments, relative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case study in project.
      And final diagnosis items is selected from preliminary items with considering urban-locational,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s. Main and sub categories of diagnosis items are analyzed with mutual comparison. Detailed category of diagnosis items is analyzed with Likert scales(scale of one to five) weight analysis and averaged value. and the weights are drawn from the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38 diagnosis items of deteriorated residence, important sequence is physical environment(37.4%), socio-economical environment and urban-locational environment(35.3%). Land use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urban locational environment, population and household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socio-economical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is most important in the sub category of physical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수정, "현지개량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비수법 및 모델개발, 주택도시연구원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전주시, 청주시, 포항시, 천안시, (각 년도)"

      2 김홍배, "지역진단 지표개발과 지역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83-196, 2008

      3 임희지, "지역적응형 가구단위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4 김현진, "중소도시의 노후주거지 진단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178-191, 2008

      5 박철수, "중·저층 고밀형 노후주거지 정비수법에 관한 사례조사 및 모델개발" 주택도시연구원 2002

      6 김혜천, "주거환경개선지구의 유형별 거주특성과 사업시행방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중심으로" 11 (11): 1999

      7 김근성, "주거환경개선지구 입지특성과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진주시 13개 주거환경개선지구를 중심으로" 16 (16): 2000

      8 김인희, "제1종 일반주거지역 내 노후주거지 실태 분석 및 정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9 이창수, "전국 노후불량주거지역의 현황과 효율적 정비방안" 대한주택공사 2004

      10 강세진, "서울시 주거지유형별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1 서수정, "현지개량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비수법 및 모델개발, 주택도시연구원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전주시, 청주시, 포항시, 천안시, (각 년도)"

      2 김홍배, "지역진단 지표개발과 지역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83-196, 2008

      3 임희지, "지역적응형 가구단위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4 김현진, "중소도시의 노후주거지 진단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178-191, 2008

      5 박철수, "중·저층 고밀형 노후주거지 정비수법에 관한 사례조사 및 모델개발" 주택도시연구원 2002

      6 김혜천, "주거환경개선지구의 유형별 거주특성과 사업시행방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시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를 중심으로" 11 (11): 1999

      7 김근성, "주거환경개선지구 입지특성과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진주시 13개 주거환경개선지구를 중심으로" 16 (16): 2000

      8 김인희, "제1종 일반주거지역 내 노후주거지 실태 분석 및 정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9 이창수, "전국 노후불량주거지역의 현황과 효율적 정비방안" 대한주택공사 2004

      10 강세진, "서울시 주거지유형별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11 정치선, "불량주택지역의 주거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부산시 주거환경개선 지구 현지개량방식을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3 1.29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