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균형, 포괄, 연관을 강조하는 홀리스틱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고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질적으로 사례 연구하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실행되는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21879
2009
Korean
370.714
KCI등재
학술저널
1-25(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균형, 포괄, 연관을 강조하는 홀리스틱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고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질적으로 사례 연구하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실행되는 학...
이 연구는 균형, 포괄, 연관을 강조하는 홀리스틱 교육과정의 맥락에서 고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질적으로 사례 연구하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실행되는 학급 간 능력별 집단편성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 설정 후 이론적 배경 탐색을 통해서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의 타당성과 부당성을 파악하고,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과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분석 단위로 설정하였다. 이후 설정된 분석 단위들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현장 수업에 대한 서술적 관찰,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심층면담, 학생에 대한 서술적 관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질적 자료들은 학습기회시간분석과 중요사레추출, 과정분석, 분석단위에 대한 서술적 분석 등의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이 지니는 교육적 타당성을 점검하고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의 한계점을 도출하면서 이를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으로 평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an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focusing on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which an differenti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 high school would be observed to review an educational validity...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an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focusing on ability grouping between classes, in which an differenti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 high school would be observed to review an educational validity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Such ways of study showed the summarized results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the school affairs management and differenti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subject to the study have been perverted due to a various present limits imposed on the high schools in our nation. Second,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the differences of the learning duration and opportunities between ability grouping were confirmed, and the students in the low-level group were sustaining damages, the inequality due to a reduced and controlled learning opportunities. Third, on the basis of the students, the students in the high school subject to the study, revealed a peer interaction in heterogeneous ability group much more active then in homogeneous ability group. Fourth,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the high school subject to the study had a negative recognition for the validity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Lastly, This study checked the problem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through holistic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도서출판 엘리트 2002
2 Miller, J. P,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2000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09.6.11) 보완자료"
4 박소영,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5 양정현, "중등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론과 현장의 간극-"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73-91, 2005
6 조난심,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보고 CR97-3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1997
7 조난심,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방안 연구"
8 최호성, "열린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방안" 7 (7): 35-56, 1997a
9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10 양승갑,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5
1 김복영, "홀리스틱 교육의 원리와 방법" 도서출판 엘리트 2002
2 Miller, J. P,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2000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방안: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09.6.11) 보완자료"
4 박소영,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5 양정현, "중등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론과 현장의 간극-"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73-91, 2005
6 조난심,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보고 CR97-3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1997
7 조난심,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 방안 연구"
8 최호성, "열린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방안" 7 (7): 35-56, 1997a
9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10 양승갑,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5
11 임재훈, "수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방안과 교수 학습 자료 개발" 8 : 395-403, 1999
12 최호성,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교원의 의식" 7 (7): 43-63, 1997
13 최호성,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교원의 의식" 7 (7): 43-63, 1997b
14 김재춘,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1999
15 김경자,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천적 의미" 14 (14): 215-236, 2000
16 이중권,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새로운 방향" 37 (37): 139-145, 1998
17 허경철,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18 박찬봉,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와 촉진 요인 분석" 경남대학교 2002
19 이미호,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동학년 교사들의 학습 공동체 형성에 관한 반성적 실천 연구" 경남대학교 2006
20 정미경,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현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고려대학교 2000
21 조대훈, "수준별 교육과정 담론의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4 (34): 9-234, 2002
22 허경철, "교육과정 2000 연구개발 수준별 교육과정안"
23 남경희, "교사의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 민간 교수학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153-186, 2005
24 Feldhusen, J. F, "Why the public schools will continue to neglect the gifted" 67 (67): 55-59, 1989
25 Slavin, R. E., "Why ability grouping must end: Achieving excellence and equity in American education" 1-24, 1992
26 Johnson, D. W, "What to say to people concerned with the education of high ability and gifted students. in The challenge of detracking: A collection. Papatine, Illinois: IRI/Skylight" Publishing, Inc 1993
27 Barquet, N, "Tracking perpetuates the clas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3 (3): 3-5, 1992
28 George, P. S., "Tracking and ability grouping in Florida: Educator’s perceptions" 23 (23): 1992
29 Oakes, J, "Tracking and ability grouping a structural barrier to access and achievement., in The challenge of detracking: A collection. Papatine, Illinois: IRI/Skylight" Publishing, Inc 3-25, 1993
30 Berends, M, "The effects of stratification in secondary schools: Synthesis of survey and ethnographic research" 57 (57): 415-435, 1987
31 Oakes, J, "Keeping track: How schools structure inequality" Yale University Press 1985
32 Oakes, J., "Keeping track, Part 1: The policy and practice of curriculum inequality. in The challenge of detracking: A collection. Papatine, Illinois: IRI/Skylight" Publishing, Inc 37-52, 1993
33 Benbow, C. P., "Inequity in equity: How equity can lead to inequity for high-potential students. in American Mensa Education and Research Foundation"
34 Barquet, N, "Excellence and equity: What research says about tracking" 3 (3): 6-8, 1992a
35 Kulik, C-L. C, "Effects of inter-class ability grouping on achievement and self-esteem" 1985
36 Kulik, J. A.,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 meta-analysis evaluation findings" 19 : 415-428, 1982
37 Kulik, C-L. C,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13-17, 1981
38 Brewer, D. J, "Detracking America’s schools the reform without cost? in Will going the school allow him to reach the top? American Mensa Education and Research Foundation"
39 Wheelock, A, "Crossing the tracks" The New Press 1992
40 Gamoran, A., "An organization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ability grouping" 32 (32): 387-715, 1996
41 Davis, C, "An investigation of homogeneous versus heterogeneous grouping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s" 10 (10): 152-181, 2007
42 Slavin, R. E, "Achievement effect of ability grouping in secondary schools: A best-evidence synthesis" 60 (60): 75-103, 1990
43 Allan, S. D, "Ability-grouping research reviews: What do they say about grouping and the gifted?" XXII (XXII): 5-10, 1992
44 Sims, M,, "Ability grouping, acceleration, differentiation: An exemplary equation" 22 (22): 12-15, 2002
45 Ireson, J, "Ability grouping in education" Paul Chapman Publishing 2001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이타주의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2-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7-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6-1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21 | 1.342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