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물로 본 발해와 중부 =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에 대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5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해는 멀고 가까운 이웃들과 활발하게 교류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에 대해서는 『신당서』 「발해전」에 전하는 발해와 일본, 신라, 당 그리고 거란과의 사이에 있었던 교역-교통로의 존재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발해에는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는 대외 교역-교통로들도 있었을 것인데 그 대표적인 것이 지금의 중앙아시아지역까지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북방루트의 하나인 담비길이다.
      이 글에서는 아르세니예브까 강 유역 발견 소그드 은화, 니꼴라예브까 Ⅱ 성 발견 청동거울, 토대자촌 부근 출토 사리함 유리병, 토대자사지 출토 서아시아 신장상, 아브리꼬스 절터 출토 경교 십자가, 유즈노-우쑤리스크 성터 및 아르세니예브까 강 유역 발견 ‘룬 문자’ 강돌, 끄라스끼노 성 출토 쌍봉낙타 뼈와 청동 쌍봉낙타상, 화병모양 거란 토기, 고누판, 니꼴라예브까 Ⅰ 성 출토 철제 바르간, 꼭샤로브까 1 성 발견 원무 토기편, 꼭샤로브까-8 유적 출토 동심능형격자문 ‘위구르’ 토기, 상경성 2호 궁전 출토 사슴무늬 대형 화병모양 거란 토기 등을 중심으로 발해와 중부-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 유물들은 발해시기에 소그드, 위구르, 거란 등에서 발해지역으로 유입된 것들, 반대로 발해지역에서 위구르 지역으로 전해진 것, 서역의 문화요소는 맞지만 당나라를 거쳐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 발해이전에 이미 전해져 지역의 전통으로 남게 된 것들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번역하기

      발해는 멀고 가까운 이웃들과 활발하게 교류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에 대해서는 『신당서』 「발해전」에 전하는 발해와 일본, 신라, 당 그리고 거란과의 사이에 있었...

      발해는 멀고 가까운 이웃들과 활발하게 교류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에 대해서는 『신당서』 「발해전」에 전하는 발해와 일본, 신라, 당 그리고 거란과의 사이에 있었던 교역-교통로의 존재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발해에는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는 대외 교역-교통로들도 있었을 것인데 그 대표적인 것이 지금의 중앙아시아지역까지 연결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북방루트의 하나인 담비길이다.
      이 글에서는 아르세니예브까 강 유역 발견 소그드 은화, 니꼴라예브까 Ⅱ 성 발견 청동거울, 토대자촌 부근 출토 사리함 유리병, 토대자사지 출토 서아시아 신장상, 아브리꼬스 절터 출토 경교 십자가, 유즈노-우쑤리스크 성터 및 아르세니예브까 강 유역 발견 ‘룬 문자’ 강돌, 끄라스끼노 성 출토 쌍봉낙타 뼈와 청동 쌍봉낙타상, 화병모양 거란 토기, 고누판, 니꼴라예브까 Ⅰ 성 출토 철제 바르간, 꼭샤로브까 1 성 발견 원무 토기편, 꼭샤로브까-8 유적 출토 동심능형격자문 ‘위구르’ 토기, 상경성 2호 궁전 출토 사슴무늬 대형 화병모양 거란 토기 등을 중심으로 발해와 중부-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 유물들은 발해시기에 소그드, 위구르, 거란 등에서 발해지역으로 유입된 것들, 반대로 발해지역에서 위구르 지역으로 전해진 것, 서역의 문화요소는 맞지만 당나라를 거쳐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는 것, 발해이전에 이미 전해져 지역의 전통으로 남게 된 것들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lhae developed its culture, actively engaging in exchange activities with distant and close neighbors.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Records of Balhae” in Chinese chronicle “Xin Tang shu”, which refers to the existence of trade and transport routes between Balhae and Japan, Silla, Tang China and the Khitan. Besides, there must be other Balhae external commercial roads, which are not mentioned in written sources. Of the latter, the scientists call “The sable road”, which is one of the North roads.
      In this article, the issue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Balhae and the Central Asia are examined on such artifacts as Sogdian silver coin from basin of Arsen’evka river, bronze mirror from the fortress Nikolaevka II, a glass bottle in sarira casket found near the village of Tutaizicun, West Asian sculpture of warrior of heaven from Buddhist temple Tutaizicun, clay object with the image of Nestorian cross from Abricos Buddhist temple, pebbles with “rune script” from the fortress of South-Ussuriysk and from basin of Arsen’evka river, camel bone, bronze figure of a camel, vase-shaped Khitan vessel and stone plate with the image of “Gonu” from Kraskino fortress, iron mouth harp from Nikolaevka I fortress, ceramic fragment with the image of dancers from Koksharovka I fortress, a fragment of “Uighur” vessel with an ornament in the form of concentric lozenges from Koksharovka VIII site, lastly vase-shaped Khitan vessel with an ornament in the form of a deer from the Palace 2 of Upper capital.
      Among these artifacts there are passed from the Sogdiana, the Uighur and the Khitan in Balhae during Balhae period, passed from Balhae to the territory of the Uighurs, and passed via Tang China to Balhae, which are at the same time cultural elements of Central Asia, and also artifacts passed before the period of Balhae and remaining as a local tradition.
      번역하기

      Balhae developed its culture, actively engaging in exchange activities with distant and close neighbors.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Records of Balhae” in Chinese chronicle “Xin Tang shu”, which refers to the existence of trade and transport...

      Balhae developed its culture, actively engaging in exchange activities with distant and close neighbors.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Records of Balhae” in Chinese chronicle “Xin Tang shu”, which refers to the existence of trade and transport routes between Balhae and Japan, Silla, Tang China and the Khitan. Besides, there must be other Balhae external commercial roads, which are not mentioned in written sources. Of the latter, the scientists call “The sable road”, which is one of the North roads.
      In this article, the issue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Balhae and the Central Asia are examined on such artifacts as Sogdian silver coin from basin of Arsen’evka river, bronze mirror from the fortress Nikolaevka II, a glass bottle in sarira casket found near the village of Tutaizicun, West Asian sculpture of warrior of heaven from Buddhist temple Tutaizicun, clay object with the image of Nestorian cross from Abricos Buddhist temple, pebbles with “rune script” from the fortress of South-Ussuriysk and from basin of Arsen’evka river, camel bone, bronze figure of a camel, vase-shaped Khitan vessel and stone plate with the image of “Gonu” from Kraskino fortress, iron mouth harp from Nikolaevka I fortress, ceramic fragment with the image of dancers from Koksharovka I fortress, a fragment of “Uighur” vessel with an ornament in the form of concentric lozenges from Koksharovka VIII site, lastly vase-shaped Khitan vessel with an ornament in the form of a deer from the Palace 2 of Upper capital.
      Among these artifacts there are passed from the Sogdiana, the Uighur and the Khitan in Balhae during Balhae period, passed from Balhae to the territory of the Uighurs, and passed via Tang China to Balhae, which are at the same time cultural elements of Central Asia, and also artifacts passed before the period of Balhae and remaining as a local trad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발해유적 발견의 중부 - 중앙아시아지역 관련 유물들
      • Ⅲ. 맺음말 - 고찰을 겸하여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발해유적 발견의 중부 - 중앙아시아지역 관련 유물들
      • Ⅲ. 맺음말 - 고찰을 겸하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