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최근 중국학계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동북공정이 공식적으로 종료된 지 10년에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중국학계에서는 여전히 고구려를 중국 중앙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45695
2017
Korean
고구려 종교 ; 고구려 사상 ; 유교 ; 불교 ; 도교 ; 주몽신화 ; Koguryo’s Religion ; Koguryo’s Idea ; Confucianism ; Buddhism ; Taoism ; Jumong Myth
KCI등재
학술저널
35-57(2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최근 중국학계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동북공정이 공식적으로 종료된 지 10년에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중국학계에서는 여전히 고구려를 중국 중앙왕...
본고는 최근 중국학계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동북공정이 공식적으로 종료된 지 10년에 가까운 세월이 지났지만, 중국학계에서는 여전히 고구려를 중국 중앙왕조의 지방정권 · 소수민족정권으로 간주하고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부분으로 서술하고 있다.
고구려사를 바라보는 중국학계의 이와 같은 시각은 고구려의 종교 · 사상 관련 연구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즉 해당 주제에 대한 치밀한 학술적 분석보다는 고구려의 신화나 종교 · 사상의 기원이 중국에 닿아 있고, 국가 성립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중국 문화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는 주장이 큰 흐름으로 전개되고 있다.
최근 고구려 종교 · 사상에 대한 중국학계의 연구는 양적으로 확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로 연구 범위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관련 분야에 대한 한국 · 일본학계의 연구 성과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뿐만 아니라 중국 학계 내에서도 비슷한 연구 주제와 주장들이 매년 저자를 달리해서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점도 큰 문제라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recent trends in Chinese academic circle in their studies on Koguryo’s history of religions and thought. It has been almost 10 years since ‘the Northeast Project’ officially ended. However, Chinese scholars still regard K...
This paper analyzed the recent trends in Chinese academic circle in their studies on Koguryo’s history of religions and thought. It has been almost 10 years since ‘the Northeast Project’ officially ended. However, Chinese scholars still regard Koguryo as ‘Chinese local government’ and describe Koguryo’s history as a part of China’s history. This perspective of Chinese scholars about Koguryo’s history is reflected in the studies on religion and thought of Koguryo.
Recently, Chinese scholars’ studies on Koguryo’s history of religion and thought have not only expanded quantitatively but the scope of research extended to various subjects. Such studie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consistently claim that the origins of Koguryo’s myth, religion, and thought are from China. Secondly, there is a strong argument that Koguryo was continuously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Third,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and Japanese academia are not sufficiently reflected. Fourt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similar research topics and arguments are produced repeatedly each year by different auth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돈,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上" 1994
2 李萬烈, "柳洪烈博士 華甲紀念論叢" 探求堂 1971
3 김복순,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민족사 2002
4 이승호, "특집1논문: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천제지자(天帝之子) 관념 형성의 사적(史的)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81) : 99-138, 2011
5 조영광,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고대사" 주류성 2012
6 정호섭, "중국의 POST 東北工程과 고구려사 관련 동향 분석" 고려사학회 (51) : 37-70, 2013
7 이정빈,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8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9 심희찬, "미시나 쇼에이(三品彰英)의 신화연구와 근대역사학 : 식민주의 역사학의 사상사적 재구성" 역사문제연구소 20 (20): 257-299, 2016
10 조경철, "고려 광개토왕대 불교와 유교의 전개양상" 한국고대사학회 (68) : 67-99, 2012
1 노태돈,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 上" 1994
2 李萬烈, "柳洪烈博士 華甲紀念論叢" 探求堂 1971
3 김복순,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민족사 2002
4 이승호, "특집1논문: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천제지자(天帝之子) 관념 형성의 사적(史的)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81) : 99-138, 2011
5 조영광,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고대사" 주류성 2012
6 정호섭, "중국의 POST 東北工程과 고구려사 관련 동향 분석" 고려사학회 (51) : 37-70, 2013
7 이정빈,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8 김영태, "삼국시대 불교신앙 연구" 불광출판부 1990
9 심희찬, "미시나 쇼에이(三品彰英)의 신화연구와 근대역사학 : 식민주의 역사학의 사상사적 재구성" 역사문제연구소 20 (20): 257-299, 2016
10 조경철, "고려 광개토왕대 불교와 유교의 전개양상" 한국고대사학회 (68) : 67-99, 2012
11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12 이정빈, "고구려 태학 설립의 배경과 성격" 한국교육사학회 36 (36): 161-176, 2014
13 최일례, "고구려 시조묘 제사의 정치성 연구" 전남대학교 2015
14 李大龍, "黃龍與高句麗早期曆史 - 以《好太王碑》所載鄒牟、儒留王事跡爲中心-" 2015
15 姜維東, "高句麗黃龍升天傳說" 2008
16 張碧波, "高句麗薩滿文化研究" 2008
17 劉洪峰, "高句麗與夫餘建國神話初探" 2013
18 齊利毅, "高句麗與中國北朝佛教造像比較研究" 延邊大學 2014
19 李岩, "高句麗祭祀習俗中的儒家文化因子" 2014
20 姜維東, "高句麗神馬傳說" 2009
21 範恩實, "高句麗祖先記憶解析" 2013
22 孫顥, "高句麗的祭祀" 2007
23 王卓, "高句麗王族的族源神話建構及其曆史影響" 2015
24 姜維東, "高句麗王室得姓傳說" 2013
25 姜維東, "高句麗獻魚卻敵傳說 - 高句麗傳說考源之三 -" 2010
26 陳香紅, "高句麗法律思想的文化基礎" 2011
27 李淑英, "高句麗民族禮儀初探" 2008
28 楊軍, "高句麗朱蒙神話研究" 2009
29 張芳, "高句麗建國傳說的神話學內涵" 2014
30 李新全, "高句麗建國傳說史料辨析" 2010
31 姜維東, "高句麗延優傳說" 2010
32 劉洪峰, "高句麗宗教史料探析" 2013
33 李樂營, "高句麗宗教信仰研究" 東北師範大學 2008
34 姜維公, "高句麗始祖傳說研究" 2013
35 姜維東, "高句麗始祖傳說中河伯女內容探源 - 高句麗傳說考源之四" 2010
36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37 姜維東, "高句麗卵生傳說研究" 2009
38 李樂營, "高句麗佛教禮拜對象辨析" 2008
39 金和經, "高句麗 建國神話의 硏究" 86 : 1998
40 강진원, "高句麗 國家祭祀 硏究" 서울대학교 2015
41 정선여, "高句麗 佛敎史 硏究" 서경문화사 2007
42 劉偉, "論高句麗道教的傳播及其“道”的內涵" 2014
43 祝立業, "簡析高句麗始祖傳說的建構與夫餘衰亡之關系" 2015
44 三品彰英, "神話と文化史" 平凡社 1971
45 李海濤, "略論高句麗的佛教及其影響" 2011
46 陳健, "濊貊族建國傳說共用模式研究" 2014
47 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篇" 吉川弘文館 1940
48 李乃沃, "淵蓋蘇文의 執權과 道敎" (99·100) : 1983
49 조영광, "河伯女 신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 국가형성기의 상황" 12 : 2006
50 呂志國, "樸赫居世神話與朱蒙神話對比分析" 2014
51 박시인, "東明王 卵生移住說話의 硏究-알타이계 시조신화-" 12 : 1966
52 노태돈, "朱蒙의 出自傳承과 桂婁部의 起源" 5 : 1993
53 張碧波, "感日卵生 - 高句麗族源神話 - 兼及「東明王篇」的解析-" 2010
54 徐棟梁, "從開國傳說看高句麗文化的淵源" 2010
55 祝立業, "從碑志看高句麗人的始祖記憶與族群認同" 2016
56 鞏春亭, "從朱蒙神話看高句麗的尚武習俗" 2012
57 季南, "從朱蒙神話看高句麗民族多元文化因子" 2010
58 鞏春亭, "從朱蒙神話看韓國古代女性的地位及自我意識" 2011
59 黃龍順, "從史料看高句麗祭祀" 13 : 2014
60 姜維公, "好太王碑及其“始祖傳說”模式的意義 - 以高句麗早期王系爲中心-" 2016
61 박승범, "夫餘國의 신화적 변동과 東明神話의 시・공간적 推移" 고려사학회 (37) : 457-494, 2009
62 黃震雲, "夫餘和高句麗神話傳說與族源考" 2012
63 劉偉, "儒家思想在高句麗王國後期的傳播及影響" 2011
64 劉偉, "儒家思想在高句麗前期的傳播原因及影響" 2006
65 李樂營, "佛教對高句麗建築的影響" 2013
66 李樂營, "佛教向高句麗傳播路線的探析" 2008
67 齊利毅, "佛教初傳高句麗時間探析" (21) : 2013
68 김수진, "7세기 高句麗의 道敎受容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59) : 163-202, 2010
69 조우연, "4∼5세기 고구려 국가제사와 불교신앙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70 조우연, "4∼5세기 高句麗의 佛敎 수용과 그 성격- ‘왕권강화 이론체계로서의 불교 수용’說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고대사탐구학회 (7) : 49-95, 2011
71 神崎勝, "(左伯有淸古稀記念)日本古代の傳承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199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1-07-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2-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 ![]() |
2008-02-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3 | 2.013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