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른바 大量殺傷武器擴散防止構想(PSI)에 대한 法的 小考 = A Legal Review on So-Called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65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said that the Post-Cold War Era has begu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ut with the frequent incidents of terrorism thereafter as well as the 9/11 terrorist attacks, we can never affirm with eas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afer than in the past.
      Furthermore, entering upon the post-Cold War era with the inadequacy of the special control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hereinafter “WMD”) such as biological, chemical or nuclear weapons, so-called “rogue states” or terrorists
      which are against United States and the West are, in fact, eager to obtain these WMD that are very useful means for achieving their strategical goals.
      Today being fully aware of the threat to global security brought about by the proliferation of WMD, Western powers led by the United States reinforce the co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In particular, the U.S. has changed its strategy to be aggressive, and having realized the limitation of existing international law since what is called the So San incident, President Bush put forth the so-called PSI on May 31, 2003 to further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society’s mutual assistance.
      PSI is a sort of multinational cooperation regime based on the participants’ voluntary performances within the international and participants’ domestic law framework. Thus the success of PSI depends on how faithfully the participants will carry out “Interdiction Principles”, and how positive they will be in taking part of the other PSI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exchange,
      interdiction training, etc. Ninety five countries including Korea so far have declared to fully participate in PSI, the fact which is regarded as the notable achievement made within a short period of about six years.
      In the mean time, in order to secure the lawful ground of PSI, the U.S. has tried to obta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sel resolutions, recently succeeding in Resolution 1874 being adopted by the Security Counsel. Moreover, the U.S. keeps providing legality for PSI through the additional
      ways that, for instances, are the bilateral agreement with flag of convenience states and amendment of so-called ‘SUA’ Convention, etc.
      With respect to PSI, what we should not overlook is that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law cannot be applied as it is to the issues from North-South relationship. If Seoul disregards the inter-Korean agreements such as ‘Armistice Agreement’ and ‘Maritime Transportation Accord’ in
      dealing with the “rogue” government-Pyongyang, the spark of armed conflicts is likely to be ignited in Korean Peninsula. Korea as a dutiful member of global society, therefore, is desired to be active in undertaking the mission of PSI as well as to take a much wiser stance than before to north Korea.
      번역하기

      It has been said that the Post-Cold War Era has begu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ut with the frequent incidents of terrorism thereafter as well as the 9/11 terrorist attacks, we can never affirm with eas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

      It has been said that the Post-Cold War Era has begu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but with the frequent incidents of terrorism thereafter as well as the 9/11 terrorist attacks, we can never affirm with eas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afer than in the past.
      Furthermore, entering upon the post-Cold War era with the inadequacy of the special control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non-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hereinafter “WMD”) such as biological, chemical or nuclear weapons, so-called “rogue states” or terrorists
      which are against United States and the West are, in fact, eager to obtain these WMD that are very useful means for achieving their strategical goals.
      Today being fully aware of the threat to global security brought about by the proliferation of WMD, Western powers led by the United States reinforce the co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roliferation. In particular, the U.S. has changed its strategy to be aggressive, and having realized the limitation of existing international law since what is called the So San incident, President Bush put forth the so-called PSI on May 31, 2003 to further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society’s mutual assistance.
      PSI is a sort of multinational cooperation regime based on the participants’ voluntary performances within the international and participants’ domestic law framework. Thus the success of PSI depends on how faithfully the participants will carry out “Interdiction Principles”, and how positive they will be in taking part of the other PSI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exchange,
      interdiction training, etc. Ninety five countries including Korea so far have declared to fully participate in PSI, the fact which is regarded as the notable achievement made within a short period of about six years.
      In the mean time, in order to secure the lawful ground of PSI, the U.S. has tried to obta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sel resolutions, recently succeeding in Resolution 1874 being adopted by the Security Counsel. Moreover, the U.S. keeps providing legality for PSI through the additional
      ways that, for instances, are the bilateral agreement with flag of convenience states and amendment of so-called ‘SUA’ Convention, etc.
      With respect to PSI, what we should not overlook is that general rules of international law cannot be applied as it is to the issues from North-South relationship. If Seoul disregards the inter-Korean agreements such as ‘Armistice Agreement’ and ‘Maritime Transportation Accord’ in
      dealing with the “rogue” government-Pyongyang, the spark of armed conflicts is likely to be ignited in Korean Peninsula. Korea as a dutiful member of global society, therefore, is desired to be active in undertaking the mission of PSI as well as to take a much wiser stance than before to nor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련의 붕괴로 탈냉전시대가 도래했다고 하나, 과거 9/11테러 사건을 비롯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테러사건들에 비추어 볼 때 국제사회가 결코 과거보다 안전해졌다고 쉽게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생ㆍ화학무기 또는 핵무기와 같은 대량살상무기(이하, WMD라 한다)의 非확산을 위한 국제사회의 통제장치가 미비한 가운데 탈냉전을 맞이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세계에 반기를 든 이른바 불량국가나 테러집단은 자신들의 전략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매우 유용한 수단인 이러한 WMD를 확보하고자 혈안이 되어 있는 게 현실이다.
      오늘날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열강들은 WMD의 확산으로 인한 안보적 위협을 충분히 인식하고 이의 확산방지를 위한 공조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9/11사태 이후 WMD의 확산 저지를 위해 군사적 조치를 포함하는 보다 공세적 전략으로 기존의 전략을 수정하였고, 이른바 ‘서산호’ 억류사건 이후로는 WMD 운송 차단을 위한 기존 국제법의 한계를 실감하여 부시 대통령이 2003. 5. 31. 이른바 PSI를 주창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공조 노력을 더욱 강화해 왔다.
      PSI는 참여국들의 자발적 조치와 이행에 기반한 일종의 협력체제로서 국제법과 참여국의 국내법적 틀 안에서 작동되어지는 것인바, 얼마나 참여국들이 성실히 PSI의 차단원칙 이행에 협조하는지, 그밖에 정보교환, 훈련참가 등 제반 PSI 활동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그 성공 여부가 달려 있는데 현재까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95개국이 전면 참여를 선언하여 6년이라는 짧은 세월에 상당한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한편, PSI의 법적 정당성 확보를 위하여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하여 최근 對북한 제재 목적의 결의 1875호가 선포되는 성과도 있었고, 더불어 미국은 이른바 SUA협약의 개정이나 便宜置籍國들과의 양자협정체결 등을 통하여 PSI 실행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남북한 관계는 일반적인 국제법질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이다. 만일 우리나라가 PSI에 참여하기로 했다하여 정전협정이나 남북해운합의서와 같은 남북한 간에 별도로 맺은 합의를 무시하고 불량국가인 북한을 상대할 때에는 자칫 한반도에 분쟁의 불씨를 키우는 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성실한 일원으로서 PSI 실행에 능동적으로
      임함은 물론 對북한관계에 있어서도 과거보다 더욱 현명한 대처가 요망되는 것이다.
      번역하기

      소련의 붕괴로 탈냉전시대가 도래했다고 하나, 과거 9/11테러 사건을 비롯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테러사건들에 비추어 볼 때 국제사회가 결코 과거보다 안전해졌다고 쉽게 말할 수는 없을 것...

      소련의 붕괴로 탈냉전시대가 도래했다고 하나, 과거 9/11테러 사건을 비롯한 빈번하게 발생하는 테러사건들에 비추어 볼 때 국제사회가 결코 과거보다 안전해졌다고 쉽게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생ㆍ화학무기 또는 핵무기와 같은 대량살상무기(이하, WMD라 한다)의 非확산을 위한 국제사회의 통제장치가 미비한 가운데 탈냉전을 맞이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세계에 반기를 든 이른바 불량국가나 테러집단은 자신들의 전략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매우 유용한 수단인 이러한 WMD를 확보하고자 혈안이 되어 있는 게 현실이다.
      오늘날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열강들은 WMD의 확산으로 인한 안보적 위협을 충분히 인식하고 이의 확산방지를 위한 공조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9/11사태 이후 WMD의 확산 저지를 위해 군사적 조치를 포함하는 보다 공세적 전략으로 기존의 전략을 수정하였고, 이른바 ‘서산호’ 억류사건 이후로는 WMD 운송 차단을 위한 기존 국제법의 한계를 실감하여 부시 대통령이 2003. 5. 31. 이른바 PSI를 주창함으로써 국제사회의 공조 노력을 더욱 강화해 왔다.
      PSI는 참여국들의 자발적 조치와 이행에 기반한 일종의 협력체제로서 국제법과 참여국의 국내법적 틀 안에서 작동되어지는 것인바, 얼마나 참여국들이 성실히 PSI의 차단원칙 이행에 협조하는지, 그밖에 정보교환, 훈련참가 등 제반 PSI 활동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그 성공 여부가 달려 있는데 현재까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95개국이 전면 참여를 선언하여 6년이라는 짧은 세월에 상당한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한편, PSI의 법적 정당성 확보를 위하여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하여 최근 對북한 제재 목적의 결의 1875호가 선포되는 성과도 있었고, 더불어 미국은 이른바 SUA협약의 개정이나 便宜置籍國들과의 양자협정체결 등을 통하여 PSI 실행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남북한 관계는 일반적인 국제법질서가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이다. 만일 우리나라가 PSI에 참여하기로 했다하여 정전협정이나 남북해운합의서와 같은 남북한 간에 별도로 맺은 합의를 무시하고 불량국가인 북한을 상대할 때에는 자칫 한반도에 분쟁의 불씨를 키우는 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성실한 일원으로서 PSI 실행에 능동적으로
      임함은 물론 對북한관계에 있어서도 과거보다 더욱 현명한 대처가 요망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宗和, "현대국제해양법론" 두남 146-, 2008

      2 박희권, "항해안전에 관한 불법행위 억제(SUA) 협약의 개정과 한국 외교" 서울국제법연구원 13 (13): 81-94, 2006

      3 김명기, "한반도평화조약의 체결" 국제법출판사 129-, 1994

      4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602-603, 2004

      5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143-144, 2004

      6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647-, 2004

      7 George W. Bush, "육사졸업식 연설문 : 봉쇄와 억지에서 선제공격으로"

      8 조성렬, "북핵실험 이후 PSI참여 확대범위는 어디까지인가" (57) : 4-, 2006

      9 황진환,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따른 대책과 국가위기관리" 5-, 1999

      10 박창권,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과 북한" 한국국방연구원 22 (22): 99-126, 2006

      1 崔宗和, "현대국제해양법론" 두남 146-, 2008

      2 박희권, "항해안전에 관한 불법행위 억제(SUA) 협약의 개정과 한국 외교" 서울국제법연구원 13 (13): 81-94, 2006

      3 김명기, "한반도평화조약의 체결" 국제법출판사 129-, 1994

      4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602-603, 2004

      5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143-144, 2004

      6 김영구,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21세기북스 647-, 2004

      7 George W. Bush, "육사졸업식 연설문 : 봉쇄와 억지에서 선제공격으로"

      8 조성렬, "북핵실험 이후 PSI참여 확대범위는 어디까지인가" (57) : 4-, 2006

      9 황진환,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따른 대책과 국가위기관리" 5-, 1999

      10 박창권,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과 북한" 한국국방연구원 22 (22): 99-126, 2006

      11 최준규, "남북해운합의서의 현황 및 법적 검토" 81-, 2005

      12 정서용,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15 (15): 1-22, 2008

      13 정서용, "국제법질서의 한계와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의 출현" 서울국제법연구원 14 (14): 1-20, 2007

      14 이병조, "국제법신강" 일조각 474-, 2003

      15 김대순, "국제법론" 삼영사 737-, 2004

      16 김정건, "국제법 주요판례집"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17 최홍배, "海洋法" 지산 78-, 2002

      18 李漢基, "國際法講義" 博英社 335-, 2006

      19 金燦奎, "國際法上으로 본 北傀의 軍事水域" 안보문제연구소 20 (20): 291-, 1977

      20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9/05/26/0200000000AKR20090526099400001.HTML?did=1195r"

      21 "http://www.voanews.com/english/archive/2002-12/a-2002-12-12-41-US.cfm?moddate"

      22 "http://www.state.gov/t/isn/c27726.htm"

      23 "http://www.imo.org/home.asp"

      24 "http://www.guardian.co.uk/world/2002/dec/12/yemen.northkorea"

      25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library/policy/national/nss-020920.pdf"

      26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library/policy/national/nss-020920.pdf"

      27 "http://edition.cnn.com/2002/WORLD/asiapcf/east/12/11/scud.ship/index.html"

      28 "http://archives.cnn.com/2002/WORLD/asiapcf/east/12/11/us.missile.ship/"

      29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33208.htm"

      30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30960.htm"

      31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25425.htm"

      32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25382.htm"

      33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25377.htm"

      34 "http://2001-2009.state.gov/t/isn/rls/other/25373.htm"

      35 "http://2001-2009.state.gov/t/isn/c19310.htm"

      36 Fabric Pothier,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 Towards a New Anti-Proliferation Consensus?"

      37 Samuel E. Logan,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 Navigating the Legal Challenges" 14 : 266-, 2005

      38 President George W., "Remarks to the People of Poland’, Wawel Royal Castle"

      39 Rebecca Weiner,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to Stem Flow of WMD Matériel"

      40 Benjamin Friedman,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 The Legal Challenge"

      41 박철민, "PSI의의의와 우리의 대응" 서울국제법연구원 14 (14): 43-54, 2007

      42 최종화, "PSI의 법적 정당성 확보에 관한 일고찰" 한국해사법학회 19 (19): 1-24, 2007

      43 박기련, "PSI와 바람직한 한국의 선택" 한국전략문제연구소 15 (15): 125-163, 2008

      44 최종화, "PSI 실행상의 법적 한계와 한국의 대응책" 한국해사법학회 15 (15): 1-32, 2003

      45 Michael Byers, "POLICING THE HIGH SEAS :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VE" 98 : 529-, 2004

      46 Thomas D. Lehrman, "Enhancing the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 The Case for A Decentralized Nonproliferation Architecture" 45 : 226-, 2004

      47 John R, Crook, "Contemporary Practice of the United States Relating to International Law : International Oceans, Environment, Health, and Aviation Law : United States Supports New Protocols Directed Against Use of Ships in Terrorism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100 : 224-225, 2006

      48 "Case Concerning Military and Paramilitary Activities in and against Nicaragua"

      49 오윤경, "21세기 현대국제법질서" 博英社 353-354,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