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3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본 연구는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참여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일상적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내용도 균형 있게 전개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교육경력에 따라 예술경험 영역의 운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들은 예술경험 영역 활동을 운영함에 있어 여전히 높은 어려움과 요구도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교사들은 참고자료의 한계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 학부모의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예술경험 영역을 운영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예술경험 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예술경험을 위한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체험 중심의 교사연수를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as well. To collect the data, 217 teachers were surveyed and 10 from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status of ‘Art Experience field’ in Nuri Curriculum as well. To collect the data, 217 teachers were surveyed and 10 from the teachers were chosen for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implemented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s daily routine activities generally and practiced the detailed contents of ‘Art Experience field’ variously. Nevertheles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and needs in implementing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activities due to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limitative references and parents’ misunderstanding art experience. In order to implement ‘Art Experience field’,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e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ocial networking and experience oriented teacher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s the practical plans that can accomplish the intrinsic meaning of ‘Art Experience field’ should be sough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원경,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9-339, 2010

      2 서현, "타악기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73): 233-266, 2012

      3 김춘일, "중등미술교육론" 교육과학사 2002

      4 김황기,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1-22, 2007

      5 윤은미,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 반응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93-120, 2007

      6 손윤경,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29-245, 2005

      7 지성애,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9, 2013

      8 이영주,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2006

      9 유영의, "유아음악교육 운영 실태 분석 및 음악환경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73): 309-332, 2012

      10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1 손원경, "현장중심 미술수업을 통한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9-339, 2010

      2 서현, "타악기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73): 233-266, 2012

      3 김춘일, "중등미술교육론" 교육과학사 2002

      4 김황기,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한국미술교육학회 21 (21): 1-22, 2007

      5 윤은미, "음악과 동작의 통합 활동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 반응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93-120, 2007

      6 손윤경, "음악감상활동을 통합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229-245, 2005

      7 지성애, "유치원교사의 미술교수효능감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5-29, 2013

      8 이영주,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2006

      9 유영의, "유아음악교육 운영 실태 분석 및 음악환경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3 (73): 309-332, 2012

      10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11 임부연, "유아미학교육: 예술과 학교개혁에 대한 시선과 담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109-130, 2009

      12 유희정,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11-245, 2007

      13 정은경, "유아기 예술교육의 재이해를 위한 고찰"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29-148, 2002

      14 이정화, "유아기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1 (1): 297-310, 2004

      15 최재영, "유아교육기관 미술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 서울 ·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한국조형교육학회 34 (34): 229-255, 2009

      16 이정수, "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13 (13): 35-44, 2012

      17 유혜자, "유아 국악활동의 실태와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473-499, 2012

      18 김권일, "예비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의 음악교육에 대한 교수 효능감 연구" 전남대학교 2007

      19 박찬옥, "영아반 예술경험활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31-62, 2011

      20 이훈희,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 이화여자대학교 2008

      21 김수연, "만 5세 입체조형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45-68, 2013

      22 지성애, "만 3세 유아 미술교육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23-48, 2014

      23 李京厚, "듀이의 예술론과 예술교육"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4 이윤옥, "누리과정 교육연수 참여경험과 근무기관 형태에 따른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세부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6 (16): 101-124, 2012

      25 조용기, "교육의 쓸모" 교육과학사 2005

      26 Ho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08

      27 엄정애,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33-158, 2009

      28 유경숙, "경기지역 유치원의 유아미술활동 실태 및 교사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5-27, 2014

      29 Jackson, P. W., "If we took Dewey’s aesthetics seriously, how would the arts be taught?" 1994

      30 Aoki, T., "Curriculum in a new key: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9-165, 1991

      31 Hargreaves, D. J., "Children and arts" Open University Press 3-21, 1989

      32 Garvis, S., "An investig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in the teaching the arts to young children" 9 (9): 289-304, 2011

      33 Baird, W. E., "A survey of secondary science teacher needs" 87 : 272-284, 1989

      34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35 황해익,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17-140, 2010

      36 이영애,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표현생활영역'의 중요도 및 실시정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11 (11): 1-19,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