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제암산 자연휴양림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Jeamsan Natural Recreation Forest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83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암산 자연휴양림의 산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38개의 조사구(조사구당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을 조사하였다. 38개의 조사구는 Cluster분석에 의하여 3개의 군집(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군집, 상수리나무와 때죽나무군집, 비목나무와 때죽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졸참나무와 머루,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졸참나무와 병꽃나무, 때죽나무와 졸참나무, 생강나무와 졸참나무 병꽃나무와 비목나무, 회나무와 산딸나무, 산초나무와 청가시덩굴, 줄사철과 회잎나무, 산철쭉과 신갈나무, 떡갈나무와 상수리나무, 생강나무와 병꽃나무,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 개암나무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와 개옻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때죽나무와 산철쭉, 생강나무와 산철쭉, 머루와 산철쭉, 자귀나무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비목나무, 소나무와 비목나무, 상수리나무와 비목나무, 산철쭉과 산딸나무, 떡갈나무와 고추나무, 자귀나무와 고추나무, 산초나무와 고추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884∼1.4516으로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제암산 자연휴양림의 산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38개의 조사구(조사구당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을 조사하였다. 38개의 조사구는 Cluster분석에 의하여 3개의 군집(신갈나무와 상...

      제암산 자연휴양림의 산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38개의 조사구(조사구당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을 조사하였다. 38개의 조사구는 Cluster분석에 의하여 3개의 군집(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군집, 상수리나무와 때죽나무군집, 비목나무와 때죽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졸참나무와 머루, 개암나무와 국수나무, 졸참나무와 병꽃나무, 때죽나무와 졸참나무, 생강나무와 졸참나무 병꽃나무와 비목나무, 회나무와 산딸나무, 산초나무와 청가시덩굴, 줄사철과 회잎나무, 산철쭉과 신갈나무, 떡갈나무와 상수리나무, 생강나무와 병꽃나무,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 개암나무와 산딸나무, 상수리나무와 개옻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때죽나무와 산철쭉, 생강나무와 산철쭉, 머루와 산철쭉, 자귀나무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비목나무, 소나무와 비목나무, 상수리나무와 비목나무, 산철쭉과 산딸나무, 떡갈나무와 고추나무, 자귀나무와 고추나무, 산초나무와 고추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884∼1.4516으로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Jeamsan natural recreation thirty-eight plots(each plots was 100㎡) were set up and surveyed. Three groups(Quercus mongolica-Q. acutissima, Q. acutissima-Styrax japonicus and Lindera erythrocarpa-S. japonicu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Q. serrata and Vitis amurensis,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Stephanandra incisa, Q. serrata and Weigela subsessilis, Styrax japonicus and Q. serrata, Lindera obtusiloba and Q. serrata, Weigela subsessilis and L. erythrocarpa, Euonymus sachalinensis and Cornus kousa, Zanthoxylum piperium and Smilax sieboldii, E. fortunei var. radicans and E. alata for. ciliato-dentatus,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Q. mongolica, Q. dendata and Q. acutissinma, Lindera obtusiloba and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Cornus kousa, Q. acutissima and Rhus verniciflu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Styrax japonicus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Lindera obtusiloba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Vitis coignetiae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Albizzia julibrissin and Q. acutissima, Q. variabilis and Lindera erythrocarpa, Pinus densiflora and L. erythrocarpa, Q. acutissima and L. erythrocarpa, R.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Cornus kousa, Q. dentata and Staphylea bumalda, A. julibrissin and S. bumalda, Zanthoxylum piperium and S. bumald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1.1884 ∼ 1.4516.
      번역하기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Jeamsan natural recreation thirty-eight plots(each plots was 100㎡) were set up and surveyed. Three groups(Quercus mongolica-Q. acutissima, Q. acutissima-Styrax japonicus and Lindera erythrocarpa-S. jap...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Jeamsan natural recreation thirty-eight plots(each plots was 100㎡) were set up and surveyed. Three groups(Quercus mongolica-Q. acutissima, Q. acutissima-Styrax japonicus and Lindera erythrocarpa-S. japonicu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Q. serrata and Vitis amurensis,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Stephanandra incisa, Q. serrata and Weigela subsessilis, Styrax japonicus and Q. serrata, Lindera obtusiloba and Q. serrata, Weigela subsessilis and L. erythrocarpa, Euonymus sachalinensis and Cornus kousa, Zanthoxylum piperium and Smilax sieboldii, E. fortunei var. radicans and E. alata for. ciliato-dentatus,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Q. mongolica, Q. dendata and Q. acutissinma, Lindera obtusiloba and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and Cornus kousa, Q. acutissima and Rhus verniciflua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proved between Styrax japonicus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Lindera obtusiloba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Vitis coignetiae and R. yedoense var. poukhanense, Albizzia julibrissin and Q. acutissima, Q. variabilis and Lindera erythrocarpa, Pinus densiflora and L. erythrocarpa, Q. acutissima and L. erythrocarpa, R.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Cornus kousa, Q. dentata and Staphylea bumalda, A. julibrissin and S. bumalda, Zanthoxylum piperium and S. bumald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1.1884 ∼ 1.45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