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서 사랑니 발치 후 발생한 칸디다 안내염의 증례보고 = A Case of Fungal Endophthalmitis after Having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in Healthy Wo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24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ndida endogenous endophthalmitis in healthy wome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Case summary: A 65-year-old medically healthy woma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two weeks ago, presented with floater symptoms in her left ey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40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17 mmHg in her left eye. Inflammatory cells were found in the anterior chamber and vitreous.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multiple hypofluorescence without vascular leakage. With provisional diagnosis of intermediate uveitis, she was prescribed oral steroid for two weeks. After that, inflammatory cells in anterior chamber was reduced but vitreous imflammatory cell was increased and fundus examination detected newly developed infiltrated lesion at superotemporal area. The patient was presumed to have fungal endophthalmitis and immediate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was performed. Three days after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diagnostic vitrectomy and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were performed. Vitreous cultures revealed the growth of Candida albicans. Despite the treatment, inflammatory response in anterior chamber and vitreous rapidly increased and visual acuity was decreased to hand movement. We changed anti-fungal agent, voriconazole to Amphotericin B. Additional three-time intravitreal injection was done and therapeutic vitrectomy with oil injection were performed.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fundus markedly improved and inflammatory response was decreased.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hows candida endophthalmitis in healthy woma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So to diagnose endophthalmitis, patient’s medical history should carefully be checked including dental care history who presented with vitreous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infiltrated lesion at fundus.
      번역하기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ndida endogenous endophthalmitis in healthy wome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Case summary: A 65-year-old medically healthy woma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two weeks ago, presented wit...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andida endogenous endophthalmitis in healthy wome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Case summary: A 65-year-old medically healthy woma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two weeks ago, presented with floater symptoms in her left ey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40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17 mmHg in her left eye. Inflammatory cells were found in the anterior chamber and vitreous.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multiple hypofluorescence without vascular leakage. With provisional diagnosis of intermediate uveitis, she was prescribed oral steroid for two weeks. After that, inflammatory cells in anterior chamber was reduced but vitreous imflammatory cell was increased and fundus examination detected newly developed infiltrated lesion at superotemporal area. The patient was presumed to have fungal endophthalmitis and immediate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was performed. Three days after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diagnostic vitrectomy and intravitreal voriconazole injection were performed. Vitreous cultures revealed the growth of Candida albicans. Despite the treatment, inflammatory response in anterior chamber and vitreous rapidly increased and visual acuity was decreased to hand movement. We changed anti-fungal agent, voriconazole to Amphotericin B. Additional three-time intravitreal injection was done and therapeutic vitrectomy with oil injection were performed. After treatment, the patient’s fundus markedly improved and inflammatory response was decreased.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hows candida endophthalmitis in healthy woman who had received extraction of wisdom tooth. So to diagnose endophthalmitis, patient’s medical history should carefully be checked including dental care history who presented with vitreous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infiltrated lesion at fund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서 사랑니 발치 후 발생한 칸디다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65세 여자 환자가 사랑니 발치 2주 후부터 발생한 좌안 비문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좌안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0.5, 안압은 17 mmHg로 측정되었고 전방 및 유리체 내의 염증세포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촬영상 후극부와 망막 주변부에 걸쳐 다발성 저형광 병변이 관찰되었으나 명확한 형광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포도막염 의심하에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을 시작하였고,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 2주 후 전방의 염증세포는 줄었으나 유리체의 염증 세포는 증가하였으며 안저검사상 망막의 상이측에 새로운 염증성 침윤이 관찰되었다. 전방 염증세포가 증가하고 망막의 염증성 침윤 병변도 증가한 소견이 관찰되어 진균성 내인성 안내염 의심하에 유리체강 내 보리코나졸 주입술을 1회 시행하였고, 유리체강 내 주사 3일 뒤 진단적 유리체절제술 및 유리체내 보리코나졸 2차 주입술을 진행하였다. 수술 후 3일째 시력은 안전수동으로 감소하고 전방 및 유리체의 염증이 급속으로 악화되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유리체 검체에서 칸디다 알비칸스 균이 동정되었다. 보리코나졸 저항성 칸디다 안내염의 가능성이 있어 유리체강 내 암포테리신B 주입술을 2일 간격으로 3회 시행하였고, 주사 후 전방 축농 및 염증은 호전되는 양상이었으나 유리체 염증 및 망막 염증성 침윤의 악화 소견을 보여 치료적 유리체절제술 및 실리콘오일 주입술을 진행하였다. 수술 후 전방 및 유리체 염증은 호전되었고 망막의 염증성 침윤 병변도 감소했다. 이후 안내염증은 잘 조절되어 수술 후 10일째 최종시력은 0.1로 호전되었다.
      결론: 본 증례는 건강한 정상인에서도 치과 치료 후 구강 점막의 칸디다 알비칸스로 인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안내 수술력이나 안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정상면역 환자에서도 유리체 염증을 동반한 망막의 염증성 침윤 소견이 관찰된다면 정확한 문진을 통해서 치과적 치료 병력이 있을 경우 진균성 안내염을 감별진단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서 사랑니 발치 후 발생한 칸디다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65세 여자 환자...

      목적: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환자에서 사랑니 발치 후 발생한 칸디다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특이 내과적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65세 여자 환자가 사랑니 발치 2주 후부터 발생한 좌안 비문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좌안 내원 당시 최대교정시력은 0.5, 안압은 17 mmHg로 측정되었고 전방 및 유리체 내의 염증세포가 관찰되었다. 형광안저촬영상 후극부와 망막 주변부에 걸쳐 다발성 저형광 병변이 관찰되었으나 명확한 형광 누출은 관찰되지 않았다. 중간포도막염 의심하에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을 시작하였고, 경구 스테로이드 복용 2주 후 전방의 염증세포는 줄었으나 유리체의 염증 세포는 증가하였으며 안저검사상 망막의 상이측에 새로운 염증성 침윤이 관찰되었다. 전방 염증세포가 증가하고 망막의 염증성 침윤 병변도 증가한 소견이 관찰되어 진균성 내인성 안내염 의심하에 유리체강 내 보리코나졸 주입술을 1회 시행하였고, 유리체강 내 주사 3일 뒤 진단적 유리체절제술 및 유리체내 보리코나졸 2차 주입술을 진행하였다. 수술 후 3일째 시력은 안전수동으로 감소하고 전방 및 유리체의 염증이 급속으로 악화되는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유리체 검체에서 칸디다 알비칸스 균이 동정되었다. 보리코나졸 저항성 칸디다 안내염의 가능성이 있어 유리체강 내 암포테리신B 주입술을 2일 간격으로 3회 시행하였고, 주사 후 전방 축농 및 염증은 호전되는 양상이었으나 유리체 염증 및 망막 염증성 침윤의 악화 소견을 보여 치료적 유리체절제술 및 실리콘오일 주입술을 진행하였다. 수술 후 전방 및 유리체 염증은 호전되었고 망막의 염증성 침윤 병변도 감소했다. 이후 안내염증은 잘 조절되어 수술 후 10일째 최종시력은 0.1로 호전되었다.
      결론: 본 증례는 건강한 정상인에서도 치과 치료 후 구강 점막의 칸디다 알비칸스로 인한 안내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안내 수술력이나 안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정상면역 환자에서도 유리체 염증을 동반한 망막의 염증성 침윤 소견이 관찰된다면 정확한 문진을 통해서 치과적 치료 병력이 있을 경우 진균성 안내염을 감별진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면, "양안의 광범위한 황반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칸디다 안내염" 대한안과학회 49 (49): 1701-1705, 2008

      2 Liang L, "The clinical analysis of endogenous endophthalmitis" 20 : 144-148, 2004

      3 Liu YC, "Klebsiella pneumoniae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septic endophthalmitis" 146 : 1913-1916, 1986

      4 Sen P, "Intravitreal voriconazole for drug-resistant fungal endophthalmitis: case series" 26 : 935-939, 2006

      5 Sakata R, "Fungal endophthalmitis in an elderly woman: differing responses in each eye" 10 : 189-192, 2017

      6 Durand ML, "Endophthalmitis" 19 : 227-234, 2013

      7 Sridhar J,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mold and yeast infections" 3 : 60-, 2013

      8 Samiy N,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36 : 147-162, 1996

      9 Connell PP, "Endogenous endophthalmiti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drug abuse: seven-year experience at a tertiary referral center" 30 : 1721-1725, 2010

      10 Parke DW 2nd, "Endogenous endophthalmitis among patients with candidemia" 89 : 789-796, 1982

      1 구면, "양안의 광범위한 황반하 농양을 동반한 내인성 칸디다 안내염" 대한안과학회 49 (49): 1701-1705, 2008

      2 Liang L, "The clinical analysis of endogenous endophthalmitis" 20 : 144-148, 2004

      3 Liu YC, "Klebsiella pneumoniae liver abscess associated with septic endophthalmitis" 146 : 1913-1916, 1986

      4 Sen P, "Intravitreal voriconazole for drug-resistant fungal endophthalmitis: case series" 26 : 935-939, 2006

      5 Sakata R, "Fungal endophthalmitis in an elderly woman: differing responses in each eye" 10 : 189-192, 2017

      6 Durand ML, "Endophthalmitis" 19 : 227-234, 2013

      7 Sridhar J,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risk factor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in mold and yeast infections" 3 : 60-, 2013

      8 Samiy N, "Endogenous fungal endophthalmitis" 36 : 147-162, 1996

      9 Connell PP, "Endogenous endophthalmitis associated with intravenous drug abuse: seven-year experience at a tertiary referral center" 30 : 1721-1725, 2010

      10 Parke DW 2nd, "Endogenous endophthalmitis among patients with candidemia" 89 : 789-796, 1982

      11 Okada AA, "Endogenous bacterial endophthalmitis. Report of a ten-year retrospective study" 101 : 832-838,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