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자성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능 = Near-field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of Magnetic Composite Sheets for Variation Values of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20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optimize the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in a magnetic composite sheet by varying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IEC 62333 standard). To analyze the power absorption, we extracted the magnetic and the dielectric loss, which contribute to the total absorption.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microstripline and a magnetic composite sheet were simulated by using a 3D finite elements method (FEM) commercial program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2 GHz to 10 GHz. The power absorption by the magnetic composite sheet was governed by the loss tangent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When the real parts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of a 100 $\mu$m-thick composite sheet were fixed at 2 and 10, their loss tangents were 0.5 and 0.1, respectively, and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3.79% at 9.6 GHz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8.98%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1.78%. When the loss tangents were 0.1 and 0.4,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9.19%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1.77%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6.77%.
      번역하기

      To optimize the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in a magnetic composite sheet by varying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IEC 62333 standard). To analyze the...

      To optimize the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in a magnetic composite sheet by varying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IEC 62333 standard). To analyze the power absorption, we extracted the magnetic and the dielectric loss, which contribute to the total absorption.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microstripline and a magnetic composite sheet were simulated by using a 3D finite elements method (FEM) commercial program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2 GHz to 10 GHz. The power absorption by the magnetic composite sheet was governed by the loss tangent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When the real parts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of a 100 $\mu$m-thick composite sheet were fixed at 2 and 10, their loss tangents were 0.5 and 0.1, respectively, and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3.79% at 9.6 GHz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8.98%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1.78%. When the loss tangents were 0.1 and 0.4,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9.19%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1.77%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6.77%.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자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자성 복합체 시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평가법(IEC 62333-2)을 적용하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 특성을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총 흡수능에 기여하는 자성, 유전 손실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라인과 복합체 시트의 전자기 전산모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2~10 GHz 영역에서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는 유전율 및 투자율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투자율 및 유전율 실수부에서 허수부가 클수록 전력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 $\mu$m의 두께를 갖는 복합체 시트의 투자율과 유전율의 실수부 값이 각각 2와 10이고 손실 탄젠트 각각 0.5, 0.1인 경우 총 전력 흡수능은 13.79%이었다. 이 때, 자성 손실은 8.89%, 유전손실은 1.78%를 보였다. 손실 탄젠트가 각각 0.1, 0.4인 경우, 복합체 시트의 총 전력 흡수능은 19.19%이었으며 1.77%의 자성 손실과 6.77%의 유전 손실을 보였다.
      번역하기

      전자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자성 복합체 시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평가법(IEC 62333-2)을 적용하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 특...

      전자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자성 복합체 시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평가법(IEC 62333-2)을 적용하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 특성을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총 흡수능에 기여하는 자성, 유전 손실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라인과 복합체 시트의 전자기 전산모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2~10 GHz 영역에서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는 유전율 및 투자율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투자율 및 유전율 실수부에서 허수부가 클수록 전력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 $\mu$m의 두께를 갖는 복합체 시트의 투자율과 유전율의 실수부 값이 각각 2와 10이고 손실 탄젠트 각각 0.5, 0.1인 경우 총 전력 흡수능은 13.79%이었다. 이 때, 자성 손실은 8.89%, 유전손실은 1.78%를 보였다. 손실 탄젠트가 각각 0.1, 0.4인 경우, 복합체 시트의 총 전력 흡수능은 19.19%이었으며 1.77%의 자성 손실과 6.77%의 유전 손실을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 H. Kim, 44 : 3805-, 2008

      2 J. Lee, 115 : 17A503-, 2014

      3 K. H. Kim, 93 : 8002-, 2003

      4 B. Nam., 36 : 827-, 2010

      5 K. Kondo, 45 : 4250-, 2009

      6 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Wiley 1997

      7 이준식, "Intra/Inter-decoupling 전자파 흡수능 측정용 차폐형 루프안테나 제작 및 특성 평가" 한국물리학회 64 (64): 117-120, 2014

      8 "International standard IEC 62333-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May 2006"

      9 이재진, "Impedance Matching of Electrically Small Antenna with Ni-Zn Ferrite Film" 한국자기학회 18 (18): 428-431, 2013

      1 K. H. Kim, 44 : 3805-, 2008

      2 J. Lee, 115 : 17A503-, 2014

      3 K. H. Kim, 93 : 8002-, 2003

      4 B. Nam., 36 : 827-, 2010

      5 K. Kondo, 45 : 4250-, 2009

      6 D. M. Pozar, "Microwave Engineering" Wiley 1997

      7 이준식, "Intra/Inter-decoupling 전자파 흡수능 측정용 차폐형 루프안테나 제작 및 특성 평가" 한국물리학회 64 (64): 117-120, 2014

      8 "International standard IEC 62333-2,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May 2006"

      9 이재진, "Impedance Matching of Electrically Small Antenna with Ni-Zn Ferrite Film" 한국자기학회 18 (18): 428-43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