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찬,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316-320, 1991
2 정은주, "조선후기 도성도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31-56, 2019
3 "조선왕조실록"
4 최선웅, "조선 최초의 종합지도책 <동여비고>" 586-, 2018
5 정은주, "조선 지식인의 지도 제작과 지리인식" 한국학연구원 (69) : 93-140, 2017
6 변동명, "강항의 필사본 『간양록』 고찰-영광 내산서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12 : 242-, 1996
7 "高麗史"
8 李世龜, "養窩集제13책"
9 安鼎福, "順菴覆瓿稿16"
10 "輿地圖書"
1 이 찬,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316-320, 1991
2 정은주, "조선후기 도성도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31-56, 2019
3 "조선왕조실록"
4 최선웅, "조선 최초의 종합지도책 <동여비고>" 586-, 2018
5 정은주, "조선 지식인의 지도 제작과 지리인식" 한국학연구원 (69) : 93-140, 2017
6 변동명, "강항의 필사본 『간양록』 고찰-영광 내산서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12 : 242-, 1996
7 "高麗史"
8 李世龜, "養窩集제13책"
9 安鼎福, "順菴覆瓿稿16"
10 "輿地圖書"
11 許穆, "記言권35"
12 최선웅, "行基圖의 변천과 朝鮮 전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8 (8): 5-34, 2016
13 南九萬, "藥泉集권4"
14 徐榮輔, "萬機要覽"
15 李睟光, "芝峯集卷8"
16 成海應, "硏經齋全集卷53"
17 姜沆, "看羊錄"
18 "皇輿攷實"
19 "皇輿攷"
20 吳世昌, "槿域書畫徵下"
21 "東輿攷實"
22 오창명, "東輿備攷의 濟州 地名 硏究"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36, 2007
23 "東輿備攷"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8
24 徐居正, "東文選권92"
25 安鼎福, "東史綱目"
26 "朝鮮疆域摠圖"
27 "新增東國輿地勝覽"
28 "支那朝鮮古地圖"
29 "承政院日記"
30 宋時烈, "宋子大全卷192"
31 成俔, "大東野乘"
32 박인호, "南九萬과 李世龜의 歷史地理硏究- 南九萬의 〈東史辨證〉·李世龜의 〈東國三韓四郡古今疆域說〉을 중심으로" 138 : 33-72, 1993
33 "三國遺事"
34 "三國史記"
35 서인원,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체제와 특징에 대한 일고찰" 12 : 221-260, 1999
36 서인원, "『동국여지승람』 편찬경위와 정치적 상황" 10·11 : 379-428, 1999
37 정재영, "『東輿備攷』의 지명 고찰" 2 : 73-94, 2002
38 선석열, "『東輿備攷』의 역사학적 고찰" 2 : 24-25, 2002
39 이상태, "『東輿備攷』의 역사지리학적 가치에 관한 연구" 2 : 12-13, 2002
40 남권희, "『東輿備攷』의 사찰 기록 연구" 2 : 97-140, 2002
41 정은주, "17세기 《牧場地圖》의 제작경위와 화풍"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 (1): 49-7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