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후반 『동여비고(東輿備攷)』의 제작 배경과 내용적 특징 - 관련 저본(底本) 및 모사본(模寫本)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2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DongYeo-bigo designated as Treasure No. 1596, and its significance to the map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JinaJoseon-gojido and DongYeo-gosil are related to the original of DongYeo-bigo. The person who drew both atlases of DongYeo-gosil and JinaJoseon-gojido before 1679 was Jeong Gyeong-heum, and the former reflected the revisions of the latter. They have the map of Ganghwa Island before 1679. DongYeo-bigo and JoseonGangyeok-chongdo included the map of Ganghwa Island after 1682. After all, the order in which the above atlases were made is JinaJoseon-gojido, DongYeo-gosil, DongYeobigo and JoseonGangyeok-chongdo. These atlases made before 1688, because there was not the tomb of King Injo’s second Queen in 1688. As historical maps are rare, these atlases are very meaningful to provide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Korean Peninsula of all times and unique city maps.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DongYeo-bigo designated as Treasure No. 1596, and its significance to the map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JinaJoseon-gojido and DongYeo-gosil are related to the original of DongYeo-bigo...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DongYeo-bigo designated as Treasure No. 1596, and its significance to the map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JinaJoseon-gojido and DongYeo-gosil are related to the original of DongYeo-bigo. The person who drew both atlases of DongYeo-gosil and JinaJoseon-gojido before 1679 was Jeong Gyeong-heum, and the former reflected the revisions of the latter. They have the map of Ganghwa Island before 1679. DongYeo-bigo and JoseonGangyeok-chongdo included the map of Ganghwa Island after 1682. After all, the order in which the above atlases were made is JinaJoseon-gojido, DongYeo-gosil, DongYeobigo and JoseonGangyeok-chongdo. These atlases made before 1688, because there was not the tomb of King Injo’s second Queen in 1688. As historical maps are rare, these atlases are very meaningful to provide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Korean Peninsula of all times and unique city ma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 찬,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316-320, 1991

      2 정은주, "조선후기 도성도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31-56, 2019

      3 "조선왕조실록"

      4 최선웅, "조선 최초의 종합지도책 <동여비고>" 586-, 2018

      5 정은주, "조선 지식인의 지도 제작과 지리인식" 한국학연구원 (69) : 93-140, 2017

      6 변동명, "강항의 필사본 『간양록』 고찰-영광 내산서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12 : 242-, 1996

      7 "高麗史"

      8 李世龜, "養窩集제13책"

      9 安鼎福, "順菴覆瓿稿16"

      10 "輿地圖書"

      1 이 찬, "한국의 고지도" 범우사 316-320, 1991

      2 정은주, "조선후기 도성도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31-56, 2019

      3 "조선왕조실록"

      4 최선웅, "조선 최초의 종합지도책 <동여비고>" 586-, 2018

      5 정은주, "조선 지식인의 지도 제작과 지리인식" 한국학연구원 (69) : 93-140, 2017

      6 변동명, "강항의 필사본 『간양록』 고찰-영광 내산서원 소장본을 중심으로" 12 : 242-, 1996

      7 "高麗史"

      8 李世龜, "養窩集제13책"

      9 安鼎福, "順菴覆瓿稿16"

      10 "輿地圖書"

      11 許穆, "記言권35"

      12 최선웅, "行基圖의 변천과 朝鮮 전래" 한국고지도연구학회 8 (8): 5-34, 2016

      13 南九萬, "藥泉集권4"

      14 徐榮輔, "萬機要覽"

      15 李睟光, "芝峯集卷8"

      16 成海應, "硏經齋全集卷53"

      17 姜沆, "看羊錄"

      18 "皇輿攷實"

      19 "皇輿攷"

      20 吳世昌, "槿域書畫徵下"

      21 "東輿攷實"

      22 오창명, "東輿備攷의 濟州 地名 硏究" 한민족어문학회 30 (30): 1-36, 2007

      23 "東輿備攷"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8

      24 徐居正, "東文選권92"

      25 安鼎福, "東史綱目"

      26 "朝鮮疆域摠圖"

      27 "新增東國輿地勝覽"

      28 "支那朝鮮古地圖"

      29 "承政院日記"

      30 宋時烈, "宋子大全卷192"

      31 成俔, "大東野乘"

      32 박인호, "南九萬과 李世龜의 歷史地理硏究- 南九萬의 〈東史辨證〉·李世龜의 〈東國三韓四郡古今疆域說〉을 중심으로" 138 : 33-72, 1993

      33 "三國遺事"

      34 "三國史記"

      35 서인원,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체제와 특징에 대한 일고찰" 12 : 221-260, 1999

      36 서인원, "『동국여지승람』 편찬경위와 정치적 상황" 10·11 : 379-428, 1999

      37 정재영, "『東輿備攷』의 지명 고찰" 2 : 73-94, 2002

      38 선석열, "『東輿備攷』의 역사학적 고찰" 2 : 24-25, 2002

      39 이상태, "『東輿備攷』의 역사지리학적 가치에 관한 연구" 2 : 12-13, 2002

      40 남권희, "『東輿備攷』의 사찰 기록 연구" 2 : 97-140, 2002

      41 정은주, "17세기 《牧場地圖》의 제작경위와 화풍"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 (1): 49-7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