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대학 재학 중 취업준비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첫 직업에 대한 적성 흥미 및 대학전공 직무일치도의 관계와 대학 졸업 후 취업한 첫 직장에서의 고용안정성과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대학 재학 중 취업준비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첫 직업에 대한 적성 흥미 및 대학전공 직무일치도의 관계와 대학 졸업 후 취업한 첫 직장에서의 고용안정성과 개...
본 연구에서는 대학졸업자의 대학 재학 중 취업준비행동 유형을 분류하고 첫 직업에 대한 적성 흥미 및 대학전공 직무일치도의 관계와 대학 졸업 후 취업한 첫 직장에서의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 대졸자취업진로조사(GOMS)’의 패널(코호트조사)자료로서 2016년 2월에 졸업한 모집단 520,547명이며, 대학 졸업 후 약 18개월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통계는 AMOS(21.0)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재학 중경험한 취업준비행동의 만족도는 적성흥미와 대학전공의 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대학전공직무일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첫 직업에 대한 적성흥미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고용안정성과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첫 직업에 대한 대학전공직무일치도가 높으면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첫 직업에 대한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는 개인발전가능성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첫 직업의 고용형태 유형으로 기한이 정함이 없는 계약과 정함이 있는 계약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x 2 차이를 나타낸 개념들 간의 경로계수 즉 대학재학 중 경험한 취업지원활동과 일자리 만족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간의 관계, 적성흥미직무일치도 → 대학전공직무일치도,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대학전공직무일치도 → 고용안정성, 개인발전가능성의 직무만족도 간 관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anel data of 2017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hich is a population of 520,547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bout 18 months after universit...
This study is a panel data of 2017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hich is a population of 520,547 who graduated in February 2016.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bout 18 months after university graduation Respectively. Statistics were verified using AMOS (21.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during colleg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ptitude and interest fit, university major fit. Second, a high degree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major fit. Third, high level of fit on aptitude interest in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stability and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in the job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fit of university major for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fth,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for the first job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development potential satisfaction. Finally, according to whether the time limit of the contract term is fixed or not in the employment type of the first job, the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were confo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원, "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2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선택동기 성취정도가 전반적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77-199, 2009
3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 이승구,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1-25, 2008
5 박미희,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1-49, 2014
6 삼성경제연구소,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3대 과제" 2009
7 정보연, "직업 선택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주요 선택에 대한 동기 부여의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호원, "직무만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75-98, 2015
9 김형수, "지방 사립 대학생의 삶의 의미수준에 따른 학과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267-282, 2010
10 디지털타임즈, "실업자 32%는 고학력자... 단기근로자 5년래 최대"
1 박영원, "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2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선택동기 성취정도가 전반적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177-199, 2009
3 이제경,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 이승구,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1-25, 2008
5 박미희,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21-49, 2014
6 삼성경제연구소,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3대 과제" 2009
7 정보연, "직업 선택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주요 선택에 대한 동기 부여의 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8 김호원, "직무만족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75-98, 2015
9 김형수, "지방 사립 대학생의 삶의 의미수준에 따른 학과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차이"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1 (31): 267-282, 2010
10 디지털타임즈, "실업자 32%는 고학력자... 단기근로자 5년래 최대"
1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청년의 전공일치 취업실태분석" KRIVET 2016
12 한의진,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직업탐색행동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21-134, 2017
13 윤수경,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3 (23): 131-160, 2014
14 이승구, "대학생의 직업가치가 취업준비행동, 전공학습 및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연구" 453-460, 2017
15 박안숙,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11-519, 2016
17 이영민, "대학생 선호직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취업준비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3 (53): 337-374, 2014
18 최지원, "대졸자의 첫 일자리 학력 및 스킬 미스매치와 개인 특성, 취업준비 특성, 첫 일자리 특성 및 첫 일자리 성과의 관계" 730-742, 2017
19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첫 직장 취업 후 2년이 고비"
20 우혜정, "대졸 청년의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가 전반적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23-635, 2017
21 백병부,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23-146, 2009
22 김보람, "관광관련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과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23 파이낸셜뉴스, "공기업 지망 취준생 33.2%, “고용안정성 우선”중소기업 지망생은?"
24 김찬중, "고용형태별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206-216, 2007
25 최영희, "고용안정성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6 박노윤, "고용안정성이 종업원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행원을 대상으로" 금융지식연구소 8 (8): 29-58, 2010
27 김태훈, "고용안정성 지각 차이에 따른 조직몰입도 및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3
28 이승구, "고등학생의 진로검사․직업체험에 대한 취업목표, 취업준비행동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관계 구조모형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23-40, 2015
29 양희숙, "경남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6
30 King, J., "White-collar reactions to job insecurity and the role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39 (39): 79-92, 2000
31 Kesseimen, G. A.,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under contingent and non-contingent reward system" 59 (59): 374-376, 1974
32 Ginzberg, E.,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1
33 Linz, S. J., "Job Satisfaction, Expectations, and Gender : Beyond the European Union" 34 (34): 584-616, 2013
34 Finn, D., "From full employment to full employablity : a new deal for Britain's unemployed?" 21 : 384-399, 2000
35 Alderfer, C. P.,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Human needs in organizational settings" Free Press 1972
36 Hillage, J., "Employability: developing a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Employment 1998
37 Pearce, D, "Cost-Benefit Analysis and Environmental Policy" 14 : 84-100, 1998
38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 Bass 197-261, 1990
39 Ginzberg,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984
40 Marion Estinne, "An organizational culture compatible with employability" 29 (29): 313-314, 1997
41 김윤중, "4년제 대학생의 취업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293-7299, 2015
42 한국경영자총협회, "2017년 신입사원 채용실태조사"
43 통계청, "2017 연간 고용동향"
44 통계청, "2016 한국의 사회지표"
비대면 온라인창업교육 만족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업 및 창업교육 수강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특성과 차이점에 관한 연구 : 대학평가순위 그룹별 비교를 통한 특성분석
예비창업자의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멘토링이 기초지자체 하위직 신규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