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내기골프의 윤리성 검토를 위한 동일성 논변 = Ethical Review of Betting Golf based on Identity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2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에서는 내기골프가 내기와 도박의 경계를 가르는 금액의 규모를 떠나 동일성 논변을 통해 윤리적 행동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고자 했다. 또한 골프에 있어서 내기가 일반적으로 납득이 갈만한 수준의 것이라면 오히려 재미를 배가하고 골프의 매력으로 작용한다는 논변이 과연 그들의 주장처럼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기골프에 참가하여 승리하였을 때 발생하는 ‘금전적 이득’으로 인한 결과와 ‘승리 자체의 기쁨’으로 인한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 두 요소의 인과성을 검토하여 물리적 속성의 ‘인과적 배제의 원리(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에 의해 스포츠가 본질적으로 내포해야할 경기 자체가 주는 가치와 재미는 배제되고 내기로 인한 금전적 이득을 위한 참가동기가 내기골프에 참가하는 주목적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내기골프는 골프의 재미를 더하는 긍정적인 방법이라는 주장은 사회적 맥락에서 본다면 일부 타당한 것처럼 들리지만, 동일성의 엄밀한 판단에서 본다면 아무런 합리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주장으로 내기골프는 스포츠 자체의 가치를 좀 먹는 행위로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고스톱과 같은 오락성 도박은 일반적으로 허용된 범주이니, 골프장에서 하는 소액의 내기 또한 허용된 범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은 자기합리화(self-justification)를 위한 단편적 발상일 가능성이 높고, 내기골프에 참가하는 동기와 결과 또한 스포츠에 본질적으로 반하는 행동이므로 스포츠의 가치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 배제되어야할 행동이라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내기골프가 내기와 도박의 경계를 가르는 금액의 규모를 떠나 동일성 논변을 통해 윤리적 행동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고자 했다. 또한 골프에 있어서 내기가 일반적으로 납득...

      이 연구에서는 내기골프가 내기와 도박의 경계를 가르는 금액의 규모를 떠나 동일성 논변을 통해 윤리적 행동인지 아닌지를 검토하고자 했다. 또한 골프에 있어서 내기가 일반적으로 납득이 갈만한 수준의 것이라면 오히려 재미를 배가하고 골프의 매력으로 작용한다는 논변이 과연 그들의 주장처럼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기골프에 참가하여 승리하였을 때 발생하는 ‘금전적 이득’으로 인한 결과와 ‘승리 자체의 기쁨’으로 인한 결과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 두 요소의 인과성을 검토하여 물리적 속성의 ‘인과적 배제의 원리(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에 의해 스포츠가 본질적으로 내포해야할 경기 자체가 주는 가치와 재미는 배제되고 내기로 인한 금전적 이득을 위한 참가동기가 내기골프에 참가하는 주목적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내기골프는 골프의 재미를 더하는 긍정적인 방법이라는 주장은 사회적 맥락에서 본다면 일부 타당한 것처럼 들리지만, 동일성의 엄밀한 판단에서 본다면 아무런 합리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주장으로 내기골프는 스포츠 자체의 가치를 좀 먹는 행위로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고스톱과 같은 오락성 도박은 일반적으로 허용된 범주이니, 골프장에서 하는 소액의 내기 또한 허용된 범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은 자기합리화(self-justification)를 위한 단편적 발상일 가능성이 높고, 내기골프에 참가하는 동기와 결과 또한 스포츠에 본질적으로 반하는 행동이므로 스포츠의 가치를 온전히 유지하기 위해 배제되어야할 행동이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원, "한국 사회와 골프의 사회적 담론" 5 (5): 1998

      2 홍경남 역, "존재론 없는 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5

      3 김기현, "이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 19 : 3-30, 2002

      4 송기성, "억대 내기골프 무죄판결에 대한 형법해석상의 문제점 고찰" 16 (16): 2005

      5 이덕연, "억대 내기골프 무죄판결에 대한 법언어학적 관견" 법률신문 2005.02.28

      6 최 훈, "어느 정도 기술적인, 그러나 상당히 인과적인 지시이론" 60 : 301-321, 1999

      7 김영정,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8 한광걸,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2004

      9 김동규,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10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1998

      1 이철원, "한국 사회와 골프의 사회적 담론" 5 (5): 1998

      2 홍경남 역, "존재론 없는 윤리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5

      3 김기현, "이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 19 : 3-30, 2002

      4 송기성, "억대 내기골프 무죄판결에 대한 형법해석상의 문제점 고찰" 16 (16): 2005

      5 이덕연, "억대 내기골프 무죄판결에 대한 법언어학적 관견" 법률신문 2005.02.28

      6 최 훈, "어느 정도 기술적인, 그러나 상당히 인과적인 지시이론" 60 : 301-321, 1999

      7 김영정, "심리철학과 인지과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8 한광걸,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2004

      9 김동규, "스포츠의 사회운동적 이해"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6

      10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1998

      11 손석정, "내기골프에 대한 법적 고찰" 44 (44): 2005

      12 이정연, "내기' 스포츠에 관한 윤리적 성찰-억대 내기 골프 무죄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4 (44): 119-129, 2005

      13 이호근, "나는 왜 골프를 하는가" 13 (13): 2005

      14 조영권, "골프에 대한 사회문화적 갈등 대책" 14 : 2000

      15 손석정, "골프에 관한 판례 조사연구" 4 (4): 1999

      16 김홍백, "골프는 왜 하는가?(참여동기 분석)." 14 (14): 2003

      17 곽은창, "골프 몰입 정도에 따른 한국 골프 문화의 구성요소 비교분석" 13 (13): 2000

      18 김동규, "體育原理의 諸問題(증보판)" 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5

      19 이종관, "20억대 도박골프와 스포츠" 132-134, 19921992년11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