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삶을 위한 이야기 교육의 뜻 = The meaning of Narrative Education for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28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이제까지 아이들의 삶을 돌보고 북돋우지 못한 우리나라 국어 교육,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빗나간 길을 되돌리는 첫 걸음의 열쇠로서 이야기 교육을 내세우고자 했다. 먼저 우리네 학교 교육이 빗나간 까닭이 무엇이며 빗나간 끝이 지금 어떠한지를 살피고, 이어서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야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고 또 있는가? 사람들이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왜 새삼스럽게 이야기에 다시 눈길을 돌리는 것인가? 이런 물음의 대답을 찾으며 주제인 이야기 교육에 다가서고자 했다. 마침내주제에 다가서서 아이들의 삶을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열쇠 노릇을 해낼수 있는 이야기 교육의 힘, 곧 이야기 교육이 지닌 아이들의 삶과 세상을 살려 낼 수 있는 힘으로 하나 되기, 응어리 풀기, 세상 만들기, 죽음 넘어서기, 이렇게 넷을 꼽아 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이제까지 아이들의 삶을 돌보고 북돋우지 못한 우리나라 국어 교육,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빗나간 길을 되돌리는 첫 걸음의 열쇠로서 이야기 교육을 내세우고자 했다. 먼저 ...

      이 글은 이제까지 아이들의 삶을 돌보고 북돋우지 못한 우리나라 국어 교육, 나아가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빗나간 길을 되돌리는 첫 걸음의 열쇠로서 이야기 교육을 내세우고자 했다. 먼저 우리네 학교 교육이 빗나간 까닭이 무엇이며 빗나간 끝이 지금 어떠한지를 살피고, 이어서 이야기란 무엇인가? 이야기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고 또 있는가? 사람들이 21세기로 들어서면서 왜 새삼스럽게 이야기에 다시 눈길을 돌리는 것인가? 이런 물음의 대답을 찾으며 주제인 이야기 교육에 다가서고자 했다. 마침내주제에 다가서서 아이들의 삶을 살리고 세상을 살리는 열쇠 노릇을 해낼수 있는 이야기 교육의 힘, 곧 이야기 교육이 지닌 아이들의 삶과 세상을 살려 낼 수 있는 힘으로 하나 되기, 응어리 풀기, 세상 만들기, 죽음 넘어서기, 이렇게 넷을 꼽아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arrative education, which is the key step to turning over and normalizing our distorted school education. Because Korean education has failed to tend and improve students' trying live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theme, this paper raises a few questions. What is the reason our school education has deviated from the right track, and what results its deviation has caused? And What does the story means? Are we sure that the story exists? What kinds of story, if any, are there? How come people bring up the story abruptly at 21st century? I try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t the same time approaching the very issue in narrative education.
      Finally, stepping up to conclusions, I find four ways out of our current fetters which are destroying our students. They come from the power of story, will rehabilitate students's lives and play a critical role in saving the destituted world. Through the story education bringing students' lives and the world back to life, I suggests these : First, I suggest the coordination. Second is venting grudge. Third is creating the world, and fourth, transcending death.
      번역하기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arrative education, which is the key step to turning over and normalizing our distorted school education. Because Korean education has failed to tend and improve students' trying lives. For the purpose o...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narrative education, which is the key step to turning over and normalizing our distorted school education. Because Korean education has failed to tend and improve students' trying lives.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theme, this paper raises a few questions. What is the reason our school education has deviated from the right track, and what results its deviation has caused? And What does the story means? Are we sure that the story exists? What kinds of story, if any, are there? How come people bring up the story abruptly at 21st century? I try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t the same time approaching the very issue in narrative education.
      Finally, stepping up to conclusions, I find four ways out of our current fetters which are destroying our students. They come from the power of story, will rehabilitate students's lives and play a critical role in saving the destituted world. Through the story education bringing students' lives and the world back to life, I suggests these : First, I suggest the coordination. Second is venting grudge. Third is creating the world, and fourth, transcending de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간추림>
      • 1. 들머리
      • 2. 교육
      • 3. 이야기
      • 4. 이야기 교육
      • <간추림>
      • 1. 들머리
      • 2. 교육
      • 3. 이야기
      • 4. 이야기 교육
      • 5. 마무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시한, "현대소설의 이야기학" 역락 2008

      2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3 임재해, "한국신화의 정체성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4 서종문, "판소리의 역사적 이해" 태학사 2006

      5 정재서,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황금부엉이 2004

      6 임재해, "임재해의 이바구 세상" 한울 1994

      7 최시한, "소설의 해석과 교육" 문학과지성사 2005

      8 최시한, "소설,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과지성사 2010

      9 김수업, "배달말꽃, 갈래와 속살" 지식산업사 2002

      10 임재해, "민족설화의 논리와 의식" 지식산업사 1992

      1 최시한, "현대소설의 이야기학" 역락 2008

      2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3 임재해, "한국신화의 정체성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4 서종문, "판소리의 역사적 이해" 태학사 2006

      5 정재서,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황금부엉이 2004

      6 임재해, "임재해의 이바구 세상" 한울 1994

      7 최시한, "소설의 해석과 교육" 문학과지성사 2005

      8 최시한, "소설,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학과지성사 2010

      9 김수업, "배달말꽃, 갈래와 속살" 지식산업사 2002

      10 임재해, "민족설화의 논리와 의식" 지식산업사 1992

      11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12 권순긍, "고전, 그 새로운 이야기" 숨비소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4 1.14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