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정책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정책증거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7가지 정책증거의 유형을 바탕으로 정부가 정책결정단계와 정책집행 이후 단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책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정책증거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7가지 정책증거의 유형을 바탕으로 정부가 정책결정단계와 정책집행 이후 단계...
이 연구는 정책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활용되는 다양한 정책증거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7가지 정책증거의 유형을 바탕으로 정부가 정책결정단계와 정책집행 이후 단계에서 정책의 질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한 다양한 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술적 분석증거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대중의 태도와 이해증거와 윤리증거도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엄격한 설계에 의한 영향증거가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경제증거 역시 많이 활용되지 않았다. 또 집행증거의 활용도 부족하였다. 향후 과학적인 정책관리를 위해 서술적 분석증거 이외에도 영향증거, 통계적 모델링증거, 경제증거의 확보가 필요하며, 집행증거를 통한 정책결정 단계와 집행단계의 연계도 요구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렬, "효과적인 정책 형성 및 집행을 위한 전략적 기획의 활용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소 29 : 1-36, 1999
2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서 내 위생・공중보건 항목 작성을 위한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
3 환경부, "환경영향평가법 전부개정법률안 설명자료"
4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스코핑 가이드라인(안) -평가항목・범위 결정 등을 위한 지침서"
5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4
6 황성원, "행정서비스 모니터링제도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4
7 신호창, "행정PR원론" 이화여대 출판부 2002
8 "한국의 영향평가제도 현황」"
9 김명수,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과 증거를 산출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
10 국무조정실, "정책품질관리 매뉴얼"
1 김형렬, "효과적인 정책 형성 및 집행을 위한 전략적 기획의 활용에 관한 고찰" 사회과학연구소 29 : 1-36, 1999
2 환경부, "환경영향평가서 내 위생・공중보건 항목 작성을 위한 건강영향 항목의 평가 매뉴얼"
3 환경부, "환경영향평가법 전부개정법률안 설명자료"
4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스코핑 가이드라인(안) -평가항목・범위 결정 등을 위한 지침서"
5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4
6 황성원, "행정서비스 모니터링제도 활성화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4
7 신호창, "행정PR원론" 이화여대 출판부 2002
8 "한국의 영향평가제도 현황」"
9 김명수, "증거에 기초한 정책결정과 증거를 산출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2007
10 국무조정실, "정책품질관리 매뉴얼"
11 노화준, "정책평가론" 법문사 2006
12 국정홍보처, "정책성공을 위한 홍보매뉴얼"
13 홍형득, "정책모니터링을 위한 다원적 접근: 정보화마을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3 (13): 181-209, 2010
14 신호창, "정부의 홍보정책에 대한 고찰 및 발전적 국정홍보 모델의 제시" 3 : 83-108, 1999
15 김동진, "우리나라에서의 영향평가" (146) : 2008
16 조영철,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14 : 2009
17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한국개발연구원 2008
18 여성가족부, "성별영향평가지침" 여성가족부 2007
19 김홍균,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통합" 한국법학원 (105) : 250-276, 2008
20 환경부,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21 환경부, "사업유형별 평가서 작성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가이드라인(안)"
22 방경식, "부동산용어사전" 부연사 2011
23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4 김세훈, "메타분석을 통한 정책홍보 연구경향 탐색과 실천 과정의 정향: 개념의 구성요소와접근 전략을 중심으로" 2006
25 국무총리실, "규제영향분석서 작성 지침"
26 "국정브리핑"
27 국토해양부, "교통영향평가 지침" 국토해양부 2008
28 임헌연, "교통영향평가 제도의 개념 및 효과평가" 53 (53): 32-38, 2005
29 강영철, "관리수단으로서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역할 및 한계: 정부업무평가제도 내 특정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9 (9): 209-229, 2010
30 김명수,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2002
31 민진, "공공정책실패요인에 관한 연구" 19 (19): 243-261, 1985
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영향평가를 위한 지침서"
33 국무총리실, "‘12년 중앙행정기관 자체평가 세부시행계획"
34 Bijker, W. E., "The Paradox of Science Authority: the role of scientific advice in democracies" The MIT Press 2009
35 Rubin, A., "Statistic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Evaluation" Brooks/Cole 2010
36 Dunn, W. N.,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Pearson Prentice Hall 2004
37 Strategic Policy Making Team, "Professional policy making for the twenty first century" Cabinet Office 1999
38 Davies, P., "Is Evidence-Based Government Possible?" 2004
39 Sackett, D.,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Churchill Livingstone 2004
40 Gray, J.A.M., "Evidence-Based Health Care: How to Make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Decision" Churchill Livingstone 1997
41 Solesbury, W., "Evidence Based Policy: Whence it Came and Where it's Going" ESRC UK Centre for Evidence Based Policy and Practice 2001
42 Campbell, S., "Analysis for policy: evidence-based policy in practice" Government Social Research Unit
43 국무총리실, "2012년도 특정평가 세부 시행계획"
44 기획재정부, "2012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기획재정부 2012
45 여성가족부, "2012년 성별영향분석평가지침" 여성가족부 2012
46 국민권익위원회, "2012년 부패영향평가지침"
47 국무총리실, "2009년도 정부업무평가 세부시행계획 –특정평가 세부지침-"
48 김영래, "2007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환경부, UNDP/GEF 2008
조직변화 내부과정의 구조화: 조직 정체성, 납득 및 선택
담합 규제의 적정성에 대한 고찰: 과징금의 규모와 산정절차를 중심으로
부트스트랩 자료포락분석(Bootstrap-DEA)을 통한 신용보증기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1.1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