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피아노 악곡을 활용한 신체 표현 음악지도 = Music Teaching Approach Based on Body Movement Using Piano Pie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03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악 수업에서 신체 표현 활동은 기본 박과 음가에 대한 감각 및 리듬 협응 능력을 계발하고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개념의 이해를 도모하고 학생들에게 친숙한 악곡을 소재로 민속 춤곡의 요소를 도입하여 전개될 수 있는 신체 표현 교수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신체 활동은 음악과 동작을 민속 춤곡과 연계시킨 필리스 웨이커트(Phyllis Weikart)의 리듬 동작 이론에 근거하여 구안되었다. 웨이커트의 민속 춤곡 기반 신체 표현 활동에는 음악 학습 소재로 짧은 기악곡이나 친숙한 노래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표현 활동에 필요한 악곡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대별, 작곡가별로 광범위하게 피아노 소곡과 학생들에게 친숙한 명곡들을 중심으로 교재 악곡을 수집 조사하였으며 악곡 분석에 근거하여 신체 표현을 통한 음악 개념 지도에 효과적인 곡들을 선정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악곡을 소재로 악곡에 사용된 주요 음악적 개념과 특징적 요소를 동작으로 구안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한정된 지면 관계상 세 곡을 중심으로 실제 지도를 위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교수 전략은 기존의 단편적인 신체 표현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음악 작품을 소재로 곡 전체를 신체 표현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악곡의 음악적 특징에 민감한 반응을 유도하면서 음악적 이해력과 표현력 및 연주력을 강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교수 아이디어는 악곡을 활용하여 민속 춤곡 형태로 동작을 구안하여 신체 표현 학습을 계획할 수 있는 교사들의 교수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음악 수업에서 신체 표현 활동은 기본 박과 음가에 대한 감각 및 리듬 협응 능력을 계발하고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

      음악 수업에서 신체 표현 활동은 기본 박과 음가에 대한 감각 및 리듬 협응 능력을 계발하고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력을 촉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 개념의 이해를 도모하고 학생들에게 친숙한 악곡을 소재로 민속 춤곡의 요소를 도입하여 전개될 수 있는 신체 표현 교수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신체 활동은 음악과 동작을 민속 춤곡과 연계시킨 필리스 웨이커트(Phyllis Weikart)의 리듬 동작 이론에 근거하여 구안되었다. 웨이커트의 민속 춤곡 기반 신체 표현 활동에는 음악 학습 소재로 짧은 기악곡이나 친숙한 노래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표현 활동에 필요한 악곡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대별, 작곡가별로 광범위하게 피아노 소곡과 학생들에게 친숙한 명곡들을 중심으로 교재 악곡을 수집 조사하였으며 악곡 분석에 근거하여 신체 표현을 통한 음악 개념 지도에 효과적인 곡들을 선정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악곡을 소재로 악곡에 사용된 주요 음악적 개념과 특징적 요소를 동작으로 구안하여 표기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한정된 지면 관계상 세 곡을 중심으로 실제 지도를 위한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교수 전략은 기존의 단편적인 신체 표현 지도 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음악 작품을 소재로 곡 전체를 신체 표현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악곡의 음악적 특징에 민감한 반응을 유도하면서 음악적 이해력과 표현력 및 연주력을 강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의 교수 아이디어는 악곡을 활용하여 민속 춤곡 형태로 동작을 구안하여 신체 표현 학습을 계획할 수 있는 교사들의 교수 기술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dy movement in music i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awareness of basic steady beat, rhythmic coordination, and timing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ideas on body movement through the use of beginning folk dance movements. The movement activities suggested in the study is based on the music teaching method through movement and dance, which was proposed by Phyllis Weikart, a specialist in music and movement education. Weikart developed the rhythm program focusing on folk dance-based movement activity using instrumental music and familiar songs. Selection of musical composition is important in planing Weikart``s movement activities. The study devised body mo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for selected musical examples and by applying Weikart``s rhythm motion theory. The study presented the instructional model to illustrate the ways of creating body movement using short musical pieces. Because of the limited pages for the paper, the study provided the sample lessons for three pieces. In order to provide teaching literature necessary for the movement activities proposed in this study, the study surveyed and collected considerable amount of easy piano pieces and familiar instrumental music. Then,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collected works to select musical pieces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in teaching bodily movement and promot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of students in elementary music classroom. It is expected tha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present study foster the musical expression through body movement and musical rhythms and reinforce the musical concepts which affect the student’s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of musical basics. It is hoped that the teaching idea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the teachers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 movements for musical pieces in their classroom.
      번역하기

      The body movement in music i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awareness of basic steady beat, rhythmic coordination, and timing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

      The body movement in music i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an awareness of basic steady beat, rhythmic coordination, and timing and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ideas on body movement through the use of beginning folk dance movements. The movement activities suggested in the study is based on the music teaching method through movement and dance, which was proposed by Phyllis Weikart, a specialist in music and movement education. Weikart developed the rhythm program focusing on folk dance-based movement activity using instrumental music and familiar songs. Selection of musical composition is important in planing Weikart``s movement activities. The study devised body mo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lements for selected musical examples and by applying Weikart``s rhythm motion theory. The study presented the instructional model to illustrate the ways of creating body movement using short musical pieces. Because of the limited pages for the paper, the study provided the sample lessons for three pieces. In order to provide teaching literature necessary for the movement activities proposed in this study, the study surveyed and collected considerable amount of easy piano pieces and familiar instrumental music. Then,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collected works to select musical pieces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in teaching bodily movement and promot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elements of students in elementary music classroom. It is expected that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in this present study foster the musical expression through body movement and musical rhythms and reinforce the musical concepts which affect the student’s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of musical basics. It is hoped that the teaching idea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the teachers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choreograph movements for musical pieces in their classroo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