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월호사건’으로 본 교사상에 대한 성찰 = Reflections of Teacher Model through the Sewol Ferry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5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4년 일어난 세월호사건을 계기로 교사가 맡아야 할 역할 및 책임과 관련지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필요한 교사상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은 경제와 과학의 급격한 발달과 이를 규제할 사회적 장치가 부족한 위험사회이며, 개인의 책임을 개인 자유와 선택으로 극대화하여 해석하는 신자유주의가 팽배해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대형참사는 학생과 교사의 희생을 양산해오고 있다. 이에 신자유주의 위험사회에서 교사와 학생들을 지킬 수 있는 교사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과거 우리는 사랑의 실천자와 윤리적인 교사, 전문능력이 탁월한 교사, 행정관료로의 교사에만 매여 교사를 바라보고 사랑, 지식전달, 업무에서의 성실자와 순응자로의 역할 즉 ‘가만히 있는 교사’를 요구해 왔다. 그러나 근대화의 자기모순과 소통부재에서 오는 위험사회의 극복은 주체적인 비판력과 대화를 통한 집단지성의 발현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있어 주체성과 비판의식을 공유하고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비판적 실천자’로의 주체적인 교사상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4년 일어난 세월호사건을 계기로 교사가 맡아야 할 역할 및 책임과 관련지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필요한 교사상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은 경제와 과학의 급격한 발달...

      이 글은 2014년 일어난 세월호사건을 계기로 교사가 맡아야 할 역할 및 책임과 관련지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필요한 교사상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은 경제와 과학의 급격한 발달과 이를 규제할 사회적 장치가 부족한 위험사회이며, 개인의 책임을 개인 자유와 선택으로 극대화하여 해석하는 신자유주의가 팽배해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대형참사는 학생과 교사의 희생을 양산해오고 있다. 이에 신자유주의 위험사회에서 교사와 학생들을 지킬 수 있는 교사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과거 우리는 사랑의 실천자와 윤리적인 교사, 전문능력이 탁월한 교사, 행정관료로의 교사에만 매여 교사를 바라보고 사랑, 지식전달, 업무에서의 성실자와 순응자로의 역할 즉 ‘가만히 있는 교사’를 요구해 왔다. 그러나 근대화의 자기모순과 소통부재에서 오는 위험사회의 극복은 주체적인 비판력과 대화를 통한 집단지성의 발현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있어 주체성과 비판의식을 공유하고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비판적 실천자’로의 주체적인 교사상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ase of Sewol ferry in 2014 forces us to reconsider about role and obligation which is regarded as essential to teachers.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es on studying today s desirable teacher model. Being rapidly developed by science and economics, pervaded with neoliberalism, individual suffering has been regarded as result of individual choice. In addition, lacking of social systems which control these indiscriminate developments, today can be defined as ‘risk society(Risikogesellschaft)’. Unfortunately, in this risk society, the weak, especially students have become victimized by social or natural catastrophes.
      Consequently, it is in need of contemplation on desirable teacher model which can protect and take care of them. We ve had stereotypes that teachers should be full of affection to student, professional at lecture, diligent as administrative officer. In other words, we have forced teachers to be obedient and passive men who ‘stay still and don t do anything unexpected’ as long as higher order is not given. However, risk society which self contradic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cause can only be overcome by autonomous criticis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erefore, we need to seek the autonomous teacher model as a ‘critical doer’ who can think and do by oneself.
      번역하기

      The case of Sewol ferry in 2014 forces us to reconsider about role and obligation which is regarded as essential to teachers.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es on studying today s desirable teacher model. Being rapidly developed by science and economic...

      The case of Sewol ferry in 2014 forces us to reconsider about role and obligation which is regarded as essential to teachers.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es on studying today s desirable teacher model. Being rapidly developed by science and economics, pervaded with neoliberalism, individual suffering has been regarded as result of individual choice. In addition, lacking of social systems which control these indiscriminate developments, today can be defined as ‘risk society(Risikogesellschaft)’. Unfortunately, in this risk society, the weak, especially students have become victimized by social or natural catastrophes.
      Consequently, it is in need of contemplation on desirable teacher model which can protect and take care of them. We ve had stereotypes that teachers should be full of affection to student, professional at lecture, diligent as administrative officer. In other words, we have forced teachers to be obedient and passive men who ‘stay still and don t do anything unexpected’ as long as higher order is not given. However, risk society which self contradic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cause can only be overcome by autonomous criticis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erefore, we need to seek the autonomous teacher model as a ‘critical doer’ who can think and do by one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가만히 있는’ 교사상에 대한 논의
      • Ⅲ. 신자유주의 위험사회 속에서의 교사
      • Ⅳ. 비판적 실천자로의 모색
      • Ⅴ. 맺음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가만히 있는’ 교사상에 대한 논의
      • Ⅲ. 신자유주의 위험사회 속에서의 교사
      • Ⅳ. 비판적 실천자로의 모색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철, "현대사회와 교원"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2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4

      3 전일균,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211-230, 2009

      4 Freire, P.,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2003

      5 Spranger, E., "천부적인 교사" 배영사 2005

      6 교육부, "참다운 교육자를 위한 대한민국 스승상 포상개요"

      7 오경종,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직생활 회고를 통한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고찰"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Foucault, M.,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9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2013

      10 Nolte, P., "위험사회와 새로운 자본주의" 도서출판 한울 2010

      1 김종철, "현대사회와 교원"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2

      2 한병철,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4

      3 전일균,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46) : 211-230, 2009

      4 Freire, P.,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2003

      5 Spranger, E., "천부적인 교사" 배영사 2005

      6 교육부, "참다운 교육자를 위한 대한민국 스승상 포상개요"

      7 오경종, "중등학교 교사들의 교직생활 회고를 통한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고찰"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Foucault, M.,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9 서동진,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돌베개 2013

      10 Nolte, P., "위험사회와 새로운 자본주의" 도서출판 한울 2010

      11 Beck, U., "위험사회 -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2006

      12 Bauman, Z., "위기의 국가" 동녘 2014

      13 교육부, "올해의 스승상 행사개요"

      14 Arent, H.,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15

      15 이종하, "아도르노 고통의 해석학" 살림출판원 2012

      16 민세명, "시민불복종자의 감정에 대한 이해"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503-520, 2014

      17 박상명, "승진과 관련한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8 오천석, "스승" 교육과학사 1997

      19 이종하, "소외된 교육과 해방의 교육-아도르노의 교육현실비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187-189, 2005

      20 조선일보인터넷신문, "사설: 세월호 유가족들의 인내와 절제도 필요하다. - 수사권과 기소권"

      21 동아일보인터넷신문, "사설: 선생님들은 세월호가 기울자 학생들부터 챙겼다"

      22 홍세화,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교육공동체 벗 2013

      23 Descartes, R.,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문예출판사 2011

      24 Ranciére, J., "무지한 스승: 지적해방에 대한 다섯 가지 교훈" 궁리 2013

      25 jtbc뉴스, "무서워요 19명 카톡메시지 재구성-교감과 교사의 문자"

      26 국민tv 뉴스k, "동영상: 세월호 94분 영상복원-최초신고기록"

      27 엄기호, "단속사회" 창비 2014

      28 이진우, "글로벌 위험사회" 도서출판 길 2010

      29 국가공무원법, "국가공무원법" 국가법령정보센터

      30 전우영, "교육관계법령에 나타난 우수교사상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1 일간베스트, "고급어묵공장인가?"

      32 Adorno, T. W., "계몽의 변증법" 문예출판사 1995

      33 정창호, "‘위험사회’에서의 교육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한독교육학회 19 (19): 1-22, 2014

      34 Tolstoy, L., "The life and teaching of Leo Tolstoy: a book of extracts" G. Richards 1904

      35 Plato., "The Dialogues of Plato(Ⅳ)" At the clarendon press 1964

      36 Freire, P., "Pedagogy of the Heart" 2007

      37 Seneca, L. A., "Ad Lucilium Epistulae Morales(I)" William Heinemann 344-351, 1917

      38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416세월호 민변의 기록" 생각의 길 2014

      39 조수재, "21세기 초등학교 교사상 탐색" 초등교육학회 12 (12): 169-18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1 1.91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8 1.8 2.36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