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찬의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 에 나타난 기독교적 사유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찬은 이 소설에서 예수와 빌라도를 비롯하여 유대 역사에 전승되는 여러 인물들을 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41493
2014
Korean
정찬 ; 『빌라도의 예수』 ; 기독교 근본주의 ; 신성 ; 신약 이데올로기 ; 신정론 ; 영지주의 ; JUNG Chan ; Jesus of Pilate ; Christian Fundamentalism ; Holiness ; The New Testament Ideology ; Theodicy ; Gnosticism
805.000
KCI등재
학술저널
49-69(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찬의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 에 나타난 기독교적 사유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찬은 이 소설에서 예수와 빌라도를 비롯하여 유대 역사에 전승되는 여러 인물들을 등...
본 연구는 정찬의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 에 나타난 기독교적 사유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정찬은 이 소설에서 예수와 빌라도를 비롯하여 유대 역사에 전승되는 여러 인물들을 등장시켜 역사성에 바탕을 둔 허구적 서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를 통해 예수의 신성에 대한 도전적 해석을 시도했다. 예를 들면 예수의 탄생과 부활에 관련된 주류 기독교의 전승에 의심을 시선을 던지거나 또 다른 해석을 가하는 것이 그것이다. 한편 정찬은 이 소설에서 고난과 악의 문제에 대한 고전적 신정론의 입장을 통해 ‘잃어버린 신성을 욕망하는 글쓰기’라는 주제의식을 지속하고 있다. 그는 다수의 소설에서 인간이 당하는 고난과 악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문제인식이 이 소설에서도 다루어지고 있음을 통해 기독교적 사유에 바탕을 둔작가의식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찬은 빌라도의 예수 에서 기독교 근본주의에 의해 갇혀버린 신성을 재해석하고 있으며, 나아가 성전 이데 올로기로 훼손된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Christian ideas in JUNG Chan`s Jesus of Pilate. The writer strengthens his fictional description empowering historicity through many characters who were transmitted in Jewish history including Jesus and Pilate. Moreover...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Christian ideas in JUNG Chan`s Jesus of Pilate. The writer strengthens his fictional description empowering historicity through many characters who were transmitted in Jewish history including Jesus and Pilate. Moreover, he presents an argumentative interpretation of holiness of Jesus in his narrative. For example, on the one hand, JUNG reveals his doubts on some Christian ideas concerning the birth and resurrection of Jesus. On the other hand, he continuously shows a thematic consciousness of “writing that desires for the lost holiness” reflecting the position of the traditional theodicy on the matters of hardships and evil in his novel. He deals with the problems of hardship and evil that human beings are facing in many of his novels. It is significant that the writer`s 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with his Christian reflections and portrayed in the novel. In conclusion, in Jesus of Pilate, JUNG tries to reinterpret the meaning of holiness free from Christian fundamentalism and have a chance for critical introspection on the institutionalized Christian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찬동, "허구적 서사의 역사적 개연성 연구 :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를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5
2 최재선,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신정론 연구 -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와 송우혜의 「고양이는 부르지 않을 때 온다」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3 (13): 1-22, 2008
3 이동하, "한국현대소설과 종교의 관련 양상" 푸른사상 2005
4 장수익, "한국 현대소설의 시각" 역락 193-220, 2003
5 차봉준, "한국 현대소설에 형상화된 신의 공의와 섭리 -최인훈의 「라울전」과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4 (14): 111-134, 2009
6 손호현, "하나님, 왜 세상에 악이 존재합니까? : 화이트헤드의 신정론" 열린서원 2005
7 이동하, "정찬 소설과 기독교의 관련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43) : 379-407, 2010
8 페이절스, 일레인,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루비박스 2006
9 이남호, "사람의 아들" 민음사 321-322, 1996
10 정찬, "빌라도의 예수" 랜덤 하우스 중앙 2004
1 정찬동, "허구적 서사의 역사적 개연성 연구 : 장편소설 『빌라도의 예수』를 중심으로" 중앙대 예술대학원 2005
2 최재선,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신정론 연구 -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와 송우혜의 「고양이는 부르지 않을 때 온다」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3 (13): 1-22, 2008
3 이동하, "한국현대소설과 종교의 관련 양상" 푸른사상 2005
4 장수익, "한국 현대소설의 시각" 역락 193-220, 2003
5 차봉준, "한국 현대소설에 형상화된 신의 공의와 섭리 -최인훈의 「라울전」과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4 (14): 111-134, 2009
6 손호현, "하나님, 왜 세상에 악이 존재합니까? : 화이트헤드의 신정론" 열린서원 2005
7 이동하, "정찬 소설과 기독교의 관련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43) : 379-407, 2010
8 페이절스, 일레인, "숨겨진 복음서 영지주의" 루비박스 2006
9 이남호, "사람의 아들" 민음사 321-322, 1996
10 정찬, "빌라도의 예수" 랜덤 하우스 중앙 2004
11 은미희, "낯섦과 낯익음, 이승우의 세상 보기" 63 : 63-97, 2004
12 박진, "꿈을 폐기한 시대의 꿈꾸기" 43 : 71-92, 1999
13 김종욱, "권력은 어떻게 해체되는가" 43 : 93-103, 1999
14 박영식, "고난과 하나님의 전능" 동연 2012
반어법으로 신학자들의 난제를 풀기: 마가복음 4장 11-12절의 해석
이승우의 지상의 노래에 나타난 압살롬 이야기의 문학적 수용
페미니즘과 영성: 루스 이리가레, 쥬디스 버틀러, 벨 훅스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Literature And Religion ->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0.551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