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
2 이기문, "훈몽자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1
3 배수찬, "한자의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 : 2003
4 임형택,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2002
5 조희정, "전통적 글읽기의 성격과 과정" 1998
6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7 양서원, "근대 초기의 독서론" 한국독서학회 10 : 2003
8 민현식, "국어문화사의 내용 체계화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10) : 2003
9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10 이응백, "국어교육사연구" 신구문화사 1975
1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7
2 이기문, "훈몽자회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1
3 배수찬, "한자의 특성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5 : 2003
4 임형택, "한민족의 문자 생활과 20세기 국한문체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2002
5 조희정, "전통적 글읽기의 성격과 과정" 1998
6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7 양서원, "근대 초기의 독서론" 한국독서학회 10 : 2003
8 민현식, "국어문화사의 내용 체계화에 대한 연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10) : 2003
9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10 이응백, "국어교육사연구" 신구문화사 1975
11 김종철, "국어교육과 민주주의"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04
12 배수찬, "고전 국문소설의 서술 원리 연구" 2001
13 심소희, "皇極經世聲音唱和圖 연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