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적합한 몸의 선별과 집단 사이의 위계화 — 1950~60년대 한미 해외입양 과정에서의 혼혈아의 몸에 대한 지식 생산과 활용을 중심으로 = The Adoptability and Hierarchy of ‘Mixed-Blood’ Bodies: Science and Medicine in the Transnational Adop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50-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115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duction and use of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about Korean ‘mixed-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1950~1960s. It analyzes how adoption agen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ought advice from racial scientists in order to judge the adoptability of ‘mixed-blood’ children in South Korea. Adoption agencies had facilities for orphans and ‘mixed-blood’ children such as orphanages and hospitals. These agencies provided a resource for producing knowledge of ‘mixed- blood’ bodies and information for scientists. On the one hand, racial scientists utilized the transnational adoption procedure to build a database on the bodies of ‘mixed-blood’ children. Across the Pacific, American scientists mobilized their knowledge of ‘mixed-blood’ bodies both to advice adoption agencies and as a strategic tool to promote their political agenda. After World War Ⅱ, American racial scientists underlined anti-racism ideology, renouncing a hypothesis of a hierarchy among different races. By promoting transracial adoption, American scientists hoped to show their new political st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reveals the blurring of boundaries of disability and mixed-blood categories by analyzing how Korean officials and American scientists produced knowledge about ‘mixed- 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Korea, ‘mixed-blood’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the ‘socially handicapped’, which was sub-category of disability. At the same time, American scientists who collaborated with transracial adoption agencies insisted ‘mixed- blood’ children would be more suitable for adoption than disabled children. In other words, both Korean and American actors thought the ‘mixed-blood’ children were more valuable than the disabled in transnational adoption. In that, they shared the same principle in producing and using their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for ‘mixed-blood’ children: adoptabil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duction and use of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about Korean ‘mixed-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1950~1960s. It analyzes how adoption agen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ought advic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duction and use of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about Korean ‘mixed-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the 1950~1960s. It analyzes how adoption agen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ought advice from racial scientists in order to judge the adoptability of ‘mixed-blood’ children in South Korea. Adoption agencies had facilities for orphans and ‘mixed-blood’ children such as orphanages and hospitals. These agencies provided a resource for producing knowledge of ‘mixed- blood’ bodies and information for scientists. On the one hand, racial scientists utilized the transnational adoption procedure to build a database on the bodies of ‘mixed-blood’ children. Across the Pacific, American scientists mobilized their knowledge of ‘mixed-blood’ bodies both to advice adoption agencies and as a strategic tool to promote their political agenda. After World War Ⅱ, American racial scientists underlined anti-racism ideology, renouncing a hypothesis of a hierarchy among different races. By promoting transracial adoption, American scientists hoped to show their new political stance. In conclusion, this paper reveals the blurring of boundaries of disability and mixed-blood categories by analyzing how Korean officials and American scientists produced knowledge about ‘mixed- blood’ children for transnational adoption. In Korea, ‘mixed-blood’ children were categorized as the ‘socially handicapped’, which was sub-category of disability. At the same time, American scientists who collaborated with transracial adoption agencies insisted ‘mixed- blood’ children would be more suitable for adoption than disabled children. In other words, both Korean and American actors thought the ‘mixed-blood’ children were more valuable than the disabled in transnational adoption. In that, they shared the same principle in producing and using their scientific and medical knowledge for ‘mixed-blood’ children: adopt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사회에는 한국인 여성과 미국인 남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들이 증가했다. 기지촌 성노동자의 자녀라는 사실과 이질적인 외모로 인해 혼혈아들은 주변인들로부터 멸시를 경험했다. 한국 정부는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을 위한 국민통합에 혼혈아들이 방해가 된다고 판단해 해외입양을 통해 이들에게 들어가는 사회복지비용을 줄이고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려고 했다. 그러나 입양 과정은 적합한 입양아를 선별하는 일을 동반했다. 혼혈아들의 인종 정보, 신체적 특징, 건강상태 등은 혼혈아들의 입양을 결정하는 판단 근거였다. 이 글은 1950~60년대 초중반 한미 해외입양 절차 과정에서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계, 의학계 사이의 협력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들은 해외입양이 한국 전쟁 이후 혼혈아들을 한국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한국 사회에 살 가치가 있는 집단을 결정하는 우생학적 성격이 있음을 구조적, 사회 이념적, 제도적 측면에서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기존 해외입양 연구들의 문제의식을 확장하여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해외입양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자들에 의해 장애인, 정신질환자들에 비해 더 입양에 적합한 몸으로 판단되었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사회에는 한국인 여성과 미국인 남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들이 증가했다. 기지촌 성노동자의 자녀라는 사실과 이질적인 외모로 인해 혼혈아들은 주변인들로부터 멸시...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사회에는 한국인 여성과 미국인 남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들이 증가했다. 기지촌 성노동자의 자녀라는 사실과 이질적인 외모로 인해 혼혈아들은 주변인들로부터 멸시를 경험했다. 한국 정부는 전후 복구와 경제성장을 위한 국민통합에 혼혈아들이 방해가 된다고 판단해 해외입양을 통해 이들에게 들어가는 사회복지비용을 줄이고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려고 했다. 그러나 입양 과정은 적합한 입양아를 선별하는 일을 동반했다. 혼혈아들의 인종 정보, 신체적 특징, 건강상태 등은 혼혈아들의 입양을 결정하는 판단 근거였다. 이 글은 1950~60년대 초중반 한미 해외입양 절차 과정에서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계, 의학계 사이의 협력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들은 해외입양이 한국 전쟁 이후 혼혈아들을 한국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었고, 한국 사회에 살 가치가 있는 집단을 결정하는 우생학적 성격이 있음을 구조적, 사회 이념적, 제도적 측면에서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기존 해외입양 연구들의 문제의식을 확장하여 혼혈아의 몸에 관한 지식과 정보가 해외입양과 학계의 협력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해외입양 관계자들과 과학자들에 의해 장애인, 정신질환자들에 비해 더 입양에 적합한 몸으로 판단되었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홀트아동복지회 50년사 편찬위원회, "홀트아동복지회 50년사"

      2 이정환, "혼혈인의 사회의학적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1962

      3 박정미, "혈통에서 문화로? 가족, 국적, 그리고 성원권의 젠더 정치" 한국사회학회 54 (54): 83-119, 2020

      4 이삼돌, "해외 입양과 한국 민족주의" 소나무 2008

      5 오기환,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의 치아색조에 관한 연구" 9 (9): 361-365,

      6 유양석,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의 치궁발육에 관한 연구" 8 (8): 75-108, 1965

      7 장진요,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제2편" 2 (2): 11-34, 1961

      8 장진요,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제1편" 2 (2): 63-77, 1961

      9 남기택, "한국인 혼혈아에 있어 치간색조에 관한 연구" 10 (10): 723-725, 1966

      10 이승애, "한국사회에서의 혼혈여성(Amerasian Women)의 경험을 구성하는 젠더와 인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 홀트아동복지회 50년사 편찬위원회, "홀트아동복지회 50년사"

      2 이정환, "혼혈인의 사회의학적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1962

      3 박정미, "혈통에서 문화로? 가족, 국적, 그리고 성원권의 젠더 정치" 한국사회학회 54 (54): 83-119, 2020

      4 이삼돌, "해외 입양과 한국 민족주의" 소나무 2008

      5 오기환,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의 치아색조에 관한 연구" 9 (9): 361-365,

      6 유양석,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의 치궁발육에 관한 연구" 8 (8): 75-108, 1965

      7 장진요,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제2편" 2 (2): 11-34, 1961

      8 장진요, "한국인과 백인 및 흑인과의 혼혈아에 대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제1편" 2 (2): 63-77, 1961

      9 남기택, "한국인 혼혈아에 있어 치간색조에 관한 연구" 10 (10): 723-725, 1966

      10 이승애, "한국사회에서의 혼혈여성(Amerasian Women)의 경험을 구성하는 젠더와 인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1 보건사회부 아동복리위원회, "한국 장해아동 조사 보고서" 1962

      12 최동률, "한·미 혼혈아동의 치관에 관한 인종해부학적 연구" 6 (6): 181-185, 1967

      13 최동률, "한·미 혼혈아동의 영구치 붕출 시기에 관한 인종해부학적 연구" 12 (12): 67-80, 1967

      14 릴리 리 루, "인종주의의 덫을 넘어서: 혼혈 한국인, 혼혈입양인 이야기" 뿌리의 집 131-147, 2020

      15 킴 아이혼, "인종주의의 덫을 넘어서: 혼혈 한국인, 혼혈 입양인 이야기" 뿌리의 집 206-217,

      16 낸시 조 오빌, "인종주의의 덫을 넘어서: 혼혈 한국인, 혼혈 입양인 이야기" 뿌리의 집 94-99, 2020

      17 박정형, "인종적 '타자'로서의 혼혈인 만들기 : 1950년대∼1970년대 한국의 의학지식생산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8 토비아스 휘비네트, "인종 간 입양의사회학" 뿌리의 집 265-284, 2012

      19 제인 정 트렌카, "인종 간 입양의 사회학" 뿌리의 집 2012

      20 정세권, "인간에 대한 ‘미국식 과학’의 형성: 대번포트(Charles Benedict Davenport)의 우생학" 한국과학사학회 30 (30): 139-169, 2008

      21 아리샤 오, "왜 그 아이들은 한국을 떠나지 않을 수 없었나:해외 입양의 숨겨진 역사" 뿌리의 집 2019

      22 미셸 푸코,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1977~78년" 난장 2012

      23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후마니타스 2008

      24 토마스 렘케,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푸코에서 생명자본까지현대 정치의 수수께끼를 밝힌다" 그린비 2015

      25 김호연, "새로운 유전학 (New Genetics), 과거 우생학 (Eugenics)의 재현인가?" 인문과학연구소 (32) : 193-218, 2012

      26 이명호, "버려진 아이들의 귀환:입양인 서사와 박정희 체제"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41-75, 2013

      27 조가은, "박정희 정부 해외입양 정책의 형성과 체제화: 근대화 구상과해외입양 체제" 서울대학교 2019

      28 김호연,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46) : 123-153, 2018

      29 이을상, "몸에 대한 생의학적 개입과 생명정치" 인문학연구원 (54) : 449-485, 2014

      30 주요섭, "대조" 136-144, 1949

      31 최강민, "단일민족의 신화와 혼혈인" 35 : 287-314, 2006

      32 염운옥, "낙인찍힌 몸: 흑인부터 난민까지, 인종화된 몸의 역사" 돌베개 2019

      33 국가인권위원회, "기지촌 혼혈인 인권실태조사" 2003

      34 김호연, "과학과 이념 사이의 우생학" 한국동서철학회 (48) : 243-266, 2008

      35 김아람, "고아, 족보 없는자" 책과 함께 157-197, 2014

      36 김청강, "고아, 족보 없는 자" 책과 함께 2014

      37 현재환, "‘지방차(地方差)’와 ‘고립(孤立)한 멘델 집단(Mendel集團)’: 두 ‘중심부’ 과학과 나세진의 혼종적 체질 인류학, 1932-1964" 한국과학사학회 37 (37): 345-382, 2015

      38 Ladd-Taylor, Molly, "Women, Health, and Natio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ince 1945"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3

      39 Reed, Sheldon C, "Towards a New Eugenics" 57 (57): 72-74, 1965

      40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The Race Concept: Results of an Inquiry, Paris:Imprimerie des Arts et Manufacture" 1952

      41 Paul, Daine B, "The Politics of Heredity: Essays on Eugenics, Biomedicine, and the Nature-nurture Debat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8

      42 Reed, Sheldon C, "The Local Eugenics Society" 9 (9): 1-8, 1957

      43 Kim, Hosu, "The Biopolitics of Transnational Adoption in South Korea: Preemption and the Governance of Single Birthmothers" 21 : 58-89, 2015

      44 Stern, Alexandra M, "Telling Genes: The Story of Genetic Counseling in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2

      45 Reed, Sheldon C, "Social Fitness versus Reproductive Fitness" 113 : 294-296, 1951

      46 Brattain, Michelle, "Race, Racism, and Antiracism: UNESCO and the Politics of Presenting Science to the Postwar Public" 112 (112): 1386-1413, 2007

      47 Reardon, Jenny, "Race to the Finish: Identity and Governance in an Age of Geno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48 Hwang, Taejin W, "Race and Racism in Modern East Asia:Interactions, Nationalism, Gender and Lineage Vol. 4" Brill 503-526, 2015

      49 Kim, Nadia Y, "Race and Racism in Modern East Asia: Interactions, Nationalism, Gender and Lineage" Brill 274-295, 2013

      50 Harzard Jr, "Postwar Anti-Racism" Palgrave Macmillan 2012

      51 Diederich, K. Inga, "Monitoring Mixed Bloods: Scientific Surveys and Medical Definitions of Honhyŏl`a Bodies, 1945-1979"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2019

      52 Kevles, Daniel, "In the Name of Eugen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5

      53 Clarke, Angus, "History of Human Genetics: Aspects of Development and Global Perspectives" Springer 541-566, 2017

      54 Teslow, Tracy, "Handbook of the Historiography of Biology" Springer 343-370, 2021

      55 Porter, Theodore, "Genetics in the Madhous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56 Reed, Sheldon C, "For Children of mixed racial ancestry" 8 (8): 157-163, 1961

      57 The United States Congress Senate Committee on the Judiciary, "Final Report of the Administrator of the Refugee Relief Act of 1953, as Amended"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7-, 1958

      58 Graves, Kori A, "Domesticating Foreign Affairs: the African-American Family, Korean War Orphans, and Cold War Civil Right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11

      59 Kim, Eunjung, "Curative Violence : Rehabilitating Disability, Gender, and Sexuality in Modern Korea" Duke University Press 2017

      60 Reed, Sheldon C, "Counseling in Medical Genetics" W. B. Saunders Company 1955

      61 Teslow, Tracy, "Constructing Race: The Science of Bodies and Cultures in American Anthro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62 Marianne Welter, "Comparison of Adopted Older Foreign and American Childre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1965

      63 Bangham, Jenny, "Blood Relations: Transfusion and the Making of Human Gene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

      64 Selcer, Perrin, "Beyond the Cephalic Index: Negotiating Politics to Produce UNESCO’s Scientific Statements on Race" 55 (55): S173-S184, 2012

      65 Morris-Reich, Amos, "Anthropology, Standardization and Measurement: Rudolf Martin and Anthropometric Photography" 46 (46): 487-516, 2013

      66 Hübinette, Tobias, "Adoption andMulticulturalism Europe, the Americas, and the Pacific"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23-238, 2020

      67 Kim, Eleana, "Adopted Territory: Transnational Korean Adoptees and the Politics of Belonging" Duke University Press 2010

      68 Stern, Curt, "A Study of Adoption Practice, Volume II: Selected Scientific Papers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Adoption"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47-58, 1955

      69 Cook, Robert, "A Study of Adoption Practice, Volume II: Selected Scientific Papers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Adoption"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59-65, 1955

      70 Harry Shapiro, "A Study of Adoption Practice, Volume II: Selected Scientific Papers Presented at the National Conference on Adoption" Child Welfare League of America 34-38, 1955

      71 Reed, Sheldon C, "A Short History of Genetic Counseling" 21 (21): 332-339, 1974

      72 김아람, "1950~1960년대 전반 한국의 혼혈인 문제 : 입양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