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시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적정한 공급량을 산정에 도움이 되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간명한 적용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기존 시설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86811
2022
-
300
학술저널
247-267(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시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적정한 공급량을 산정에 도움이 되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간명한 적용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기존 시설 공...
본 연구의 목적은 시군구에서 사회복지관의 적정한 공급량을 산정에 도움이 되도록 합리적이면서도 간명한 적용방법론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기존 시설 공급에 대한 방법론을 검토하였으며 국토교통부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최저 기준 등에 대해 검토한 후 수요추정 모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회복지관 공급의 추정 모델은 잠재적 대상자 인구 대비 실제 사회복지관 연간 실인원(15,000명)을 수요에 대한 지역별 상수로 한 후 사회복지관과 중심부 간 이격거리 소요 시간, 사회복지관 간 이격거리 소요시간을 계수로 적용하여 산출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추정 모형의 적용을 성남시 사례로 적용하였으며 인구 92만에 적정한 사회복지관 수는 14개소로 도출하였다.
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 사회복지관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북한이탈주민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복지서비스 앱 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의 외국인노동자 주거 정책 연구: 농업분야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반려동물이 독거노인의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은 독거노인의 지지체계가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