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Crwaford ․ Godbey(1987)의 여가제약모델에 기반해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경험의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 3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1,21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Crwaford ․ Godbey(1987)의 여가제약모델에 기반해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경험의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 3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1,211...
본 연구의 목적은 Crwaford ․ Godbey(1987)의 여가제약모델에 기반해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경험의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는 고령화연구패널 3차년도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총 1,211명의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경험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향 유 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주관적 계층의식, 참여모임인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노인보다 여 성노인이 문화예술향유 경험 확률이 높았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문화예술향유 경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내재적 요인 중에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나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문 화예술향유 경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적 요인 중에는 참여하고 있는 모임이 있을 경우 문화예술향유 경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조적 요인 중에는 문화예술향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구조적 요 인보다 내재적 요인과 대인적 요인이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농촌노인의 문화예술향유 증진을 위한 개입에 있어서의함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mong ruralelderly in Korea based on Craforwrd․Godbey(1987)’s leisure constrain model. A total of 1,211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Korean Longitudin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mong ruralelderly in Korea based on Craforwrd․Godbey(1987)’s leisure constrain model. A total of 1,211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in 2010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education, subjective classidentification, group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ofrural elderly. Specifically, female and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morelikely to experienc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mong intrapersonal factors, those withhigher level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enjoyment ofculture and art. Among interpersonal factors, group participa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experiencing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However, structura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associated with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onintervention for culture and art enjoyment among rural elderly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우, "희귀 사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한 편의 수정방법 비교 연구" 한국통계학회 27 (27): 277-290, 2014
2 한교남, "한국사회의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 -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181-199, 2011
3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회 25 (25): 1-21, 2005
4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 : 효과와 결정 요인" 한국사회학회 493-500, 2007
5 윤혜숙, "영화문화 향유권 강화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영화진흥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2012
6 장보라, "연소노인(Young-Old)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예술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9
7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삶의 만족수준에 관한 인과적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1-28, 2009
8 신지아, "실버계층의 여가활동참여 선택속성 및 여가지출 수요결정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9 윤인진,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급여가활용의 매개효과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153-185, 2008
10 권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28 (28): 535-553, 2008
1 김형우, "희귀 사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위한 편의 수정방법 비교 연구" 한국통계학회 27 (27): 277-290, 2014
2 한교남, "한국사회의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 -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5 (35): 181-199, 2011
3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한국노년학회 25 (25): 1-21, 2005
4 이기홍,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 : 효과와 결정 요인" 한국사회학회 493-500, 2007
5 윤혜숙, "영화문화 향유권 강화를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영화진흥위원회․문화체육관광부 2012
6 장보라, "연소노인(Young-Old)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예술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2009
7 조용하, "여성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삶의 만족수준에 관한 인과적 분석"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1-28, 2009
8 신지아, "실버계층의 여가활동참여 선택속성 및 여가지출 수요결정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9 윤인진,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고급여가활용의 매개효과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153-185, 2008
10 권현정, "베이비붐세대의 문화자본이 문화활동에 미치는 영향*:문화복지 관점에서" 한국노년학회 28 (28): 535-553, 2008
11 류윤호, "문화자본이 노년층소비자의 박물관 경험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2 정철현, "문화예술향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연예술 수용단계를 중심으로" (6) : 159-181, 2007
13 하미경,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개방성의 조절효과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 (20): 157-177, 2013
14 고재욱,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으로 본 노인의 문화권 증진 고찰 -노인 여가․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5 (15): 117-146, 2012
15 김진동, "문화예술 관람활동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361-374, 2012
16 한경혜, "도시지역 50, 60대 예비노인의 문화자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3 (33): 163-181, 2013
17 강현욱,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한국노년학회 32 (32): 129-143, 2012
18 허준수,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27-247, 2002
19 염지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에 대한 비교 연구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193-239, 2013
20 농촌진흥청, "농촌 주민의 문화생활 향상 방안 연구" 2004
21 안종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9-210, 2014
22 채원호, "노인의 문화서비스 향유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대구지역 노인복지회관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221-255, 2004
23 이현기, "노인여가활동의 성별차이와 관련요인 비교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8 : 165-188, 2008
24 허준수,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235-263, 2014
2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노인 여가문화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태조사-노인여가시설을 중심으로-" 2008
2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노인 문화복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2004
27 한국노동연구원,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008년 제2차 기본조사 사용자안내서" 2009
28 SAS Institute Inc., "SAS/STAT® 9.2 User’s Guide: The LOGISTIC Procedure (Book Excerpt)" SAS Institute Inc 2008
29 Crawford, D. W.,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9 : 119-127, 1987
30 Firth, D., "Bias reduction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80 : 27-38, 1993
31 이진욱,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여가활동 간의 관련성"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65-73, 2014
32 통계청, "2013년 사회조사 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33 문화체육관광부, "2012년 문화향수실태조사"
34 한국노동연구원,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차 기본조사 데이터 생성변수 안내서1" 2011
시설입소 정신장애인과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 기간이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과 노후준비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