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정서지능과 결혼만족도, 양육태도를 고찰하고,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건전한 가정생활과 양육을 유지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주며, 나아가 아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부모의 정서지능과 결혼만족도, 양육태도를 고찰하고,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건전한 가정생활과 양육을 유지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주며, 나아가 아동...
부모의 정서지능과 결혼만족도, 양육태도를 고찰하고, 이들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요인을 파악하여 보다 건전한 가정생활과 양육을 유지하는데 유익한 정보를 주며, 나아가 아동복지와 가정복지의가장 중심점인 부모의 심리를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서지능과 결혼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경우, 자녀 양육갈등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 조절은높을수록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았다. 또한, 정서 조절 수준이 낮을수록 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아졌고 자녀 양육갈등 수준은 높을수록 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았다. 아버지의 경우는 정서 조절과 정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았다. 또한, 자녀 양육 갈등수준이 높고 결혼에 대한 전반적 불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높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purpose to study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marriage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figure out the extent and elements these factors affect,provide any useful information to maintain more sound family lif...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purpose to study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marriage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figure out the extent and elements these factors affect,provide any useful information to maintain more sound family life and nurturing, and furtherunderstand parents' mentality which is the key of child welfare and family welfare moreintensively. In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how emotional intelligence and marriage satisfactionhad an effect on child-rearing attitude, in case of Mother, the lower the level of child-rearingconflict was, and the higher emotional control was, the higher Mother's autonomouschild-rearing attitude became In addition, the lower emotional control was, the higher rejectingnurturing attitude becam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rearing conflict was, the higherrejecting rearing attitude became. In case of Father,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and emotional recognition was, the higher Father's autonomous child-rearing attitude became. Moreover, the higher the level of child-rearing conflict and the level of overall dissatisfaction tomarriage, the higher Father's rejecting nurturing attitude becam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12 : 3-139, 1999
2 이진숙,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47-61, 2004
3 곽윤정, "정서 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4 김해영, "저소득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5 김원선,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 및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정숙희,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육관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3
7 김영희,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67-87, 2007
8 구애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이수경,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10 李元寧, "어머니의 子女敎育觀 및 養育態度와 幼兒發達과의 關聯性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1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12 : 3-139, 1999
2 이진숙,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47-61, 2004
3 곽윤정, "정서 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7
4 김해영, "저소득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5 김원선, "유아의 신체활동이 정서지능 및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정숙희,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육관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3
7 김영희, "원가족의 정서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부모역할 자신감이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2 (12): 67-87, 2007
8 구애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이수경,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10 李元寧, "어머니의 子女敎育觀 및 養育態度와 幼兒發達과의 關聯性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11 강차연, "어머니 애착유형과 결혼갈등, 자녀양육행동 및 아동행동 문제와의 관계" 20 (20): 51-75, 1999
12 최영미, "아버지의 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원유미, "부모의 양육태도, 결혼만족도, 의사결정유형과 자녀 특성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0
14 김미진,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정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15 전현진,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20 (20): 153-169, 1999
16 윤혜영,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가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0
17 金聖熙, "미술교육이 EQ에 미치는 영향"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8 박경자, "문제 해결을 위한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과 관련된 변인 : 결혼 만족도, 자녀양육 스트레스, 애착 안정성" 한국아동학회 23 (23): 53-70, 2002
19 지혜정,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3
20 문용린, "“한국 학생들의 정서지능 측정연구”, 새로운 지능의 개념: 감성지능"
21 Roach, A. J.,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43 : 537-546, 1981
22 Bar-On, R.,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EQ-I) : Technical Manual" Multi-Health Systems 1997
23 Belsky,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55 : 83-96, 1984
24 Miller, S. A.,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59 : 259-285, 1988
25 Belsky, J., "Parental and Nonparental Child Care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 A Decade in Review" 52 (52): 885-903, 1990
26 Gavazzi, S. M., "Modeling the effects of expressed emotion, Psychiatric symptomology, and marital quality levels on male and female verbal aggression" 62 (62): 669-683, 2000
27 Mayer, J. D.,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with the MSCEIT V2. 0" 3 : 97-105, 2003
28 Tapia, M.,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88 : 353-364, 2001
29 Stack, S., "Marital status and happiness : A 17-nation study" 60 : 527-536, 1998
30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9 : 185-211, 1990
31 Sala, F., "Emotional competence inventory : technical manual" McClelland Center For Research: Hay Group 2002
32 문용린,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글이랑 1997
33 김명희,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및 자녀양육행동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4 Epstein, S., "Constructive thinking : the key to emotional intelligence" Praeger 1998
35 Becker, W.,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169-208, 1964
36 Fincham, F. D., "Child determinant and marital relations" 69 : 543-574, 1998
시설입소 정신장애인과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자원봉사 활동 기간이 사회적 책임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애노인의 우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과 노후준비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