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입도분석 및 변수두법을 이용한 교란 사질 토양의 투수계수 측정 = A Measurem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of Disturbed Sandy Soils by Particle Analysis and Falling Head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8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야외에서 관찰되는 화강암 기원의 사질 토양시료들에 대한 광물학적 관찰과 입도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변수두법에 의해 그들 토양시료들의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리전도도 값...

      야외에서 관찰되는 화강암 기원의 사질 토양시료들에 대한 광물학적 관찰과 입도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변수두법에 의해 그들 토양시료들의 투수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리전도도 값과 토양시료들이 가지는 입도분포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정의하였다. 화강암으로부터 풍화된 토양의 입도분포에 의하면 토양은 sand와 loamy sand에 해당되며 변수두 실내 투수시험에 의해 측정된 투수계수는 1.15×10(-5)~ 7.31×10(-4) cm/sec의 범위로 이는 sand와 silt의 영역에 해당된다. 시험에 사용된 사질토양의 투수계수는 토양의 평균입도 보다는 입도분산과 더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뚜렷하게 관찰되며 입도분산도가 증가할수록 투수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연구결과 평균입도가 0.38~1.97mm 인 화강암 기원의 사질토양은 투수계수와 입도분산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y=6.0E-5x(-1.4)의 추세선과 잘 일치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실제로 야외에서 관찰되는 토양시료의 입도분산에 대한 고려 없이 평균입도만을 이용한 투수계수 예측은 큰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지시해 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ndy soils obtained from the field were examined by the way of particle analyses. The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of the disturbed soil samples were measured by the falling head method. The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p...

      Sandy soils obtained from the field were examined by the way of particle analyses. The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of the disturbed soil samples were measured by the falling head method. The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were defined. The soil which was a product of the weathering of the granitic rocks belonged to sand and loamy sand area in a sand-silt-clay triangular diagram. The measurements of hydraulic conductivity were 1.15×10(-5)~ 7.31×10(-4) cm/sec which is the range of sand and silt. It was clearly observ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s of the sandy soils showed stronger correlations with the particle variances rather than the mean grain sizes. The larger the variances, the smaller th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s. The sandy soil which was a product of weathered granite and whose mean grain size was 0.38~1.97mm showed regression curves of y=6.0E-5x(-1.4) in a correlations between hydraulic conductivity and particle variances. Accordingly, it is clearly concluded that making estimates without any consideration about particle variances can produce serious err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83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