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서 밀러 극의 인물, 주제, 문체에 나타난 유대인 특성 = The Jewishness in Characters, Themes, and Literary Styles of Arthur Miller's Pla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4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Jewish characteristics in Arthur Miller's eight major plays, focusing on their characters, themes, and writing styles. As a Jewish American immigrant, Miller has been praised for portraying the American ego or culture. Unti...

      This study aims to identify Jewish characteristics in Arthur Miller's eight major plays, focusing on their characters, themes, and writing styles. As a Jewish American immigrant, Miller has been praised for portraying the American ego or culture. Until now, criticism of Miller's plays has taken his imperfect American self for granted as the standard of universality. Critics analyzed only the form and content revealed on the surface of the plays, which have become ambiguous due to the author's double identities. Miller presents a typical American middle-class character on the surface of his works but, in deep structure, projects the collective Jewish ideology and prophetic discourses oriented toward the Old Testament. This study redefines the propositions of 'Modern Tragedy,' 'Common Man,' and 'Whole Social Drama' that Miller claimed to emphasize the universality of his works. The analysis of Miller's plays' characters, themes, and writing styles reveals that he reflects his Jewish identity more strongly than his American eg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서 밀러의 주요 여덟 개 희곡의 등장인물, 주제, 문체를 분석하여 작품이 지닌 유대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유대계 미국 이민자인 밀러는 현재까지 미국적 자아나...

      본 연구는 아서 밀러의 주요 여덟 개 희곡의 등장인물, 주제, 문체를 분석하여 작품이 지닌 유대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유대계 미국 이민자인 밀러는 현재까지 미국적 자아나 미국의 문화를대표적으로 묘사한 작가로 알려져 왔으며 그의 불완전한 미국적 자아는 보편성으로 수용되어왔다. 평론가들은 작가의 이중 정체성으로 인해 모호해진 극의 외면에 드러난 형식과 내용만을 분석했다. 밀러는표면적으로는 전형적인 미국 중산층의 인물과 배경을 보여주지만, 심층 구조에서는 구약성서 창세기를지향하는 집단적 유대인 이념과 예언적 담론을 투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가 보편성 주제를 강조하기위해 주장한 ‘현대비극’, ’보통 사람', ‘총체적 사회극'이란 명제의 모순을 밝히고 재규명하고자 한다. 극의 인물, 주제, 문체 분석 결과는 밀러의 희곡들이 미국적 자아보다 구약을 신봉하는 유대인적 자아를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밀러 극 명제의 재정의
      • 3. 극인물에 투영된 유대인 정체성
      • 4. 창세기 주제와 예언적 담론의 문체
      • 5. 결론
      • 1. 서론
      • 2. 밀러 극 명제의 재정의
      • 3. 극인물에 투영된 유대인 정체성
      • 4. 창세기 주제와 예언적 담론의 문체
      • 5.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