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생물제제 및 고구마 사일리지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3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3원교잡종(LY×D) 돼지를 이용하여, 60일 동안 미생물제제 K를 3% 급여한 A 처리구와 O를 3% 급여한 B 처리구 및 가고시마흑돼지에게 10%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C 처리구로 각 처리구별로 30두씩 공시하여 사양 시험 후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에서 함유수분, 조단백질, 조지방과 조회분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C 처리구가 A 및 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리감량은 B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단가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L^(*)값은 B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a^(*)와 b^(*) 값은 C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색에서 L^(*)값은 B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지방의 황색 정도를 나타내는 b^(*)값은 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가열육의 조직감의 경우 표면경도,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은 B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번역하기

      3원교잡종(LY×D) 돼지를 이용하여, 60일 동안 미생물제제 K를 3% 급여한 A 처리구와 O를 3% 급여한 B 처리구 및 가고시마흑돼지에게 10%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C 처리구로 각 처리구별로 30두�...

      3원교잡종(LY×D) 돼지를 이용하여, 60일 동안 미생물제제 K를 3% 급여한 A 처리구와 O를 3% 급여한 B 처리구 및 가고시마흑돼지에게 10% 고구마 사일리지를 급여한 C 처리구로 각 처리구별로 30두씩 공시하여 사양 시험 후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에서 함유수분, 조단백질, 조지방과 조회분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C 처리구가 A 및 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리감량은 B 처리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단가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육색에서 L^(*)값은 B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a^(*)와 b^(*) 값은 C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색에서 L^(*)값은 B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지방의 황색 정도를 나타내는 b^(*)값은 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가열육의 조직감의 경우 표면경도, 경도, 탄력성 및 씹힘성은 B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otal of 90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icrobes and sweet potato silag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 groups (A: Supplemented with 3% K microbe; B: Supplemented with 3% O microbe; C: Supplemented with 10% sweet potato silage).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All of dietary sweet potato silag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WHC and cholesterol cont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Cooking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shear force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p<0.05). In meat color, L^(*)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a^(*)and b^(*)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In fat color, L^(*)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b^(*)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In texturization of cooked meat, brittleness, hard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번역하기

      A total of 90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icrobes and sweet potato silag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 groups (A: Supplemented wit...

      A total of 90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microbes and sweet potato silag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 groups (A: Supplemented with 3% K microbe; B: Supplemented with 3% O microbe; C: Supplemented with 10% sweet potato silage).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All of dietary sweet potato silag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WHC and cholesterol content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Cooking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shear force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p<0.05). In meat color, L^(*)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a^(*)and b^(*)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In fat color, L^(*)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B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but b^(*)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In texturization of cooked meat, brittleness, hard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val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p<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