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SCI SCIE SCOPUS KCI등재

      심폐소생 금지 대리 결정에 대한 요양병원 노인 환자 가족의 인식 유형: Q 방법론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3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 결론
      • 서론
      • 연구 방법
      • 연구 결과
      • 논의
      •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수연,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52-484, 2019

      2 김현숙,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373-381, 2017

      3 이미미,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경험: 의료인들과의 상호작용"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76-86, 2017

      4 박재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한국노년학회 33 (33): 581-600, 2013

      5 박은희,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30 (30): 183-193, 2018

      6 윤영미,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융합인문학회 5 (5): 57-75, 2017

      7 김용,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53-61, 2018

      8 문재영,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자율성 증진에 관한 문제제기: 미국 환자자기결정권 제정 이후 논쟁분석" 한국의료윤리학회 22 (22): 161-173, 2019

      9 최지연, "연명의료결정법과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현황, 경험과 문제점" 한국의료윤리학회 22 (22): 209-233, 2019

      10 김정아, "연명의료 대리결정에서의 자율성의 두 관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8조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20 (20): 56-77, 2017

      1 한수연,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52-484, 2019

      2 김현숙,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373-381, 2017

      3 이미미,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경험: 의료인들과의 상호작용"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76-86, 2017

      4 박재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한국노년학회 33 (33): 581-600, 2013

      5 박은희,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30 (30): 183-193, 2018

      6 윤영미, "연명의료중단 관련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융합인문학회 5 (5): 57-75, 2017

      7 김용, "연명의료결정법의 의미와 과제 - 환자 중심 의료를 중심으로"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3 (13): 53-61, 2018

      8 문재영, "연명의료결정법과 환자자율성 증진에 관한 문제제기: 미국 환자자기결정권 제정 이후 논쟁분석" 한국의료윤리학회 22 (22): 161-173, 2019

      9 최지연, "연명의료결정법과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현황, 경험과 문제점" 한국의료윤리학회 22 (22): 209-233, 2019

      10 김정아, "연명의료 대리결정에서의 자율성의 두 관념: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8조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20 (20): 56-77, 2017

      11 윤상은, "심폐소생술 금지 동의 후 사망한 환자의 현황과 연명의료 실태 조사: 단일 의료기관 경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1 (21): 51-57, 2018

      12 이수정, "성인의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393-399, 2019

      13 한수연, "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 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생명문화연구소 42 : 289-329, 2016

      14 이재호, "미성년자 연명의료 중단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82) : 371-404, 2019

      15 김기영, "무연고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대한 문제와 윤리위원회의 과제" 한국의료법학회 28 (28): 7-34, 2020

      16 김수현, "말기 암환자 가족의 대리적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치료결정 후회 및 심리적 스트레스: 경로모형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8 (48): 578-587, 2018

      17 강다영,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Q 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55-369, 2015

      18 Ramsey CP, "Young adult African American family members’perceptions, knowledge, attitudes, and utilization toward advance directives" 24 (24): 51-59, 2013

      19 Sulmasy DP, "The trial of ascertaining individual preferences for loved ones’ role in end-of-life decisions(TAILORED)stud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mprove surrogate decision making" 54 (54): 455-465, 2017

      20 Handy CM, "The surrogate’s experience in authorizing a do not resuscitate order" 6 (6): 13-19, 2008

      21 Tseng YP, "The family surrogates’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aking a do-not-resuscitate decision for older relatives : A qualitative study" 54 (54): 195-207, 2018

      22 Chiang CC, "The concerns and experience of decision-making regarding do-not-resuscitate orders among caregivers in hospice palliative care" 38 (38): 123-129, 2021

      23 신경화,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Decision-Making for Dying Patient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 Single-Center Study" 대한중환자의학회 29 (29): 160-165, 2014

      24 Wendler D, "Systematic review : The effect on surrogates of making treatment decisions for others" 154 (154): 336-346, 2011

      25 Torke AM, "Scope and outcomes of surrogate decision making among hospitalized older adults" 174 (174): 370-377, 2014

      26 Kim HG,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Books 118-, 2008

      27 Torke AM, "Physicians’ views on the importance of patient preferences in surrogate decision-making" 58 (58): 533-538, 2010

      28 Kang AR, "Over 70,000 discontinued life-sustaining treatments" Yonhapnews

      29 Coffey A, "Nurses’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nd perceived confidence in end-of-life care : A cross-sectional study in five countries" 22 (22): 247-257, 2016

      30 Fritsch J, "Making decisions for hospitalized older adults : Ethical factors considered by family surrogates" 24 (24): 125-134, 2013

      31 Baggs JG, "Intensive care unit cultures and end-of-life decision making" 22 (22): 159-168, 2007

      32 National Agency for Managemen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registration status"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 (KONIBP)

      33 Gonella S, "Good end-of-life care in nursing home according to the family carers’ perspective :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findings" 33 (33): 589-606, 2019

      34 Tseng, YP,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o-not-resuscitate decision among surrogates of elderly residents at a nursing home in Taiwan" 11 (11): 95-99, 2017

      35 Kim H, "Ethical frameworks for surrogates’ end-of-life planning experience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24 (24): 46-69, 2017

      36 한성숙, "DNR(Do-Not-Resuscitate)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경험 및 인지도" 간호행정학회 11 (11): 255-264, 2005

      37 Heo DS, "Current status of proxy decisions on DNR in Korea" Medicine in society

      3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3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Heath care professional license registr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1-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KCI등재
      2008-01-01 평가 SSCI 등재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2-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간호학회 -> 한국간호과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24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5 2.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