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치료 프로그램 효과 = The Effect of Cognition Program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using the Day Care Cent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워크북 훈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경도인지장애 노인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17명으로 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주 3회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 주 2회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5회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주 5회 인지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두 군 모두 8주, 주 5회, 1회기 당 30분 적용하였으며, 인지기능 향상 효과는 LACLS와 S-LICA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LALCS와 S-LICA 비교 분석 결과, 전산화 인지치료와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일반적 인지치료 프로그램 보다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집단 간전후 비교 분석 결과 실험군이 LACLS와 S-LICA 총점, 기억력, 언어, 집행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목적 :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워크북 훈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주...

      목적 :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워크북 훈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경도인지장애 노인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17명으로 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주 3회 전산화 인지치료 프로그램, 주 2회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5회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주 5회 인지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두 군 모두 8주, 주 5회, 1회기 당 30분 적용하였으며, 인지기능 향상 효과는 LACLS와 S-LICA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LALCS와 S-LICA 비교 분석 결과, 전산화 인지치료와 재가형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을 병행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일반적 인지치료 프로그램 보다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집단 간전후 비교 분석 결과 실험군이 LACLS와 S-LICA 총점, 기억력, 언어, 집행기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인지기능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cogni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Methods : The cogni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is study, 24 times for a total of 8 weeks for thirty eight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The cognition program is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mbined with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and general cognition program. LACLS and S-LICA were used as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on program. Results : In this study, the LACLS score and S-LICA score of the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mbined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general cognition program group. The LACLS score and S-LICA total score, memory, language, executive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cogni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번역하기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cogni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Methods : The cogni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is study, 24 times for a total of 8 weeks for thirty eigh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 of cogni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Methods : The cogni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is study, 24 times for a total of 8 weeks for thirty eight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The cognition program is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mbined with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and general cognition program. LACLS and S-LICA were used as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on program. Results : In this study, the LACLS score and S-LICA score of the computer 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mbined home based cognitive program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general cognition program group. The LACLS score and S-LICA total score, memory, language, executive sco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cogni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using day care cen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해원,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167-172, 2019

      2 최성혜, "한국판 Global Deterioration Scale의 타당도" 대한신경과학회 20 (20): 612-617, 2002

      3 정복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17-325, 2013

      4 정원미,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한국노년학회 30 (30): 127-140, 2010

      5 강진호, "전산화 인지훈련이 경증 치매환자의 인지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8 (8): 71-83, 2016

      6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61-278, 2012

      7 김영근,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손상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401-419, 2012

      8 김민호,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 훈련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 (8): 121-130, 2020

      9 김동희,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적용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97-216, 2013

      10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1 변해원,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초기 치매노인의 생성 이름대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융합학회 10 (10): 167-172, 2019

      2 최성혜, "한국판 Global Deterioration Scale의 타당도" 대한신경과학회 20 (20): 612-617, 2002

      3 정복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17-325, 2013

      4 정원미,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한국노년학회 30 (30): 127-140, 2010

      5 강진호, "전산화 인지훈련이 경증 치매환자의 인지능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8 (8): 71-83, 2016

      6 조영남, "전산화 인지재활이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261-278, 2012

      7 김영근,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코트라스)이 뇌손상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401-419, 2012

      8 김민호,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 훈련이 노인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 8 (8): 121-130, 2020

      9 김동희,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적용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97-216, 2013

      10 함민주, "워크북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91-103, 2016

      11 배원진, "연령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전산화 인지재활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 21 (21): 75-89, 2013

      12 손지형, "단계적인 주의 집중력 훈련이 경증치매노인의기억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7 (7): 1-14, 2013

      13 김문영, "노인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전산화 인지 훈련의 효과: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 24 (24): 81-94, 2016

      14 오지연, "경증치매노인에서 통합적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인지기능 및 우울정도 개선효과 연구"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7 (27): 94-102, 2020

      15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Today of dementia"

      16 Lee, H., "The syst emat ic discussion o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patient with dementia in Korea" 5 (5): 83-89, 2017

      17 Kim, S., "The status and challengers of dementia management project"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14

      18 Bracy O. L.,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techniques for enhancing the cognitive, intellectual functioning of seventh and eighth grade children" 4 : 19-12, 1999

      19 Jong-Hoon Moon, "The effects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rehabilitative motiva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pilot study"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3 (13): 25-32, 2019

      20 Shin, M. J., "The effect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lfefficacy in brain injury patients" 4 (4): 5-23, 2015

      21 Hwang, J. H., "The effect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memory in the dementia : Case report" 3 (3): 53-63, 2011

      22 An, S. K., "The effect of attention training using computer-aid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REHACOM)in chronic schizophrenics" 36 (36): 72-79, 1997

      23 Jae Hun Jung, "The Effects of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Rehacom) on Executiv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Center 53 (53): 2014

      24 H. S. Park, "The Effect of Cog. Dr. on Working Memory in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13 (13): 109-117, 2019

      25 Lee, S. S., "Review study of clinical availability for screening test(MMSE, GDS, CDR)"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ersity 2007

      26 Jungeun Kim,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of the Literacy-Independent Cognitive Assessment in the Elderly"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9 (9): 111-, 2013

      27 Glisky, E. L., "Learning and retention of computer-related vocabulary in memory-impaired patients : Method of vanishing cues" 8 (8): 292-312, 1986

      28 Dong Woo Lee, "Korean national dementia plans: from 1st to 3rd" Korean Medical Association (KAMJE) 61 (61): 298-, 2018

      29 강연욱, "K-MMSE(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노인 규준 연구" 한국심리학회 25 (25): 1-12, 2006

      30 Hyun Ju You, "Efficacy of Cognitive Health Promotion Workbook for Community-Dwelling Elderlie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Performed by Trained Dementia Partners"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iatry 23 (23): 6-13, 2019

      31 Hyun-Sung Yoon, "Effects of home-based cognitive and physico -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dementia patients of a community"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3 (33): 23-32, 2016

      32 In-Hee Choi, "Effects of a Cognitive Func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a Workbook for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Korea Society for Wellness 12 (12): 439-, 2017

      33 Suh, G. H., "Dementia in Korea : Trend and projection" 6 (6): 79-87, 2002

      34 Kim, S. Y., "Comparison of effects between workbook and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Korea University 2013

      35 Newman, M., "Cognitive dis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phrenic disorder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87

      36 Park, S. H., "A systematic review about intervention of dementia patient of cognition" 5 (5): 9-15, 2011

      37 Lee, J. I., "A study on the senile dementia screening by K-MMSE and neuropsychological test-Jeonbuk province" The Graduate School JEONJU University 2014

      38 So-hee Lim, "A Systematic Review of Reminiscence Therapy Interventions Applied to Patients with in Dementi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3 (13): 77-88, 2019

      39 Won-Mi Shin, "A Study on the Needs of Occupational Therapist for Cognitive Activity Program"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4 (14): 81-91,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