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의 한문고전번역 현황과 한문고전번역 원칙 = Translation status and Principles of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1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started in 1950. The first translation was Dongguk Sesam in the 1950s and 1960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collec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three countries, and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supported by many people. In 1970, it translated the "Riju-Silok" program, and in the 1990s, it created the National Classical Society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translation and carry out the translation business. After a short period of absence, the translation was active again in the 2010s.
      North Korea's research on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was conducted in the 2000s. Many studies are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The basic principles of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Hanmun High School are 'historical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modernity.' Under the two basic principles, the detailed principles of each book are set up and translated. It i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maintaining consistency in transl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lternative translation, and using medical services to communicate contents accurately and efficiently.
      번역하기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started in 1950. The first translation was Dongguk Sesam in the 1950s and 1960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collec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three c...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started in 1950. The first translation was Dongguk Sesam in the 1950s and 1960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collec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carried out by the three countries, and the literature collection was supported by many people. In 1970, it translated the "Riju-Silok" program, and in the 1990s, it created the National Classical Society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translation and carry out the translation business. After a short period of absence, the translation was active again in the 2010s.
      North Korea's research on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was conducted in the 2000s. Many studies are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The basic principles of North Korea's translation of the Hanmun High School are 'historical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modernity.' Under the two basic principles, the detailed principles of each book are set up and translated. It i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maintaining consistency in transl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alternative translation, and using medical services to communicate contents accurately and effici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은 1950년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번역서는 『동국병감』으로 1950~60년대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의 국가고전은 물론이고 『박지원작품선집』, 『정약용작품선집』 등 다수의 문집도 선역하여 출판하였다. 1970년에는 『리조실록』을 번역하였고 1990년대에는 민족고전학회를 창설하여 번역 대상을 선별하고 번역사업을 진행해나갔다. 이후 잠시 소강상태였던 한문고전번역은 2010년대에 다시 활발히 진행되어 『비변사등록』과 『증보문헌비고』를 완역하였고, 현재 『팔만대장경』과 『일성록』을 번역하고 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수의 연구가 번역원칙에 집중되어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의 기본 원칙은 ‘역사주의적 원칙’과 ‘현대성의 원칙’이다. 두 기본 원칙 하에 서목별로 세부 원칙을 세워 번역을 진행하고 있다. 교감을 진행하고 번역 대안 등을 통해 번역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내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의역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번역하기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은 1950년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번역서는 『동국병감』으로 1950~60년대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의 국가고전은 물론이고 『박지원작품선집...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은 1950년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번역서는 『동국병감』으로 1950~60년대에는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등의 국가고전은 물론이고 『박지원작품선집』, 『정약용작품선집』 등 다수의 문집도 선역하여 출판하였다. 1970년에는 『리조실록』을 번역하였고 1990년대에는 민족고전학회를 창설하여 번역 대상을 선별하고 번역사업을 진행해나갔다. 이후 잠시 소강상태였던 한문고전번역은 2010년대에 다시 활발히 진행되어 『비변사등록』과 『증보문헌비고』를 완역하였고, 현재 『팔만대장경』과 『일성록』을 번역하고 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수의 연구가 번역원칙에 집중되어있다. 북한의 한문고전번역의 기본 원칙은 ‘역사주의적 원칙’과 ‘현대성의 원칙’이다. 두 기본 원칙 하에 서목별로 세부 원칙을 세워 번역을 진행하고 있다. 교감을 진행하고 번역 대안 등을 통해 번역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내용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의역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주, "홍기문의 연암 작품 번역 성과에 대하여" 한국고전번역원 48 : 343-376, 2016

      2 이정원, "한국고전번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고전번역연구』 와 『민족문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0 : 371-398, 2017

      3 林采郁, "조선왕조실록 번역사업" 극동문제연구소 109-117, 2001

      4 강혜선,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 동향" 돈암어문학회 26 : 73-97, 2013

      5 김정우, "북한의 번역 연구와 고전번역 사업"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2) : 73-97, 2003

      6 林采郁, "북한의 고전(古典) 발굴과 국역" 극동문제연구소 93-103, 2002

      7 차충환, "북한 간행 연암작품집의 문헌 성격과 번역 양상 및 작품 평가에 대한 일고찰"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14) : 65-90, 2006

      8 강혜선, "남북한 한문학 연구의 비교 시론 -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39) : 5-28, 2005

      9 정영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 - 『현종실록』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번역원 48 : 299-342, 2016

      10 이상하, "고전언해 및 남북한 고전국역의 비교검토와 고전 譯註의 한 방안" 한국고전번역원 30 (30): 93-138, 2007

      1 강영주, "홍기문의 연암 작품 번역 성과에 대하여" 한국고전번역원 48 : 343-376, 2016

      2 이정원, "한국고전번역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고전번역연구』 와 『민족문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0 : 371-398, 2017

      3 林采郁, "조선왕조실록 번역사업" 극동문제연구소 109-117, 2001

      4 강혜선,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 동향" 돈암어문학회 26 : 73-97, 2013

      5 김정우, "북한의 번역 연구와 고전번역 사업"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2) : 73-97, 2003

      6 林采郁, "북한의 고전(古典) 발굴과 국역" 극동문제연구소 93-103, 2002

      7 차충환, "북한 간행 연암작품집의 문헌 성격과 번역 양상 및 작품 평가에 대한 일고찰"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14) : 65-90, 2006

      8 강혜선, "남북한 한문학 연구의 비교 시론 - 북한의 최근 한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39) : 5-28, 2005

      9 정영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 - 『현종실록』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번역원 48 : 299-342, 2016

      10 이상하, "고전언해 및 남북한 고전국역의 비교검토와 고전 譯註의 한 방안" 한국고전번역원 30 (30): 93-138, 2007

      11 정양완, "國譯 『리조실록』에 대하여" 한국고전번역원 (17) : 95-113, 1994

      12 朴贊洙, "南北韓 國譯 朝鮮王朝實錄 用語 比較" 한국고전번역원 (17) : 206-213, 1994

      13 林承豹, "南․北韓 國譯 朝鮮王朝實錄 體裁․內容 比較" 한국고전번역원 (17) : 189-205, 1994

      14 양태진, "北韓의 古典國譯實態" 한국고전번역원 (8) : 8-30,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the Korean Classics -> The Society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