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영어교과서 문화요소 분석 및 교육과정 재구성 -세계 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Cultural Elements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English Textbook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globalization spreads all over the world, English is being used as a major communication tool not only among those who speak their own language but also between people who are not English speakers.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utilize the English language, understanding the relative culture can build relationship when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ommunicate. The revised curriculum that w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suggested ‘a human character who lives together with community spirit as a democratic citizen and practices consideration and kindness.’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ommunity’s problem solving and regional development. School education should also make students get along as global citizens with community spirit and democratic civic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o teach in civic education and how to teach civic education based on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designed content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nglish text books. Furtheermore, it suggests the methods of civic education based on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direc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a guide for a reconstruction of English curriculum.
      번역하기

      As globalization spreads all over the world, English is being used as a major communication tool not only among those who speak their own language but also between people who are not English speakers.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utilize the English ...

      As globalization spreads all over the world, English is being used as a major communication tool not only among those who speak their own language but also between people who are not English speakers.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utilize the English language, understanding the relative culture can build relationship when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ommunicate. The revised curriculum that w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suggested ‘a human character who lives together with community spirit as a democratic citizen and practices consideration and kindness.’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ommunity’s problem solving and regional development. School education should also make students get along as global citizens with community spirit and democratic civic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to teach in civic education and how to teach civic education based on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designed contents and method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nglish text books. Furtheermore, it suggests the methods of civic education based on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direc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a guide for a reconstruction of English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의 확대로 인해 영어는 세계 전 지역의 사람들 간에 의사소통의 도구로 이미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할 때, 언어로서의 영어 활용 능력은 물론이고 상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자세를 지녀야 원활한 소통 및 관계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서 문화요소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들이 실제 지구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 보며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초등영어 문화 분석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5명의 현직 교사인 대학원 학생들이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A교과서 중심으로 3-6학년 모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영어 교과서에 있는 문화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구성 요소와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이를 바탕으로 4차시 프로젝트 수업을 하였으며, 3·4학년군은 세계화 알기, 문화의 다양성과 전지구적 가치의 동질성 알기로 구성하였고, 5·6학년군은 세계의 다양한 쟁점과 우리와의 연관성 알기, 행동적 가치 실현, 실생활에서 세계 시민성 내면화로 구성하였고 그 중 5·6학년군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요소와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지도안을 재구성하였다.
      번역하기

      세계화의 확대로 인해 영어는 세계 전 지역의 사람들 간에 의사소통의 도구로 이미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할 때, ...

      세계화의 확대로 인해 영어는 세계 전 지역의 사람들 간에 의사소통의 도구로 이미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의사소통을 하고자 할 때, 언어로서의 영어 활용 능력은 물론이고 상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자세를 지녀야 원활한 소통 및 관계를 만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각 교과서에서 문화요소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들이 실제 지구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 보며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초등영어 문화 분석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5명의 현직 교사인 대학원 학생들이 재직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A교과서 중심으로 3-6학년 모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영어 교과서에 있는 문화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구성 요소와 연관성을 찾을 수 있는 부분을 발췌하여 이를 바탕으로 4차시 프로젝트 수업을 하였으며, 3·4학년군은 세계화 알기, 문화의 다양성과 전지구적 가치의 동질성 알기로 구성하였고, 5·6학년군은 세계의 다양한 쟁점과 우리와의 연관성 알기, 행동적 가치 실현, 실생활에서 세계 시민성 내면화로 구성하였고 그 중 5·6학년군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요소와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지도안을 재구성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 J. Lee, "study on constructing integrated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2 "Vol.2015-74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1-2, 2015

      3 UNESCO, "UNESCO education strategy 2014-2021"

      4 유효성 ; 강정진, "KDB모형을 기반으로 한 주제중심 초등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세계시민의식과 표현능력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3 (23): 123-146, 2017

      5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6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60-439, 2018

      6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5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8-183, 2018

      7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4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56-309, 2018

      8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3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8-121, 2018

      9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Oxfam 8-32, 2015

      10 J. A.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al Education" Pearson 289-298, 2007

      1 K. J. Lee, "study on constructing integrated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2 "Vol.2015-74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1-2, 2015

      3 UNESCO, "UNESCO education strategy 2014-2021"

      4 유효성 ; 강정진, "KDB모형을 기반으로 한 주제중심 초등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세계시민의식과 표현능력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3 (23): 123-146, 2017

      5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6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60-439, 2018

      6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5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8-183, 2018

      7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4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56-309, 2018

      8 H. R. Kim, "Elementary School English 3 – Textbook and Teacher’s guide book" YBM 8-121, 2018

      9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Guide for Schools" Oxfam 8-32, 2015

      10 J. A. Banks,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al Education" Pearson 289-298, 2007

      11 J. E. Kim, "A study on teaching and learing method of project-based elementary English teaching for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Graduate School of Gyeongin University of Education 2019

      12 M. K. Song, "A study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tegrated English class for develop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of Education 2018

      13 H. S. Ryu,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Theme-centered Intergrated Elementary English teaching for Cultivating Global Citizenship" Graduate School of Gyeongin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 아태인문사회융합기술교류학회 ->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8-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sia-pacific Journal or Convergent Recearch Interchange -> Asia-pacific Journal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KCI등재후보
      2018-02-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Asia-pacific Society for Humanities and Sociology Based Convergence Technology Exchange -> Asia-pacific Society of Convergent Research Interchange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