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베와 라이프니츠 = Bouvet and Leibniz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89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베는 루이 14세에 의해서 선발된 예수회의 중국선교사들 가운데 한 명이다. 1685년 그는 프랑스를 떠났고, 1688년 마침내 북경에 도착해서 선교를 시작했다. 1693년 중국의 강희제는 루이 14세...

      부베는 루이 14세에 의해서 선발된 예수회의 중국선교사들 가운데 한 명이다. 1685년 그는 프랑스를 떠났고, 1688년 마침내 북경에 도착해서 선교를 시작했다. 1693년 중국의 강희제는 루이 14세에게 보내는 선물과 함께 중국으로 새로운 선교사를 보내달라는 부탁을 하도록 부베를 다시 프랑스로 보냈다. 프랑스에 도착한 부베는 라이프니츠의 「최신 중국소식」을 읽고서 그에게 편지와 함께 자신이 쓴 「강희제전」 도 보내주게 된다. 이들의 교류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라이프니츠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던 이진법에 관해서 설명을 해주었고, 부베도 또한 자신의 관심분야였던 「역경」과 복희에 대해서 알려주었다. 부베는 라이프니츠의 편지를 읽고서 「역경」에 나오는 64괘들은 바로 이진법에서의 숫자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한 자신의 발견을 그는 다시 편지로 라이프니츠에게 알려주었다.
      라이프니츠는 이미 4000년 전에 중국에서는 복희가 이진법을 발견했다고 믿고 놀라면서 그를 칭송하였다. 나아가서 그는 종교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옛날의 중국인들이 현대의 중국인들보다 더 뛰어났었다는 사실이 바로 「역경」의 64괘들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도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복희는 64괘들을 이진법의 숫자로 처음 만들었고 또 그 당시에 중국인들은 그것을 이해했으나 현대의 중국인들은 그러한 사실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이 아주 옛날에 이미 이진법을 알았다는 사실은 라이프니츠에게는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에게 이진법은 단순한 산술(算術) 이상의 것이다. 그는 이진법이 창조의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고 믿었다. 라이프니츠는 이진법에서 0은 무(無)를 나타내고 1은 창조를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것을 고대 중국인들이 알았으니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결국 「역경」 의 이진법은 고대 중국인들이 하나님을 알았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ouvet and Leibniz. Bouvet was born at Le Mans, he came to China in 1687, as one of six Jesuits, the first group of French missionary to China, sent by Louis XIV. He returned to France i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ouvet and Leibniz. Bouvet was born at Le Mans, he came to China in 1687, as one of six Jesuits, the first group of French missionary to China, sent by Louis XIV. He returned to France in 1697. After Bouvet read Leibniz' Novissima Sinica, he sent Leibniz a letter dated 18 October 1697 with a copy of his recently published Portrait historique de l'Empereur de la Chine. Leibniz answered on 2 December 1697.
      It was Bouvet who first identified the hexagrams of the I ching with the binary numbers. Before it, Leibniz explained to Bouvet the principles of his binary arithmetic in his letter of 15 February 1701. Bouvet immediately recog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grams and the binary numbers and he announced his discovery in a letter written in Peking on 4 November 1701. With this letter he sent to Leibniz a woodcut diagram of the Fu-Hsi arrangement of the hexagrams, which provides the key to the analogy.
      Leibniz readily accepted the identification of the hexagrams with his binary numbers. He had no reason to doubt the antiquity of the Fu-Hsi arrangement that Bouvet had sent him. Leibniz believed that Fu-Hsi, the most ancient prince and philosopher of the Chinese, had understood the origin of things from unity and nothing, i.e., his mysterious figures reveal something of an analogy to Creation. Leibniz believed that his binary system presents an instance of how God created the world out of the units of 0(nothing) and 1(God).
      Leibniz deduced from the identification of the hexagrams with his binary numbers that Fu-Hsi had knowledge of the science of combinations which the later Chinese had lost. It seemed clear to Leibniz that the ancient Chinese surpassed the moderns not only in piety but also sc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요약]
      • 1. 머리말
      • 2. 부베의「강희제전」
      • 3. 부베의 중국학
      • 4. 부베와 라이프니츠의 교류
      • [한글 요약]
      • 1. 머리말
      • 2. 부베의「강희제전」
      • 3. 부베의 중국학
      • 4. 부베와 라이프니츠의 교류
      • 5. 「역경」 과 이진법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가 만난 중국" 이학사 2003

      2 Bouvet, J., "康熙帝伝" 平凡社 1979

      3 Leibniz, G.W., "Zwei Briefe über das binäre Zahlensystem und die chinesische Philosophie, übers. v. Renate Loosen u. Franz Vonessen" Stuttgart 1968

      4 Leibniz, G. W., "Writings on China" 1994

      5 Needham, Joseph, "Wissenschaft und Zivilisation in China, hrsg. v. Colin A. Ronan, übers. v. Rainer Herbster" Frankfurt am Main 1984

      6 Collani, Claudia von, "Sein Leben und sein Werk" Nettetal 1985

      7 Needham, Joseph,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2" 1954

      8 Ho, John, "Quellenuntersuchung zur Chinakenntnis bei Leibniz und Wolff" 1962

      9 "Leibniz, G. W., Das Neueste von China(1697): Novissima Sinica, hrsg. u. übers. v. H. G. Nesselrath u. H. Reinbothe, Köln"

      10 Mungello, D. E, "Leibniz and Confucianism : The Search for Accord" The University Press 1977

      1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가 만난 중국" 이학사 2003

      2 Bouvet, J., "康熙帝伝" 平凡社 1979

      3 Leibniz, G.W., "Zwei Briefe über das binäre Zahlensystem und die chinesische Philosophie, übers. v. Renate Loosen u. Franz Vonessen" Stuttgart 1968

      4 Leibniz, G. W., "Writings on China" 1994

      5 Needham, Joseph, "Wissenschaft und Zivilisation in China, hrsg. v. Colin A. Ronan, übers. v. Rainer Herbster" Frankfurt am Main 1984

      6 Collani, Claudia von, "Sein Leben und sein Werk" Nettetal 1985

      7 Needham, Joseph,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2" 1954

      8 Ho, John, "Quellenuntersuchung zur Chinakenntnis bei Leibniz und Wolff" 1962

      9 "Leibniz, G. W., Das Neueste von China(1697): Novissima Sinica, hrsg. u. übers. v. H. G. Nesselrath u. H. Reinbothe, Köln"

      10 Mungello, D. E, "Leibniz and Confucianism : The Search for Accord" The University Press 1977

      11 Herren, J. J., "Father Bouvet's Picture of Emperor K'ang Hsi (with appendices), in: Asia Major 7" 558-559, 1931

      12 Bouvet, Joachim, "Eine wissenschaftliche Akademie für China : Briefe des Chinamissionars Joachim Bouvet S. J. an Gottfried Wilhelm Leibniz und Jean-Paul Bignon über die Erforschung der chinesischen Kultur, Sprache und Geschichte, hrsg u. kommentiert von Claudia von Collani" Stuttgart 1989

      13 Leibniz, G.W., "Discourse on the natural theology of the Chinese" 1977

      14 Zacher, Hans J., "Die Hauptschriften zur Dyadik" Frankfurt am Main 1973

      15 Collani,claudia von, "Die Fguristen in der Chinamission" Frankfurt am Main 1981

      16 Leibniz, G.W., "Abhandlung über die chinesische Philosophie, übers. v. Renate Loosen u. Franz Vonessen, in: ANTAIOS 8" 144-203, 196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1.4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