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넷 밈으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meme mechanism and evolution process through imitation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internet-memes and orig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meme mechanism and evolution process through imitation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internet-memes and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evolution process. After analyzing characteristics the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dimensions of cultural items that people can potentially imitate. As a result, the case of type 1 has decontextual characteristics with the design of discrepancies and inverted structures. The case of type 2 is a design that distorts and deconstructs the form and ha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entional transformation. The case of type 3 has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communication where meanings can be recognized immediately and convey social messag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derived from the study are structural decontextualization, morphological manipulation and semantic visualization. Fashion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aesthetics is being designed for the purpose of social media content and is changing from a concept of wearing to a form of popular culture enjoy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new changes of trends appearing from modern fash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을 패션 분야에 적용하여 유행의 빠른 확산을 목적으로 디자인되는패션 아이템의 사례를 분석하고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는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을 패션 분야에 적용하여 유행의 빠른 확산을 목적으로 디자인되는패션 아이템의 사례를 분석하고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인터넷 밈의 메커니즘과 모방을 통한 유전, 변이, 경쟁, 선택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여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패션 관련 인터넷밈을 구글과 인스타그램 검색을 통해 1차 수집하여 분류 선별하고 역추적하여 원본 디자인을 2차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원본 이미지와 인터넷 밈을 진화 과정에 적용해서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 분석 프레임워크에서 제안한 구조, 형태, 의미의 3가지 모방 표현 요소별로 원본을 분류하여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불일치와 반전구조의 디자인으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이탈한 탈맥락적 특성이 있다. 둘째, 형태를 왜곡하고 해체한 디자인으로 의도적인 변형을 시도한 조작적 특성이 있다. 셋째, 의미가 즉각적으로 인식되고 특정 문제의 사회적 충돌에 대한 담론을 교환할 수 있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 밈으로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패션디자인은 구조적 탈맥락성, 형태적 조작성, 의미적 시각성의 특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전통적 미학에서 벗어나는 패션은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목적으로 디자인되고, 입는다는 개념에서즐기는 대중문화의 한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을 디자인 혁신의 원천으로 이해하고, 디지털 대중문화로서 패션의 가능성을 조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임스 채, "임팩트를 재고하다: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폭넓은 시각"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8 (8): 10-25, 2016

      2 조동기, "사이버공간의 문화적 특성과 ‘인터넷 밈’의 확산에 대한 연구" 동서사상연구소 (21) : 215-234, 2016

      3 Lee, T., "‘Grumpy Cat’, One Of The Internet’s Most Popular Memes, Has Died"

      4 Spitzberg, B., "Toward a model of meme diffusion (M3D)" 24 : 311-339, 2014

      5 Dawkins, R., "The selfish gene" Ulyoo 2018

      6 Evnine, S. J., "The anonymity of a murmur : Internet(and other)memes" 58 (58): 303-318, 2018

      7 Weinberg, N., "The Web goes ape over John Glenn"

      8 Varnsen, K., "The Very Best of the Success Kid Meme"

      9 Rabinowitz, A., "The Meme as Meme. Why do things go viral, and should we care?"

      10 Blackmore, S., "The Meme Machine" Bada 2010

      1 제임스 채, "임팩트를 재고하다: 브랜드 디자인에 대한 폭넓은 시각"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8 (8): 10-25, 2016

      2 조동기, "사이버공간의 문화적 특성과 ‘인터넷 밈’의 확산에 대한 연구" 동서사상연구소 (21) : 215-234, 2016

      3 Lee, T., "‘Grumpy Cat’, One Of The Internet’s Most Popular Memes, Has Died"

      4 Spitzberg, B., "Toward a model of meme diffusion (M3D)" 24 : 311-339, 2014

      5 Dawkins, R., "The selfish gene" Ulyoo 2018

      6 Evnine, S. J., "The anonymity of a murmur : Internet(and other)memes" 58 (58): 303-318, 2018

      7 Weinberg, N., "The Web goes ape over John Glenn"

      8 Varnsen, K., "The Very Best of the Success Kid Meme"

      9 Rabinowitz, A., "The Meme as Meme. Why do things go viral, and should we care?"

      10 Blackmore, S., "The Meme Machine" Bada 2010

      11 "T-Shirt Shirt - Parody Shirts"

      12 Balenciaga, "T-SHIRT SHIRT"

      13 "Success Kid"

      14 "Styler_mag"

      15 "Stephaniemmmalik"

      16 "Spring 2019 Couture. Viktor & Rolf"

      17 "Spring 2019 Couture. Viktor & Rolf"

      18 "Siduations"

      19 "Siduations"

      20 "Sainthoax"

      21 Solon, O., "Richard Dawkins on the Internet’s hijacking of the word ‘meme’"

      22 "RESORT 2018 Gucci"

      23 Darwin, C., "On the origin of species" Hangilsa 2014

      24 "Multi._emo_.fandom"

      25 "Mod0n"

      26 Shifman, L., "Memes in a digital world : Reconciling with a conceptual troublemaker" 18 (18): 362-377, 2013

      27 McInnis, K., "Meme fashion: Changing our clothes and breaking the internet" Amore Incorporated

      28 "Manny404"

      29 "Liuk"

      30 "Jacquemus"

      31 "Itsmaysmemes"

      32 Cannizzaro, S., "Internet memes as internet signs : A semiotic view of digital culture" 44 (44): 562-586, 2016

      33 "Heroine"

      34 "Handbagsalonsf"

      35 "Garyjanetti"

      36 Benaim, M., "From symbolic values to symbolic innovation:Internet-memes and innovation" 47 : 901-910, 2018

      37 Wang, J., "From a marketplace to a cultural space : Online meme as an operational unit of cultural transmission" 45 (45): 261-274, 2015

      38 "FALL 2015 READY-TO-WEAR Gucci"

      39 Andreasrose. style, "Andreasrose.style"

      40 Shifman, L., "An anatomy of a YouTube meme" 14 (14): 187-203, 2011

      41 "Alineofcocjin"

      42 Prates, R., "About today. BALENCIAGA CROCS sold out"

      43 Meeeeesh, "15 Fancy Fashion Memes For The Posh Individual"

      44 Maturana, H. R., "(El) árbol del conocimiento" Galmuri 2007

      45 Gal, N., ""It Gets Better" : Internet memes and the construction of collective identity" 18 (18): 1698-1714,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9-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6-09-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7-04-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학회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 The Korea Society Of Fashion Desig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41 1.549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