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주요 수산물인 김, 광어, 전복을 대상으로 수산업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안정화에 대해 계량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측사업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12117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2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주요 수산물인 김, 광어, 전복을 대상으로 수산업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안정화에 대해 계량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측사업의 ...
이 논문은 주요 수산물인 김, 광어, 전복을 대상으로 수산업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안정화에 대해 계량분석을 시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측사업의 효과가 발생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품목별 입식시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측사업 이후 다음 시기의 입식시점을 효과가 발생한 시점으로 가정하였다.
둘째, 관측사업 이전과 이후의 가격변이계수를 통해 안정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광어의 가격변이계수는 0.569에서 0.132로, 전복의 가격변이계수는 0.537에서 0.160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즉 광어와 전복은 가격안정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개선된 ARMA-T-GARCH모형을 통해 가격안정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광어와 전복은 수산업관측사업 도입 이후 실질가격의 변동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으로 가격안정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WTO 시장개방 이후 김의 가격은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었지만, 일본 대지진은 가격변동성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어와 전복의 경우 WTO 시장개방과 일본 대지진 이후 가격이 안정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가격안정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 가격 이외의 요인들 WTO 시장개방, 일본 대지진, 코로나19 등 수요 및 정책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수산물 가격은 관측사업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양한 독립변수를 고려한 분석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수산업관측사업은 수급 및 가격안정화를 통해 어업인의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고 수산업의 산업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수산업관측사업을 통한 정보제공을 통해 어업인의 입식 및 출하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통해 수급 및 가격안정화를 통해 물가안정이라는 국가경제 목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문석, "확장형 ARMA-GARCH 모형을 활용한 농업관측사업의 가격안정화 효과 분석-채소류 5대 민감품목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2 김관수, "농업관측사업 평가와 중장기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3 안병일, "농업관측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4 Box, G. E. P.,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Day 1976
5 Stein, J. L., "Speculative price : economic welfare and the idiot of chance" 63 (63): 223-232, 1981
6 Ruey, S. T., "Outliers, Level Shifts, and Variance Changes in Time Series" 7I (7I): 1988
7 Fox, A. J., "Outliers in Time Series" 34 (34): 1972
8 Tim, B.,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31 : 307-327, 1986
9 Wilkinson, S., "Focus group research" Sage 177-199, 2004
10 Symth, D. J., "Effect of Public Price Forecasts on Market Price Variation : A Stochastic Cobweb Example" 55 (55): 83-88, 1973
1 이문석, "확장형 ARMA-GARCH 모형을 활용한 농업관측사업의 가격안정화 효과 분석-채소류 5대 민감품목을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2 김관수, "농업관측사업 평가와 중장기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3 안병일, "농업관측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4 Box, G. E. P., "Time Series Analysis: Forecasting and Control" Holden-Day 1976
5 Stein, J. L., "Speculative price : economic welfare and the idiot of chance" 63 (63): 223-232, 1981
6 Ruey, S. T., "Outliers, Level Shifts, and Variance Changes in Time Series" 7I (7I): 1988
7 Fox, A. J., "Outliers in Time Series" 34 (34): 1972
8 Tim, B., "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31 : 307-327, 1986
9 Wilkinson, S., "Focus group research" Sage 177-199, 2004
10 Symth, D. J., "Effect of Public Price Forecasts on Market Price Variation : A Stochastic Cobweb Example" 55 (55): 83-88, 1973
11 Engle, R. F.,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with Estimates of Variance of United Kingdom Inflation" 50 (50): 987-1007, 1982
12 Anthony, J. O., "A Qualitative Framework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in Focus Group Research" 8 (8): 1-21, 2009
13 통계청, "2021년 어업생산통계 및 어류양식현황조사"
14 한석호, "2019 수산업관측사업 성과평가 연구용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15 김관수, "2018 수산업관측사업 성과평가 연구용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8
수산물 품목분류 분쟁사례에 관한 연구-도시디쿠스(Dosidicus)속 기가스(Gigas)종 오징어 품목분류사례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