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학을 자생적 '우리교육론'으로 정립해보려 한다. 역사적 난관에 처할수록, 교사들은 당대 그 곳의 삶의 현장, 민중의 삶의 고통을 깊이 이해하려하고, '교육'이라는 문화적 방편을 통해 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47783
조정봉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2005
Korean
야학 ; 교육문화 ; 교직 ; 공교육 ; 김천 ; Nodong Yahak ; educational culture ; teaching profession ; public education ; Gimcheon
376.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1-70(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야학을 자생적 '우리교육론'으로 정립해보려 한다. 역사적 난관에 처할수록, 교사들은 당대 그 곳의 삶의 현장, 민중의 삶의 고통을 깊이 이해하려하고, '교육'이라는 문화적 방편을 통해 일...
야학을 자생적 '우리교육론'으로 정립해보려 한다. 역사적 난관에 처할수록, 교사들은 당대 그 곳의 삶의 현장, 민중의 삶의 고통을 깊이 이해하려하고, '교육'이라는 문화적 방편을 통해 일제의 민족침략에 저항한다. 이 연구는 야학이 마을 '속에서' 이루어진 사회 문화적 활동이었다는 것, 다시 말해 마을은 삶의 현장이었고, 야학은 삶의 현장을 구성하는 목적의식적인 활동이었음을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문기사와 재판기록을 토대로 하여 마을이 야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책임을 졌음을 양적 · 질적 지표를 통해 확인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chool of Nodong Yahak was erected in a village that had a traditional admiration of human knowledge. The village worked as a supporting system for the teachings of Yahak. The hidden educational relationship had already existed before Nodong Yahak...
The school of Nodong Yahak was erected in a village that had a traditional admiration of human knowledge. The village worked as a supporting system for the teachings of Yahak. The hidden educational relationship had already existed before Nodong Yahak was ever erected in the village.
This study takes a third point of view about Yahak. Yahak was erected for the study of academics more so than for enlightenment or political struggle, but it dovetailed with educational practices within the village itself.
The students of Nodong Yahak learned Korean history, Korean geography, and philosophy. They also learned that social practice was as important as acquiring human knowledge.
A major compon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 of Nodong Yahak w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our tradition of admiring human knowledge. This is a key point for researchers to understand about Nodong Yahak that was erect in a villag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부태, "한국학력사회론" 내일을 여는 책 1995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 비평사 1996
3 김석형, "한국사와 農民" 신서원 1998
4 조정봉, "일제하 영주지역 노동야학에 관한 연구" 31 (31): 53-71, 2004
5 조정봉, "일제하 야학의 교육적 실천" 2001
6 池秀傑, "일제하 농민조합운동연구-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역사비평사 1993
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7
8 김홍옥, "노동야학 참여관찰 연구" 1992
9 김도형, "김천지방의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김천그룹’을 중심으로-" 309-358, 1993
10 김도형 외, "근대 대구경북 49인 : 그들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혜안 1999
1 김부태, "한국학력사회론" 내일을 여는 책 1995
2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 창작과 비평사 1996
3 김석형, "한국사와 農民" 신서원 1998
4 조정봉, "일제하 영주지역 노동야학에 관한 연구" 31 (31): 53-71, 2004
5 조정봉, "일제하 야학의 교육적 실천" 2001
6 池秀傑, "일제하 농민조합운동연구-1930년대 혁명적 농민조합운동-" 역사비평사 1993
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7
8 김홍옥, "노동야학 참여관찰 연구" 1992
9 김도형, "김천지방의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김천그룹’을 중심으로-" 309-358, 1993
10 김도형 외, "근대 대구경북 49인 : 그들에게 민족은 무엇인가" 혜안 1999
11 김민남, "교직의 기원 우리 교육현실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한 방식" 16 : 1-19, 1998
12 손종현, "개화기 근대교육에 대한 영남유림의 저항과 수용" 17 : 107-145, 1999
13 趙東杰, "朝鮮農民社의 農民運動과 農民夜學" (16) : 147-172, 1978
14 "昭和12年 刑公 第310311號" 1938
15 古川宣子, "日帝時代 普通學校體制의 形成" 1996
16 "日帝支配下의 勞動夜學" 1-39, 1970
17 盧榮澤, "日帝下 民衆敎育運動史" 1979
18 柳基悳, "日帝下 朝鮮農業政策의 展開와 農家經濟樣相" 18 (18): 195-212, 1999
19 李勳度, "夜學의 韓國敎育 文化思想史的 硏究-勞動夜學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1997
20 劉鎔植, "31獨立運動 以後 敎育熱의 上昇과 夜學活動의 展開" 270-308, 1991
21 김철수, "1920연대 소작농의 생활과 쟁의" (8) : 81-108, 1993
22 "-朝鮮近代敎育理解のための領域づけへの 提言-" 武藏大學論集 77-5 111, 1964
23 "-朝鮮近代敎育理解のための領域づけへの 提言-" 武藏大學論集 77-5 111, 196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3-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27 | 1.78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