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오줌싸개 치유에 대한 비교민속학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4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인은 오줌싸개의 원인을 불장난으로 인한 벌 혹은 아이의 몸에 잡귀가 붙어 부정 타서 탈을 일으킨 결과이며, 자가 치료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것을 치유하는 데는 부정을 떨어내기 위해서는 부정을 골라 잡아주고, 재생의 도구인 키와 바가지를 들고 이웃집으로 소금을 얻으러 가야했다. 이에 이웃은 소금으로 몸에 붙어있는 부정을 떨쳐내었고, 또 빗자루로 부정을 쓸어내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지깽이로 위협을 했다. 이렇게 정화된 아이가 얻어온 소금으로 만든 반찬을 먹음으로써 정상적인 몸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는 내용상으로 유아기를 벗어나 소아기로 들어가기 위한 통과의례(성인식), 그리고『아이 버리기』라는 기자의 습속과 신화와 맥이 닿아있었다. 즉, 오줌싸개의 과정은 소박하지만 잘 짜여진 통과의례(성인식)와 기자(棄子) 민속의례의 하나이었다. 이같은 오줌싸개의 민속이 중국에는 보이지 않지만, 일본의 일부지역에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우리의 눈길을 끈다. 이러한 한일의 공통점이 우연의 일치 혹은 문화전파에 의해 생겨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시간을 두고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한국인은 오줌싸개의 원인을 불장난으로 인한 벌 혹은 아이의 몸에 잡귀가 붙어 부정 타서 탈을 일으킨 결과이며, 자가 치료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것을 치유하는 데는 ...

      한국인은 오줌싸개의 원인을 불장난으로 인한 벌 혹은 아이의 몸에 잡귀가 붙어 부정 타서 탈을 일으킨 결과이며, 자가 치료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것을 치유하는 데는 부정을 떨어내기 위해서는 부정을 골라 잡아주고, 재생의 도구인 키와 바가지를 들고 이웃집으로 소금을 얻으러 가야했다. 이에 이웃은 소금으로 몸에 붙어있는 부정을 떨쳐내었고, 또 빗자루로 부정을 쓸어내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지깽이로 위협을 했다. 이렇게 정화된 아이가 얻어온 소금으로 만든 반찬을 먹음으로써 정상적인 몸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행위는 내용상으로 유아기를 벗어나 소아기로 들어가기 위한 통과의례(성인식), 그리고『아이 버리기』라는 기자의 습속과 신화와 맥이 닿아있었다. 즉, 오줌싸개의 과정은 소박하지만 잘 짜여진 통과의례(성인식)와 기자(棄子) 민속의례의 하나이었다. 이같은 오줌싸개의 민속이 중국에는 보이지 않지만, 일본의 일부지역에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우리의 눈길을 끈다. 이러한 한일의 공통점이 우연의 일치 혹은 문화전파에 의해 생겨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시간을 두고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Koreans believed that the cause of bedwetting occurred for superstitious reasons, playing with fire and ghost. In order to escape these superstitions, the parents made the child wear his or her ki and sent the child to get salt from his neighbor. Neighbors use salt, broom, and wooden poker to drive away the unclean energy attached to the child. Parents treat their children by cooking them with the salt they received when they returned home. This ritual behavior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rite of passage for children from infancy to childhood, and the rite of Giza folklore of “Abandoning a child”. While such rituals are not found in China, they are found in some parts of Japan. Comparisons and research are needed on where this cultural commonality between Korea and Japan originated.
      번역하기

      In the past, Koreans believed that the cause of bedwetting occurred for superstitious reasons, playing with fire and ghost. In order to escape these superstitions, the parents made the child wear his or her ki and sent the child to get salt from his n...

      In the past, Koreans believed that the cause of bedwetting occurred for superstitious reasons, playing with fire and ghost. In order to escape these superstitions, the parents made the child wear his or her ki and sent the child to get salt from his neighbor. Neighbors use salt, broom, and wooden poker to drive away the unclean energy attached to the child. Parents treat their children by cooking them with the salt they received when they returned home. This ritual behavior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rite of passage for children from infancy to childhood, and the rite of Giza folklore of “Abandoning a child”. While such rituals are not found in China, they are found in some parts of Japan. Comparisons and research are needed on where this cultural commonality between Korea and Japan origina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오줌싸개의 원인과 치료
      • Ⅲ. 오줌싸개를 고치는 주술적 도구
      • Ⅳ. 오줌싸개의 민속의례와 신화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오줌싸개의 원인과 치료
      • Ⅲ. 오줌싸개를 고치는 주술적 도구
      • Ⅳ. 오줌싸개의 민속의례와 신화
      • Ⅴ. 일본의 민간요법과 소금 얻으러 가는 오줌싸개
      • Ⅵ. 마무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희, "한국불교전설99" 우리출판사 1986

      2 이영식,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편" 국립민속박물관 2011

      3 김용덕, "한국민속문화대사전(하) 하" 창솔 2004

      4 최래옥, "한국민간속신어사전" 집문당 1995

      5 곽유석, "한국 서남부지역의 제염방법과 소금민속"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7 : 2014

      6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도서출판 동해 2002

      7 강채철, "통과의례에 나타난 제민속의 상징성 고찰"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15 : 1997

      8 제임스 조이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2011

      9 熊谷治,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집문당 1986

      10 최덕원,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집문당 1986

      1 최정희, "한국불교전설99" 우리출판사 1986

      2 이영식,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 편" 국립민속박물관 2011

      3 김용덕, "한국민속문화대사전(하) 하" 창솔 2004

      4 최래옥, "한국민간속신어사전" 집문당 1995

      5 곽유석, "한국 서남부지역의 제염방법과 소금민속"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7 : 2014

      6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도서출판 동해 2002

      7 강채철, "통과의례에 나타난 제민속의 상징성 고찰"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15 : 1997

      8 제임스 조이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2011

      9 熊谷治,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집문당 1986

      10 최덕원,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집문당 1986

      11 이어령, "우리문화박물지" 디자인하우스 2007

      12 조수철, "오줌싸개라고 놀리지 마세요!" 샘터사 34 (34): 2003

      13 최외선, "야뇨증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한국미술치료학회 4 (4): 1997

      14 송기태, "신앙과 설화에 나타난 소금의 주술적 상징성" 남도민속학회 (34) : 119-148, 2017

      15 이규태, "서민한국사 2" 샘터사 1973

      16 고성환, "삼신바가지" 향토문학연구회 10 : 2007

      17 이병도, "삼국유사" 광조출판사 1984

      18 서혜숙, "빅토리아 시대 켈트 동화의 사회문화적 배경 연구" 한국예이츠학회 30 : 75-106, 2008

      19 한정섭, "불교설화대사전 하" 불교정신문화원 2001

      20 박완서, "박완서단편소설전집 4" 문학동네 1999

      21 변도성, "바가지와 소금" 샘터사 12 : 1995

      22 최인학, "바가지에 얽힌 생활문화" 민속원 2004

      23 이수화, "민속현상에 나타난 소금의 쓰임새와 민중들의 의식" 안동대학 민속학회 1 : 1989

      24 정연학, "민속소식 106" 한국국립민속박물관 2004

      25 임재해, "민속문화의 자연친화적 성격과 속신의 생태학적 교육기능" 한국비교민속학회 21 : 2001

      26 정과리, "무덤 속의 마젤란" 문학과 지성사 1999

      27 유승훈, "낙동강 하구 제염업의 변천과 소금 관련 민속"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8 김지하, "나의 회상, 모로 누운 돌부처(13)"

      29 왕챵, "금기, 범하고 싶은 욕구" 비전코리아 2002

      30 常光徹, "魔除けの民俗学 家・道具・災害の俗信" 角川書店 2019

      31 近藤直也, "香川県下に於ける初誕生儀礼" 四国民俗学会 34 : 2000

      32 董宏猷作, "長江の童話" 文芸社 2004

      33 迷信調査協議會, "迷信の実態" 技報堂 1949

      34 岩井宏美, "近畿の民間療法" 明玄書房 1977

      35 福田英治, "近畿の民間療法" 明玄書房 1977

      36 小谷方明, "近畿の民間療法" 明玄書房 1977

      37 津村淙庵, "譚海" 國書刊行會 1970

      38 松崎憲三, "行人塚再考-塚をめぐるフォークロア(1)-" 成城大學大學院文學研究科 17 : 1994

      39 小泉直, "英米の俗信(2)" 愛知敎育大学 62 : 2013

      40 藤井裕之, "胞衣の象徵" 神奈川大学 日本常民文化研究所 39 : 2006

      41 松田道雄, "育児日記" 文藝春秋新社 1957

      42 根岸鎮衛, "耳袋" 平凡社 2000

      43 小松美保子, "神さま仏さま探訪記" 文芸社 2005

      44 源武雄, "沖縄の風土・歴史と民俗" 琉球縣 22 : 1972

      45 佐伯隆治, "民間医療に関する資料" 民間伝承の会 7 (7): 1942

      46 安溪遊地, "歴史と民俗文化のふるさと-山口市徳地の語り部・赤木森さん大いに語る(2)" 山口県立大学 13 : 2007

      47 柳田村史編さん委員会, "柳田村史" 柳田村 1975

      48 洪錫謨, "東國歲時記" 홍신문화사 1989

      49 常光徹, "昔話研究と資料 28" 三弥井書店 2000

      50 大竹信雄, "新潟県史 資料編(23)民俗2" 新潟県 1984

      51 森谷周野, "新潟県史 資料編 民俗2" 新潟県 1984

      52 成城大學民俗學硏究會, "成城大學民俗調査報告書(9) 9" 成城大學民俗學硏究會 1986

      53 斎藤茂吉, "念珠集" 鉄塔書院 1930

      54 岡山県史編纂委員会, "岡山県史(15)/民俗Ⅰ号" 岡山県 1983

      55 冷川昌彦, "宝満山周辺の植生史と里地・里山の利用の姿-高雄山頂・大行事とは" 筑紫女学園大学 2011

      56 白川靜, "字統" 平凡社 1998

      57 亀井千歩子, "塩の民俗学" 東京書籍 1979

      58 南信濃村史編纂委員会, "南信濃村史 遠山" 南信濃村 1983

      59 佐伯隆治, "信州安曇の民間療法" 民間伝承の会 8 (8): 1942

      60 板橋作美, "俗信の論理" 東京堂出版 1998

      61 田中勝雄, "仏寺に縁りある伝説と俗信―丹波国船井郡に於ける―" 三元社 12 (12): 1939

      62 田中熊雄, "九州 沖縄の民間療法" 明玄書房 1976

      63 椋鳩十, "ねしょんべんものがたり" 童心社 1971

      64 美浜町誌編さん委員会, "いいならわし" 南知多郷土研究会 38 : 1984

      65 森正史監修, "あゆみ―富郷の民俗 4" 愛媛大学農学部付属農業高等学校郷土研究部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