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울산시 공간구조의 변화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1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proposed in preceding research,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In analyzing of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the hypothesis of the previously-presented period division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employment and population-density function, industrial location, and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of Ulsan were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the hypothesis in the period division, which was suggested in the above, was indicated to be proper, and the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were shown as follows.
      ① 1962-1965 : ‘the period in transition’, ② 1966-1972 : ‘the period of urban concentration’, ③ 1973-1977 : ‘the Initial stage of discontinuous concentratio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location’, ④ 1978-1986 : ‘the advanced stage of discontinuous concentratio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location’, ⑤ 1987-1994 : ‘the diffusion period according to urban development’, ⑥ 1995-2005 : ‘the Initial stage of multi-nuclei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diffus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proposed in preceding research,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In analyzing of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the hypothesis of the previously-pres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ypothesis proposed in preceding research,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In analyzing of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the hypothesis of the previously-presented period division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employment and population-density function, industrial location, and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of Ulsan were closely examined.
      As a result, the hypothesis in the period division, which was suggested in the above, was indicated to be proper, and the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were shown as follows.
      ① 1962-1965 : ‘the period in transition’, ② 1966-1972 : ‘the period of urban concentration’, ③ 1973-1977 : ‘the Initial stage of discontinuous concentratio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location’, ④ 1978-1986 : ‘the advanced stage of discontinuous concentratio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industrial location’, ⑤ 1987-1994 : ‘the diffusion period according to urban development’, ⑥ 1995-2005 : ‘the Initial stage of multi-nuclei according to concentration and diffu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 3. 밀도함수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 4. 도시개발사업으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 3. 밀도함수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 4. 도시개발사업으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 5. 공업입지 발전과정의 고찰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울산시, "통계연보"

      2 울산상공회의소, "울산지역 공업단지 현황"

      3 최호현, "울산시 공간구조 변화의 시기구분" 대한건축학회 24 (24): 197-206, 2008

      4 울산시, "울산광역시사"

      5 울산시, "울산광역시 도시계획사"

      6 울산상공회의소, "울산공업 30년사"

      7 한국수자원공사, "온산 국가산업단지 개발사"

      8 울산시, "시정백서 1998, 2003, 2006"

      9 통계청, "살아있는 통계 변화하는 통계청"

      10 전명진, "비모수적 방법을 통한 서울의 고용중심지 변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3, 2003

      1 울산시, "통계연보"

      2 울산상공회의소, "울산지역 공업단지 현황"

      3 최호현, "울산시 공간구조 변화의 시기구분" 대한건축학회 24 (24): 197-206, 2008

      4 울산시, "울산광역시사"

      5 울산시, "울산광역시 도시계획사"

      6 울산상공회의소, "울산공업 30년사"

      7 한국수자원공사, "온산 국가산업단지 개발사"

      8 울산시, "시정백서 1998, 2003, 2006"

      9 통계청, "살아있는 통계 변화하는 통계청"

      10 전명진, "비모수적 방법을 통한 서울의 고용중심지 변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3, 2003

      11 김선범, "도시공간론" 울산대학교 출판부 1997

      12 남영우, "도시공간구조론" 법문사 2007

      13 이성호, "도시계획사를 통하여 본 부산시 공간구조의 변천과정" 서울대학교 2000

      14 박병주, "도시계획" 형설출판사 172-,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