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구중심주의 비판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모색 = 탈식민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06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담론전략으로서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르크스주의에 서구중심주의적 편향성이 내재할 수밖에 없다는 탈식민주의적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탈식민주의가 근거하는 탈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진정한 탈식민의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며, 특히 해방된 피식민 지역의 경제적 자립이라는 중요한 당면 과제의 해결에 무능하다. 따라서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문제와 동양사회에 관한 마르크스의 원래의 의도를 기준으로, 탈식민주의 등 다양한 입장에서 제기되는 마르크스주의의 서구중심주의적 경향성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마르크스주의 전통 속에서 많은 형태의 경제결정론적 오류나 진화론적 편향들이 존재했음을 반성하고, 구조와 실천의 변증법적 긴장에 기초한 마르크스 사상으로 돌아감으로써 자본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인 서구중심주에 대한 비판과 극복의 해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담론전략으로서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르크스주의에 서구중심...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담론전략으로서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르크스주의에 서구중심주의적 편향성이 내재할 수밖에 없다는 탈식민주의적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탈식민주의가 근거하는 탈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진정한 탈식민의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며, 특히 해방된 피식민 지역의 경제적 자립이라는 중요한 당면 과제의 해결에 무능하다. 따라서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문제와 동양사회에 관한 마르크스의 원래의 의도를 기준으로, 탈식민주의 등 다양한 입장에서 제기되는 마르크스주의의 서구중심주의적 경향성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마르크스주의 전통 속에서 많은 형태의 경제결정론적 오류나 진화론적 편향들이 존재했음을 반성하고, 구조와 실천의 변증법적 긴장에 기초한 마르크스 사상으로 돌아감으로써 자본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인 서구중심주에 대한 비판과 극복의 해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postcolonialism as an alternative discursive strategy for overcoming eurocentr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o acknowledge that the postcolonial assert that eurocentrism is inherent in Marxism commit a fault of excessive generalization. The epistemological relativism of the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which the postcolonialism is based on fails in making a correct direction of the postcoloniality. Especially, it is incompetent at settling the task of economical independence that is the most important within the emancipated ex-colonial nations. Thus, this paper tries to re-examine the Eurocentric tendencies of Marxism found in Marx’s original interpretation on the colony and orient societies by postcolonialists. As a result, the paper asserts tha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at Marxism has been infected with economic determinism and various evolutionary propensities and to seek for the solution that can criticize and overcome eurocentrism which is nothing more than an ideological apparatus of capital by returning Marx’s ideas based on the dialectic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practice.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postcolonialism as an alternative discursive strategy for overcoming eurocentr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o acknowledge that the postcolonial assert that 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postcolonialism as an alternative discursive strategy for overcoming eurocentr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o acknowledge that the postcolonial assert that eurocentrism is inherent in Marxism commit a fault of excessive generalization. The epistemological relativism of the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which the postcolonialism is based on fails in making a correct direction of the postcoloniality. Especially, it is incompetent at settling the task of economical independence that is the most important within the emancipated ex-colonial nations. Thus, this paper tries to re-examine the Eurocentric tendencies of Marxism found in Marx’s original interpretation on the colony and orient societies by postcolonialists. As a result, the paper asserts tha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at Marxism has been infected with economic determinism and various evolutionary propensities and to seek for the solution that can criticize and overcome eurocentrism which is nothing more than an ideological apparatus of capital by returning Marx’s ideas based on the dialectic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탈식민주의의 서구중심주의 비판의 가능성과 한계
      • 3. 마르크스주의와 서구중심주의: 대안적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4. 결론: 서구중심주의 비판의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위한 시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탈식민주의의 서구중심주의 비판의 가능성과 한계
      • 3. 마르크스주의와 서구중심주의: 대안적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4. 결론: 서구중심주의 비판의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위한 시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규환, "현대성의 정치적 상상력" 민음사 1993

      2 간디,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3 황동연,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2005

      4 고부응, "초민족시대의 민족정체성: 식민주의·탈식민 이론·민족" 문학과 지성사 2002

      5 돕, "자본주의 이행논쟁: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한겨레 1984

      6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 이산 2007

      7 블로트, "역사학의 함정: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한다" 푸른숲 2008

      8 오스트함멜, "식민주의" 역사비평사 2006

      9 강정인,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아카넷 2006

      10 서규환, "비판적 현대성의 정치적 이론" 다인아트 2006

      1 서규환, "현대성의 정치적 상상력" 민음사 1993

      2 간디,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3 황동연,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2005

      4 고부응, "초민족시대의 민족정체성: 식민주의·탈식민 이론·민족" 문학과 지성사 2002

      5 돕, "자본주의 이행논쟁: 봉건제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한겨레 1984

      6 강상중, "오리엔탈리즘을 넘어" 이산 2007

      7 블로트, "역사학의 함정: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한다" 푸른숲 2008

      8 오스트함멜, "식민주의" 역사비평사 2006

      9 강정인,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 아카넷 2006

      10 서규환, "비판적 현대성의 정치적 이론" 다인아트 2006

      11 김용규, "백색신화: 서양이론과 유럽중심주의 비판" 경성대출판부 2008

      12 나병철,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 2002

      13 김세연, "맑스의 비서구사회관" 역사비평사 1995

      14 박영균, "맑스, 탈근대적 지평을 걷다" 메이데이 2007

      15 Marx, K., "Theeses on Feuerbach" 5 : 1845

      16 Fanon, F., "The wretched of the earth" Grove Press 1963

      17 Marx, K., "The British Rule in India" 12 : 1853

      18 Marx, K., "Revolution in China in Europe" 12 : 1853

      19 Spivak, G. C., "Poststructuralism, Marginality, Postcolonialism and Value, in Postcolonialism: Critical Concept vol, 1" Routledge 2000

      20 Lenin, V. I., "Materialism and Empirico Criticism" 14 : 1908

      21 Engels, F., "Ludwig Feuerbach and the End of Classical German Philosophy" 26 : 1886

      22 Ahmad, A., "In Theory" Verso 1992

      23 Mcleod, J., "Beginning Postcolonialism" Me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24 Robinson, C. J., "An Anthropology of Marxism" Ashgate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ARXISM21 -> MARXISM 21 KCI등재
      2011-06-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ARXISM21 KCI등재
      2010-10-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92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