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재창조(re-invention)로서의 리메이크 : <현기증>의 계승과 변형으로서의 <환송대> = Remake as Re-Invention -<La Jetée>, as a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Verti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4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s to show the alternative approach of film remake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tchcock’s <Vertigo> and its remake <La Jetée> by Chris Marker, by examining its distinction from a common way of film remakes, sharing of storyline. Marker interprets <Vertigo> as ‘the vertigo of time’-through his ingenious reading-and re-invents it as a new film with a whole other story structure. For this, Marker conjugates ‘the spiral image’, the visual motive of ‘the vertigo of time’ similarly, but differently. He also expands the temporality of <Vertiog> to the future and to the time undefinable and creates the revival of infinite scissions of time and characters who live in time. Marker accomplishes the core time-image, the Deleuzien notion of ‘the cinema of the brain’ by implementing crystalline, regime. Enfin, We can consider <La Jetée> as re-invention which changes the quality itself of image, from movement-image to time-image by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s of relation between memory and time in <Vertigo>.
      번역하기

      This paper aimes to show the alternative approach of film remake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tchcock’s <Vertigo> and its remake <La Jetée> by Chris Marker, by examining its distinction from a common wa...

      This paper aimes to show the alternative approach of film remake through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tchcock’s <Vertigo> and its remake <La Jetée> by Chris Marker, by examining its distinction from a common way of film remakes, sharing of storyline. Marker interprets <Vertigo> as ‘the vertigo of time’-through his ingenious reading-and re-invents it as a new film with a whole other story structure. For this, Marker conjugates ‘the spiral image’, the visual motive of ‘the vertigo of time’ similarly, but differently. He also expands the temporality of <Vertiog> to the future and to the time undefinable and creates the revival of infinite scissions of time and characters who live in time. Marker accomplishes the core time-image, the Deleuzien notion of ‘the cinema of the brain’ by implementing crystalline, regime. Enfin, We can consider <La Jetée> as re-invention which changes the quality itself of image, from movement-image to time-image by reflecting upon the problematics of relation between memory and time in <Vertig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히치콕 감독의 <현기증>과 이 영화의 리메이크인 크리스 마커 감독의 <환송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일반적인 리메이크와의 차별성을 고찰함으로써 영화에서의 리메이크의 대안적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커는 <현기증>에 대한 독창적인 독해를 통해 이를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간에 대한 현기증’이라 해석하고, 전혀 다른 이야기구조를 지닌 새로운 영화로 재창조 한다. 이를 위해 마커는 <현기증>의 시각적 모티브인 ‘나선형 이미지’를 유사한 의미로, 그러나 다르게 변주시키고, 과거와 현재로 이중화된 <현기증>의 시간을 미래로, 또 정의할 수 없는 ‘시간의 외부’로 확장시켜 시간과 그 시간 안에 내재되어 거주하는 인물의 무한한 분열을 창조해낸다. 또한 <현기증>이 아직 의존하고 있는 운동-이미지의 유기적 체계로부터 벗어나 결정체적 체계를 구현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시간-이미지, 사유의 영화를 완성하고 있다. 마커의 리메이크는 <현기증>의 인물들의 기억과 시간의 문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스토리, 인물의 변화를 넘어서는 이미지의 속성 자체를 바꾸는 재창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히치콕 감독의 <현기증>과 이 영화의 리메이크인 크리스 마커 감독의 <환송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일반적인 리메이크와의 ...

      이 논문은 히치콕 감독의 <현기증>과 이 영화의 리메이크인 크리스 마커 감독의 <환송대>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라인을 공유하는 일반적인 리메이크와의 차별성을 고찰함으로써 영화에서의 리메이크의 대안적 방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커는 <현기증>에 대한 독창적인 독해를 통해 이를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간에 대한 현기증’이라 해석하고, 전혀 다른 이야기구조를 지닌 새로운 영화로 재창조 한다. 이를 위해 마커는 <현기증>의 시각적 모티브인 ‘나선형 이미지’를 유사한 의미로, 그러나 다르게 변주시키고, 과거와 현재로 이중화된 <현기증>의 시간을 미래로, 또 정의할 수 없는 ‘시간의 외부’로 확장시켜 시간과 그 시간 안에 내재되어 거주하는 인물의 무한한 분열을 창조해낸다. 또한 <현기증>이 아직 의존하고 있는 운동-이미지의 유기적 체계로부터 벗어나 결정체적 체계를 구현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시간-이미지, 사유의 영화를 완성하고 있다. 마커의 리메이크는 <현기증>의 인물들의 기억과 시간의 문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스토리, 인물의 변화를 넘어서는 이미지의 속성 자체를 바꾸는 재창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영, "크리스 마커의 <환송대>에 나타난 ‘불가능한 기억’의 문제" 문학과영상학회 12 (12): 799-823, 2011

      2 이자혜, "크리스 마르케의 <태양 없이 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72 : 567-589, 2010

      3 이자혜, "영상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13-253, 2012

      4 Blümlinger, C, "The Imaginary in the Documentary Image: Chris Marker’s Level Five" 11 (11): 3-14, 2010

      5 Marker, C, "Sans Soleil"

      6 Marker, C, "Sans Soleil"

      7 Quaresima, L, "Loving Texts Two at a Time : The Film Remake" 12 (12): 73-84, 2002

      8 Dubois, P, "La Jetée de Chris Marker ou le cinématogramme de la conscience" 6 : 9-45, 2006

      9 Marker, C, "La Jetée"

      10 Marker, C, "La Jetée"

      1 이윤영, "크리스 마커의 <환송대>에 나타난 ‘불가능한 기억’의 문제" 문학과영상학회 12 (12): 799-823, 2011

      2 이자혜, "크리스 마르케의 <태양 없이 Sans Soleil>에 나타난 시간의 재현 방식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72 : 567-589, 2010

      3 이자혜, "영상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13-253, 2012

      4 Blümlinger, C, "The Imaginary in the Documentary Image: Chris Marker’s Level Five" 11 (11): 3-14, 2010

      5 Marker, C, "Sans Soleil"

      6 Marker, C, "Sans Soleil"

      7 Quaresima, L, "Loving Texts Two at a Time : The Film Remake" 12 (12): 73-84, 2002

      8 Dubois, P, "La Jetée de Chris Marker ou le cinématogramme de la conscience" 6 : 9-45, 2006

      9 Marker, C, "La Jetée"

      10 Marker, C, "La Jetée"

      11 Marker, C, "Immemory, [CD-Rom]"

      12 Champoux, J. E, "Film Remakes As A Comparative View Of Time" 36 (36): 210-217, 1999

      13 Marmysz, J, "Fear, Cultural Anxiety, and Transformation: Horror,Science Fiction, and Fantasy Films Remade, Lanham" Lexington Books 2008

      14 Raessens, J, "Deleuze et de la modernite cinematographique, In Le cinema selon Deleuze" Presses de la Sorbonne Nouvelle 268-283, 1997

      15 Hême de Lacotte, Suzanne, "Deleuze : philosophie et cinema" L’Harmattan 2001

      16 Deleuze, G, "Cinéma 2 : L’image-temps" Les Edition de Minuit 1985

      17 Deleuze, G, "Cinéma 1 : L’image-mouvement" Les Edition de Minuit 1983

      18 Pourvali, B, "Chris Marker" Cahiers du cinéma 2003

      19 Marker, C, "A free replay"

      20 이정국, "<케이프 피어>의 리메이크 영화 비교 연구 -연출 스타일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35) : 259-28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론학연구 ->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외국어명 : Journalism & Communication -> Locality & Communication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 1.339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