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
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와 보리간장 각각 3종만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가 4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8종이 검출되었다. 보리메주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596.3~1580.8 mg% 였으며, glutamic acid>alanine>leuc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3.29~40.38%였다. 보리간장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342.0~803.6 mg%였으며, glutamic acid>proline>phenylalan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25.7~37.3%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investigation of new utilization as jang-products, the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time were examined. Barley meju of 7 free sugars(i.e., raffinose, stachyose, inositol, fructose, gluco...
For investigation of new utilization as jang-products, the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time were examined. Barley meju of 7 free sugars(i.e., raffinose, stachyose, inositol, fructose, glucose, arabin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4 non-volatile organic acid(i.e., fumaric acid, α-ketoglutar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tected. Barley kanjang of 5 free sugars(i.e., arabinose, xylose, fructose, gluc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8 non-volatile organic acid(i.e., lactic acid, fumaric acid, levulin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α-ketoglutaric acid, citric acid and pyroglutamic acid) were detected. As barley meju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596.3~1580.8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alanine and leuc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3.2~40.38%. As barley kanjang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342.0~803.6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proline and phenylalan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4.3~37.3%.
Permanent wave와 Bleaching에 의한 모발손상에 관한 연구
Perm과 Coloring 처리에 의한 유아와 성인 모발의 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