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리등겨로 제조한 메주와 간장의 맛성분 특성 = Taste Characteristic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5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와 보리간장 각각 3종만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가 4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8종이 검출되었다. 보리메주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596.3~1580.8 mg% 였으며, glutamic acid>alanine>leuc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3.29~40.38%였다. 보리간장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342.0~803.6 mg%였으며, glutamic acid>proline>phenylalan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25.7~37.3%였다.
      번역하기

      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

      새로운 장류제품으로서 보리등겨로 메주와 간장을 만들어 발효기간에 따른 맛성분 변화를 검토하였다. 보리메주에서는 유리당이 7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5종이 검출되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와 보리간장 각각 3종만이 검출되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보리메주가 4종이 검출되었고 보리간장은 8종이 검출되었다. 보리메주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596.3~1580.8 mg% 였으며, glutamic acid>alanine>leuc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33.29~40.38%였다. 보리간장의 총 유리아미노산은 342.0~803.6 mg%였으며, glutamic acid>proline>phenylalanine등의 순으로 높았다.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총 아미노산에 대해 25.7~37.3%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investigation of new utilization as jang-products, the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time were examined. Barley meju of 7 free sugars(i.e., raffinose, stachyose, inositol, fructose, glucose, arabin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4 non-volatile organic acid(i.e., fumaric acid, α-ketoglutar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tected. Barley kanjang of 5 free sugars(i.e., arabinose, xylose, fructose, gluc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8 non-volatile organic acid(i.e., lactic acid, fumaric acid, levulin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α-ketoglutaric acid, citric acid and pyroglutamic acid) were detected. As barley meju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596.3~1580.8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alanine and leuc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3.2~40.38%. As barley kanjang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342.0~803.6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proline and phenylalan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4.3~37.3%.
      번역하기

      For investigation of new utilization as jang-products, the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time were examined. Barley meju of 7 free sugars(i.e., raffinose, stachyose, inositol, fructose, gluco...

      For investigation of new utilization as jang-products, the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Meju and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during fermentation time were examined. Barley meju of 7 free sugars(i.e., raffinose, stachyose, inositol, fructose, glucose, arabin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4 non-volatile organic acid(i.e., fumaric acid, α-ketoglutar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tected. Barley kanjang of 5 free sugars(i.e., arabinose, xylose, fructose, glucose and maltose), 3 volatile organic acid(i.e.,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and 8 non-volatile organic acid(i.e., lactic acid, fumaric acid, levulin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α-ketoglutaric acid, citric acid and pyroglutamic acid) were detected. As barley meju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596.3~1580.8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alanine and leuc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3.2~40.38%. As barley kanjang was fermented, content of free amino acid was 342.0~803.6 mg%.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amino acids, followed by proline and phenylalanin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ccounted for 34.3~3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