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드론을 활용한 지하시설물측량 및 3D 시각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0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conduct rapid, accurate and safe surveying at the excavation site,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nderground facility survey using drones and the expected effect of 3D visualization were obtained as follows. Phantom4Pro 20MP drones have a 30m flight altitude and a redundant 85% flight plan, securing a GSD (Ground Sampling Distance) value of 0.85mm and 4points of GCP (Groud Control Point)and 2points of check point were calculated, and 7.3mm of ground control point and 11mm of check point were obtained. The importance of GCP was confirmed when measured with low-cost drones. If there is no ground reference point, the error range of X value is derived from -81.2 cm to +90.0 cm, and the error range of Y value is +6.8 cm to 155.9 cm. This study classifies point cloud data using the Pix4D program. I'm sorting underground facility data and road pavement data, and visualized 3D data of road and underground facilities of actual model through overlapping process. Overlaid point cloud data can be used to check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place you want through the Open Source program CloudCompare. This study will become a new paradigm of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번역하기

      In order to conduct rapid, accurate and safe surveying at the excavation site,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nderground facility survey using drones and the expected effect of 3D visualization were obtained as follows. Phantom4Pro 20MP drones hav...

      In order to conduct rapid, accurate and safe surveying at the excavation site,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nderground facility survey using drones and the expected effect of 3D visualization were obtained as follows. Phantom4Pro 20MP drones have a 30m flight altitude and a redundant 85% flight plan, securing a GSD (Ground Sampling Distance) value of 0.85mm and 4points of GCP (Groud Control Point)and 2points of check point were calculated, and 7.3mm of ground control point and 11mm of check point were obtained. The importance of GCP was confirmed when measured with low-cost drones. If there is no ground reference point, the error range of X value is derived from -81.2 cm to +90.0 cm, and the error range of Y value is +6.8 cm to 155.9 cm. This study classifies point cloud data using the Pix4D program. I'm sorting underground facility data and road pavement data, and visualized 3D data of road and underground facilities of actual model through overlapping process. Overlaid point cloud data can be used to check the location and depth of the place you want through the Open Source program CloudCompare. This study will become a new paradigm of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굴착 현장에서 신속·정확·안전한 측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적용 가능성 및 3D 시각화의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Phantom4 Pro 20MP의 드론으로 30m의 비행 고도, 중복 도 85%의 비행계획으로 0.85mm의 GSD (Ground Sampling Distance)값을 확보하였고, GCP (Groud Control Point)4점과 검사점 2점을 계산하여 기준점에 대하여 7.3mm, 검사점은 11mm의 성과를 취득할 수 있었다. 저가 의 드론으로 측량할 경우 GCP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상 기준점이 없는 경우, X값의 오차 범위는 –81.2cm에 서 +90.0cm, Y값의 오차 범위는 +6.8cm에서 155.9 cm 값을 도출하였다. Pix4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인트 클 라우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지하 시설물 데이터와 도로 포장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중첩과정을 통해 실제 모형 의 도로와 지하 시설물의 데이터를 3D 시각화하였다. 중첩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Open Source 프로그램인 CloudCompar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위치와 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지하 시 설물 측량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굴착 현장에서 신속·정확·안전한 측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적용 가능성 및 3D 시각화의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Phantom4 Pro 20MP의 드론으로 ...

      굴착 현장에서 신속·정확·안전한 측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지하 시설물 측량의 적용 가능성 및 3D 시각화의 기대효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Phantom4 Pro 20MP의 드론으로 30m의 비행 고도, 중복 도 85%의 비행계획으로 0.85mm의 GSD (Ground Sampling Distance)값을 확보하였고, GCP (Groud Control Point)4점과 검사점 2점을 계산하여 기준점에 대하여 7.3mm, 검사점은 11mm의 성과를 취득할 수 있었다. 저가 의 드론으로 측량할 경우 GCP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지상 기준점이 없는 경우, X값의 오차 범위는 –81.2cm에 서 +90.0cm, Y값의 오차 범위는 +6.8cm에서 155.9 cm 값을 도출하였다. Pix4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포인트 클 라우드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지하 시설물 데이터와 도로 포장면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중첩과정을 통해 실제 모형 의 도로와 지하 시설물의 데이터를 3D 시각화하였다. 중첩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Open Source 프로그램인 CloudCompare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의 위치와 심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지하 시 설물 측량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Kwang-Ho, "Study on 3D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2-, 2008

      2 No, Hong-Suk, "Real-time Underground Facility Map Production Using Drones"

      3 박운용 ; 이종출 ; 정성모, "RTK-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위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 21 (21): 237-243, 2003

      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Guidelines for Working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5 Lee, Kang-W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6 Kim, Sang-Pil,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Methodology for the Detection of Road Sign Region" 2-, 2012

      1 Kim, Kwang-Ho, "Study on 3D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2-, 2008

      2 No, Hong-Suk, "Real-time Underground Facility Map Production Using Drones"

      3 박운용 ; 이종출 ; 정성모, "RTK-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위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 21 (21): 237-243, 2003

      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Guidelines for Working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5 Lee, Kang-W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6 Kim, Sang-Pil,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Methodology for the Detection of Road Sign Region" 2-,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69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