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실감모형 제작을 위한 고해상도 유물 이미지 매팅 = High Resolution Photo Matting for Construction of Photo-realistic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0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are various studies underway on the deep learning-used image matting methods. Even in the field of photogrammetry, a process of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relics from images photographed is essential to produce a high-quality realistic model. Such a process requires a great deal of time and manpower, so chroma-key has been used for extraction so far. This method is low in accuracy of sub-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method to high-quality realistic model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remove background information from high-resolution relic images by using prior background information and trained learning data and evaluat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of the relic images extracted. As a result, this proposed method with FBA(manual trimap) showed quantitatively better results, and even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it was high in accuracy of classification around relics.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indoor relic photography since it showed high accuracy and fast processing speed by acquiring prior background information when classifying high-resolution relic images.
      번역하기

      Recently, there are various studies underway on the deep learning-used image matting methods. Even in the field of photogrammetry, a process of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relics from images photographed is essential to produce a high-quality realist...

      Recently, there are various studies underway on the deep learning-used image matting methods. Even in the field of photogrammetry, a process of extracting information about relics from images photographed is essential to produce a high-quality realistic model. Such a process requires a great deal of time and manpower, so chroma-key has been used for extraction so far. This method is low in accuracy of sub-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existing method to high-quality realistic model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remove background information from high-resolution relic images by using prior background information and trained learning data and evaluat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of the relic images extracted. As a result, this proposed method with FBA(manual trimap) showed quantitatively better results, and even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it was high in accuracy of classification around relics.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indoor relic photography since it showed high accuracy and fast processing speed by acquiring prior background information when classifying high-resolution relic im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매팅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진측량 분야에서도 고품질 의 실감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유물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과정은 많 은 시간과 인력이 들어 기존에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 은 세부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져 고품질 실감모형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배경 정보와 훈련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유물 이미지에서 배경정보를 제거하고 추출된 유물 이미지에 대하 여 정성적, 정량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과 FBA(매뉴얼 트라이맵)이 정량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 타냈으며, 정성적 평가에서도 유물 주변부의 분류도가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고해상도 유물 이미지 분류에 있어 사전배경정보 취득을 통하여 높은 정확도와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냈으며, 실내 유물 촬영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매팅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진측량 분야에서도 고품질 의 실감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유물 정보를 추출하...

      최근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매팅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진측량 분야에서도 고품질 의 실감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유물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과정은 많 은 시간과 인력이 들어 기존에는 크로마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 은 세부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져 고품질 실감모형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배경 정보와 훈련된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유물 이미지에서 배경정보를 제거하고 추출된 유물 이미지에 대하 여 정성적, 정량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과 FBA(매뉴얼 트라이맵)이 정량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 타냈으며, 정성적 평가에서도 유물 주변부의 분류도가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고해상도 유물 이미지 분류에 있어 사전배경정보 취득을 통하여 높은 정확도와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냈으며, 실내 유물 촬영에서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astal, E.S., "Shared sampling for real‐time alpha matting" 29 (29): 575-584, 2010

      2 Sun, Y., "Semantic image matting" 11120-11129, 2021

      3 Lin, S., "Real-time high-resolution background matting" 8762-8771, 2021

      4 Ni, J., "Random region matting for the high-resolution PolSAR image semantic segmentation" 14 : 3040-3051, 2021

      5 Sun, J., "Poisson matting" 315-321, 2004

      6 He, K., "Mask r-cnn" 2961-2969, 2017

      7 Zhu, B, "Fast deep matting for portrait animation on mobile phone" 297-305, 2017

      8 Forte, M., "F, B Alpha Matting"

      9 Chen, L. C., "Encoder-decoder with atrous separable convolution for semantic image segmentation" 801-818, 2018

      10 Xu, N., "Deep image matting" 2970-2979, 2017

      1 Gastal, E.S., "Shared sampling for real‐time alpha matting" 29 (29): 575-584, 2010

      2 Sun, Y., "Semantic image matting" 11120-11129, 2021

      3 Lin, S., "Real-time high-resolution background matting" 8762-8771, 2021

      4 Ni, J., "Random region matting for the high-resolution PolSAR image semantic segmentation" 14 : 3040-3051, 2021

      5 Sun, J., "Poisson matting" 315-321, 2004

      6 He, K., "Mask r-cnn" 2961-2969, 2017

      7 Zhu, B, "Fast deep matting for portrait animation on mobile phone" 297-305, 2017

      8 Forte, M., "F, B Alpha Matting"

      9 Chen, L. C., "Encoder-decoder with atrous separable convolution for semantic image segmentation" 801-818, 2018

      10 Xu, N., "Deep image matting" 2970-2979, 2017

      11 Shen, X, "Deep automatic portrait matting" 92-107, 2016

      12 Liu, J., "Boosting semantic human matting with coarse annotations" 8563-8572, 2020

      13 Sengupta, S., "Background matting:The world is your green screen" 2291-2300, 2020

      14 Qiao, Y., "Attention-guided hierarchical structure aggregation for image matting" 13676-13685, 2020

      15 Rhemann, C, "A perceptually motivated online benchmark for image matting" 1826-1833, 2009

      16 Levin, A., "A closed-form solution to natural image matting" 30 (30): 228-242, 2007

      17 Chuang, Y. Y., "A bayesian approach to digital matting" 2 :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69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