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 및 개선 방향 탐색 = Redesign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among Diverse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2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 과정이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평등하고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정이 정의롭고 평등한 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원리임을 설명하였다. 둘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11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논의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관한 논의가 간과되어 왔으며 (2)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전반에 걸쳐 집단 간 문화다양 성이 표면적인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문화감응교육(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과 지식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섬세하게 고려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모든 학습자를 위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후속 논의들을 확장하고 지속하는 촉진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 과정이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평등하고...

      본 논문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 과정이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평등하고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정이 정의롭고 평등한 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원리임을 설명하였다. 둘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11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논의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관한 논의가 간과되어 왔으며 (2)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전반에 걸쳐 집단 간 문화다양 성이 표면적인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문화감응교육(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과 지식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섬세하게 고려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모든 학습자를 위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후속 논의들을 확장하고 지속하는 촉진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made progr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ner discourse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with continuous efforts for defining its identity for the last three decades currently encounters another issue: What should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look like? Loca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fforts for multicultural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among people from diverse groups is a key for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concept of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existing studie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found that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at the margin of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2015 nation-level integrat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t a superficial level. Finally, based upon major principle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funds of knowledge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for creating a culturally relevan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cultural diversities among different groups of people composing South Korean society are deeply recognized throughout its nature, goals, content, standards,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ing conversations and
      scholarship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번역하기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made progr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ner discourse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with continuous efforts for defining its identity for the last three decades currently encounters another issue: ...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made progr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ner discourse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with continuous efforts for defining its identity for the last three decades currently encounters another issue: What should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look like? Loca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fforts for multicultural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among people from diverse groups is a key for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concept of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existing studie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found that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at the margin of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2015 nation-level integrat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t a superficial level. Finally, based upon major principle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funds of knowledge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for creating a culturally relevan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cultural diversities among different groups of people composing South Korean society are deeply recognized throughout its nature, goals, content, standards,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ing conversations and
      scholarship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집단 간 문화다양성과 정의로운 교육
      • Ⅲ.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 Ⅳ.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이론
      • Ⅴ. 결론 및 논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 Ⅰ. 서 론
      • Ⅱ. 집단 간 문화다양성과 정의로운 교육
      • Ⅲ.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 Ⅳ.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이론
      • Ⅴ. 결론 및 논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