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인플루언서(Influrencer) 마케팅 전략 개발 제안 = Proposal of Developing an Effective Influrencer Marketing Strategy to Activate Brand Commun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0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brand, company and influencer, and to suggest ways to actively use influencers as a communication tool for smooth brand communication. Understand how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by studying brand communication, analyzing influencer marketing progress, and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luencer marketing cases. In this process, to select influencer, suggested using IOBRA to identify influencer's online brand-related activities on SNS. Along with this approach, I proposed the influencer activity strategy structure according to the branding strategy components to enable influencer marketing to promote br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strategic structure proposed in future research, influencer marketing can be developed by substituting various variables generated during influencer marketing. Various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needed to actively use influencer marketing in more diverse fiel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brand, company and influencer, and to suggest ways to actively use influencers as a communication tool for smooth brand communication. Understand how to communicate with con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brand, company and influencer, and to suggest ways to actively use influencers as a communication tool for smooth brand communication. Understand how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by studying brand communication, analyzing influencer marketing progress, and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luencer marketing cases. In this process, to select influencer, suggested using IOBRA to identify influencer's online brand-related activities on SNS. Along with this approach, I proposed the influencer activity strategy structure according to the branding strategy components to enable influencer marketing to promote br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strategic structure proposed in future research, influencer marketing can be developed by substituting various variables generated during influencer marketing. Various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needed to actively use influencer marketing in more diverse fiel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용자와 브랜드, 기업과 인플루언서의 관계를 파악하고, 원활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인플루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를파악하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연구하고,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정의와 활용단계, 인플루언서의 출현계기와 개념, 영향력, 마케팅 진행 단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례 분석을 통해 어떻게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효과적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요소와 구조를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 기업이 자사 브랜드 이미지와 맞는 인플루언서를 선정하기 위해 인플루언서의 온라인상에서의 행동 참여와 SNS에 대한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IOBRA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포함하여 인플루언서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해 브랜드의 가치를 실현시켜 소비자에게 기억될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 수 있도록 브랜딩 전략 구성요소에 따른 인플루언서 엑티비티 전략 구조를 제안하고 도식화하였다. 기존 마케팅 환경에 없던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등장으로 차후 다양한사례 분석을 통해 더 많은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제안했던 전략 구조를바탕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진행하는 중에 예기치 못한 상황, 예견했던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 등의다양한 변수를 대입하여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그 효과와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분석함으로써 기업과 소비자, 인플루언서 간에 원활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길 바라며,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실질적인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용자와 브랜드, 기업과 인플루언서의 관계를 파악하고, 원활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인플루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는 사용자와 브랜드, 기업과 인플루언서의 관계를 파악하고, 원활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인플루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를파악하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대하여 연구하고,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정의와 활용단계, 인플루언서의 출현계기와 개념, 영향력, 마케팅 진행 단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례 분석을 통해 어떻게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그리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해 효과적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요소와 구조를 제안한다. 이 과정에서 기업이 자사 브랜드 이미지와 맞는 인플루언서를 선정하기 위해 인플루언서의 온라인상에서의 행동 참여와 SNS에 대한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IOBRA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포함하여 인플루언서와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해 브랜드의 가치를 실현시켜 소비자에게 기억될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 수 있도록 브랜딩 전략 구성요소에 따른 인플루언서 엑티비티 전략 구조를 제안하고 도식화하였다. 기존 마케팅 환경에 없던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등장으로 차후 다양한사례 분석을 통해 더 많은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제안했던 전략 구조를바탕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진행하는 중에 예기치 못한 상황, 예견했던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발생하는 등의다양한 변수를 대입하여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그 효과와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분석함으로써 기업과 소비자, 인플루언서 간에 원활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길 바라며,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실질적인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

      2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조사팀,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2017

      3 문지원,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위한 페르소나와 인플루언서(Influencer) 마케팅 활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20

      4 "동아비즈니스리뷰, May 2019 Issue 1, No.272"

      5 박정희, "광고, 광고디자인" 비즈앤비즈 2010

      6 미즈노 마나부, "‘팔다’에서 ‘팔리다’로" 이콘 2018

      7 "http://www.vogue.co.kr/?p=53020"

      8 "htps:/www.multivu.com/players/English/8134051-alergan-se-america-eyepic-campaign/"

      9 "htps:/terms.naver.com/entry.nhn?cid=426&docId=274819&categoryId=51098"

      10 "htps:/en.wikipedia.org/wiki/COBRA_(consumer_theory)"

      1 "앱/리테일 분석서비스 와이즈앱"

      2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조사팀,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2017

      3 문지원,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위한 페르소나와 인플루언서(Influencer) 마케팅 활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20

      4 "동아비즈니스리뷰, May 2019 Issue 1, No.272"

      5 박정희, "광고, 광고디자인" 비즈앤비즈 2010

      6 미즈노 마나부, "‘팔다’에서 ‘팔리다’로" 이콘 2018

      7 "http://www.vogue.co.kr/?p=53020"

      8 "htps:/www.multivu.com/players/English/8134051-alergan-se-america-eyepic-campaign/"

      9 "htps:/terms.naver.com/entry.nhn?cid=426&docId=274819&categoryId=51098"

      10 "htps:/en.wikipedia.org/wiki/COBRA_(consumer_theory)"

      11 Lasswell, H. 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in society" 37 (37): 136-139,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