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1936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의 저본 또는 다산 저술의 정고본定稿本에 가장 근접하다고 평가받아온 다산 집안의 소장본, 또는 저술단계에 필사된 다산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7033176
2010
Korean
정약용 ; 필사본 ; 정고본定稿本 ; 고본稿本 ; 家藏本 ; 서지사항 ; Cheong Yagyong丁若鏞 ; copy of manuscript ; original draft ; collection of family ; bibliography
800
KCI등재
학술저널
133-169(37쪽)
14
※ 발행기관의 정책으로 인하여 개인 판매가 중단된 논문입니다. 구독기관 이용자는 [ KISS] 홈페이지에서 원문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36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의 저본 또는 다산 저술의 정고본定稿本에 가장 근접하다고 평가받아온 다산 집안의 소장본, 또는 저술단계에 필사된 다산과 ...
본 논문은 1936년 신조선사新朝鮮社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의 저본 또는 다산 저술의 정고본定稿本에 가장 근접하다고 평가받아온 다산 집안의 소장본, 또는 저술단계에 필사된 다산과 그 제자들의 필사본에 주목하여, 이들 자료를 고본橋本이라 지칭하며 그 성격을 규명하고 전승 현황을 살핀 것이다. 먼저 다산 필사본 자료의 명칭이 정리되지 않고 사용되어 논의에 혼란을 주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각 필사본의 용어 가 갖는 의미를 살피고 본고에서 다루는 고본 자료들의 성격을 살피었다. 다음으로 현재 해외와 국내의 국공사립 도서관에 전승되는 고본 자료를 총정리하고, 서지적 특정을 검토하여 이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들 자료는 다산 저술의 정본定本의 확정하기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자료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anuscript of Cheong Yagyong丁若鏞`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The manuscript of this article means the things written by Cheong Yagyong and his disciples, and owned by his family. These manuscripts are evaluated to ...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anuscript of Cheong Yagyong丁若鏞`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The manuscript of this article means the things written by Cheong Yagyong and his disciples, and owned by his family. These manuscripts are evaluated to be the original texts. First of all, the conceptions of various kinds of manuscripts`s titles was determined for the research. And the transmission of these manuscripts were chased to make the list. This search covered libraries in foreign and domestic areas to identify 27 manuscripts. Current state of Cheong Yagyong`s manuscripts, the investigation procedure, and the bibliography in comparison to other manuscripts(not to be written by author and his disciples) will be sum-marized. To establish his set of original texts, meticulous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these collections with another copies are required.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7
2 안병직, "필사본 경세유표에 대한 서지적 검토" 2010
3 임형택, "정약용의 강진유배기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in: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 비평사 2000
4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역주시경강의" 도서출판 사암 2008
5 김영호, "여유당전서의 텍스트 검토.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6 박철상, "여유당전서 定本化 작업과 필사본의 정리" 2005
7 장동우, "여유당전서 ‘경집經集’필사본에 관한 고찰- 규장각본과 아사미문고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119-138, 2009
8 정규영, "사암선생연보" 정문사판 1984
9 노경희, "미국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81-118, 2009
10 박철상,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필사본 조사의 성과" 2006
1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7
2 안병직, "필사본 경세유표에 대한 서지적 검토" 2010
3 임형택, "정약용의 강진유배기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in: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 비평사 2000
4 실시학사 경학연구회, "역주시경강의" 도서출판 사암 2008
5 김영호, "여유당전서의 텍스트 검토.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6 박철상, "여유당전서 定本化 작업과 필사본의 정리" 2005
7 장동우, "여유당전서 ‘경집經集’필사본에 관한 고찰- 규장각본과 아사미문고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119-138, 2009
8 정규영, "사암선생연보" 정문사판 1984
9 노경희, "미국 소재 정약용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서지적 특징"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5) : 81-118, 2009
10 박철상,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필사본 조사의 성과" 2006
11 안병직, "목민심서 考異. in: 정다산 연구의 현황" 민음사 1985
12 정약용, "목민심서" 廣文社 1902
13 방인,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7) : 7-44, 2010
14 송재소, "다산학단茶山學團 연구硏究 서설序說"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7-24, 2008
15 안춘근, "藏書原論" 성진문화사 1972
16 書物同好會, "書物同好會會報-附冊子" 龍溪書舍 1978
17 박종천, "定本 '與猶堂全書'의 편찬을 위한 다산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禮集을 중심으로?" 2010
18 방인, "『주역사전周易四箋』의 텍스트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정고본定稿本 및 신조본新朝本의 저본底本을 찾기 위한 시론"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4) : 5-43, 2009
19 김문식,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필사본의 원문 비교"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0) : 227-258, 2007
20 박종천, "『민보의民堡議』필사본에 대한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2) : 145-173, 2008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55 | 0.94 | 0.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