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現代 新儒家의 道家哲學에 대한 연구-'牟宗三을 중심으로(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3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은 현대신유가의 한 사람인 모종삼이 해석한 노자의 도에 대한 연구이다. 모종삼은 철학이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입장에서 동양철학의 특수성을 논하고 있다. 그는 동양철학...

      본 연구은 현대신유가의 한 사람인 모종삼이 해석한 노자의 도에 대한 연구이다. 모종삼은 철학이 갖는 보편성과 특수성이라는 입장에서 동양철학의 특수성을 논하고 있다. 그는 동양철학이 갖는 주체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노자의 철학도 그러한 선상에 서있다고 파악한다. 그래서 노자의 도를 서양철학에서 말하는 ‘실체’나 ‘제일원인’ ‘만물창생의 기본동력’으로 규정하는 것은 노자의 실천성을 제대로 드러낼 수 없다고 본다. 모종삼은 ‘경계형태의 형이상학’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노자의 도를 주관적 실천 경지로 이해하였다. 그는 老子의 道는 추론적인 사유의 결과물이 아니라, 고도의 수양을 통하여 체득되어진 마음의 경지(心境)로 이해한다. 노자가 말하는 ‘無爲’ ‘自然’도 수양 공부를 통하여 도달되는 정신적 경지로 해석한다.
      모종삼은 노자의 도를 둘러싼 개념의 전개, 즉 도의 이중성으로서의 무와 유, 그리고 천지만물의 관계는 분명 형이상학에 속하지만, 서양을 표준으로 한 존재론이 아니고, 실천적(practical)인 것에 속하기 때문에 실천적 존재론(practical ontology)라는 특수한 용어를 사용한다. 실천적 존재론을 말하기 때문에 이것을 실천적 형이상학이라고 말한다. 모종삼이 정신적 경지의 의미로 노자의 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바로 주체적인 실천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며, 노자의 ‘도’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의미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들어가는 말 2.‘철학’의 함의에 대한 의미 규정 3.‘境界形態의 형이상학’으로서의 道 1)境界의 의미 2)無爲와 自然 4.道의 이중성 5.실현의 원리로서의 道-不生之生 6.나...

      1.들어가는 말
      2.‘철학’의 함의에 대한 의미 규정
      3.‘境界形態의 형이상학’으로서의 道
      1)境界의 의미
      2)無爲와 自然
      4.道의 이중성
      5.실현의 원리로서의 道-不生之生
      6.나오는 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