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교사의 수업비평공동체를 통한 미술교수역량 강화 방안 연구 - 감상과 체험 영역의 수업비평 관점 및 방법, 교사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713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 공개와 더불어 수업 컨설팅, 수업 협의회, 수업 장학 등의 이름으로 수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피상적인 논의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그 실효성에 회의적이다. 그 대안으로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 비평이 연구되며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미술 감상 수업 비평을 통해 감상 수업을 보는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 이를 교사 교육에 적용해보며 이 과정에서 시사하는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며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는데 있다.
      1차 년도 연구에서는 우선 수업 비평의 개념을 심화하고, 수업 비평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미술 감상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어서 예비교사, 교사, 연구자의 미술 감상 수업 비평에 반영된 비평 관점을 질적으로 비교, 분석하며 논의한다. 수업 비평자들의 비평 관점은 ‘수업의 일반적인 형식과 흐름이 잘 구성된 수업인가’(수업의 과학성) 혹은 ‘미술 감상 수업의 특성이 드러난 수업인가’(수업의 예술성)과 같이 대조적인 비평 관점들 사이의 어느 특정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렇게 발견한 비평 관점을 일곱 가지로 정리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기술, 분석, 해석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한 적절하고 다양한 비평 관점(안)을 도출한다.
      2차 년도에서는 연구 내용을 연구자의 대학 강의에 적용하며 그 경험을 분석하고 수업 비평 강의 모듈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수업 비평이 교사의 미술 감상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며, 이 때 감상 수업을 보는 여러 관점들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전제될 때 더욱 큰 기대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 비평 논의를 명료화하고 심화하기 위해 현대 미술 비평에 대한 논의, 미술 비평의 여러 유형, 미술 비평 단계와 같은 미술 비평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며 수업 비평에의 시사점을 찾아본다. 이러한 시사점을 종합하여 감상 수업을 위한 수업 비평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정리하여 제안한다.
      번역하기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 공개와 더불어 수업 컨설팅, 수업 협의회, 수업 장학 등의 이름으로 수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피상적인 논의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그 실...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수업 공개와 더불어 수업 컨설팅, 수업 협의회, 수업 장학 등의 이름으로 수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피상적인 논의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그 실효성에 회의적이다. 그 대안으로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 비평이 연구되며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미술 감상 수업 비평을 통해 감상 수업을 보는 다양한 관점들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 이를 교사 교육에 적용해보며 이 과정에서 시사하는 의미와 효과를 분석하며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는데 있다.
      1차 년도 연구에서는 우선 수업 비평의 개념을 심화하고, 수업 비평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미술 감상 수업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어서 예비교사, 교사, 연구자의 미술 감상 수업 비평에 반영된 비평 관점을 질적으로 비교, 분석하며 논의한다. 수업 비평자들의 비평 관점은 ‘수업의 일반적인 형식과 흐름이 잘 구성된 수업인가’(수업의 과학성) 혹은 ‘미술 감상 수업의 특성이 드러난 수업인가’(수업의 예술성)과 같이 대조적인 비평 관점들 사이의 어느 특정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렇게 발견한 비평 관점을 일곱 가지로 정리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기술, 분석, 해석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한 적절하고 다양한 비평 관점(안)을 도출한다.
      2차 년도에서는 연구 내용을 연구자의 대학 강의에 적용하며 그 경험을 분석하고 수업 비평 강의 모듈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수업 비평이 교사의 미술 감상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며, 이 때 감상 수업을 보는 여러 관점들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전제될 때 더욱 큰 기대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업 비평 논의를 명료화하고 심화하기 위해 현대 미술 비평에 대한 논의, 미술 비평의 여러 유형, 미술 비평 단계와 같은 미술 비평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며 수업 비평에의 시사점을 찾아본다. 이러한 시사점을 종합하여 감상 수업을 위한 수업 비평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정리하여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ssroom instruction has been discussed to improv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using the methods such as open class, class consulting, class council, class supervision etc. However, the efficiency of the discussion is questionable because of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the class. Class criticism by the teacher’s community has been studied and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various perspective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by sharing criticisms of them, as a way to improve teachers’ art instructional competencies, to apply it to teacher education, to analyze its meaning and effect gained in this process and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it in teacher education.
      The first year of the research deepens the concept and discussion of the class criticism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revious research about the various points of view of class criticism to art appreciation classes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Next, this research compares, analyzes, and discusses points of view of class criticism which apply to preliminary-teachers’/teachers’/researcher’s criticism of art appreciation classes. The research discovers that the viewpoints of the class critics lies somewhere
      번역하기

      lassroom instruction has been discussed to improv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using the methods such as open class, class consulting, class council, class supervision etc. However, the efficiency of the discussion is questionable becau...

      lassroom instruction has been discussed to improv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using the methods such as open class, class consulting, class council, class supervision etc. However, the efficiency of the discussion is questionable because of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the class. Class criticism by the teacher’s community has been studied and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various perspective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by sharing criticisms of them, as a way to improve teachers’ art instructional competencies, to apply it to teacher education, to analyze its meaning and effect gained in this process and to propose effective ways to implement it in teacher education.
      The first year of the research deepens the concept and discussion of the class criticism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revious research about the various points of view of class criticism to art appreciation classes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Next, this research compares, analyzes, and discusses points of view of class criticism which apply to preliminary-teachers’/teachers’/researcher’s criticism of art appreciation classes. The research discovers that the viewpoints of the class critics lies somewhe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